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지출장부(支出帳簿)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실제 비용 등의 사용 내역과 추가 비용 등을 기록한 지출장부 실제 비용 등의 사용 내역과 추가 비용 등을 기록한 지출장부이다. 실용(實用)이라 한 실제 비용의 구체적인 사용 내역을 밝히고 이어서 양합(兩合)이라 한 것으로 보아 실제 비용 외에 또 하나의 사용처가 있을 것으로 보이나 그 기록은 없다. 실제로 사용한 비용은 4백4십9냥6전이며 그 내역은 차비(車費), 오반(午飯), 삼신[麻履] 등의 비용이다. 가입(加入)이라 하여 추가로 들어간 비용도 기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종계(宗稧) 서문(序文) 고문서-시문류-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종계를 닦아서 분묘를 수호하고 제사를 봉행하자고 하는 서문 종계(宗稧)를 닦아서 분묘(墳墓)를 수호(守護)하고 제사를 봉행하자고 하는 서문이다. 나무가 그 근원(根源)이 견고하지 않으면 가지가 마르고, 물이 그 근원이 깊지 않으면 물줄기가 마르듯이, 사람의 근원은 4단(端) 7정(情)인데 그 근원이 없으면 자손이 영창(榮昌)하고 문호(門戶)가 성대(盛大)할 리가 없다. 사람의 근원은 조종(祖宗)에 있고, 조종은 분묘에 있으니 잘 지키고 보호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므로 노소가 모두 모여 종계(宗稧)를 설립하고 모두 합심해서 시조(始祖) 농서공(隴西公)부터 고조(高祖) 복정공(僕正公)까지 16세의 분묘를 수호하고 제사를 봉행하기를 정성을 다하고 예를 다하자고 호소하는 종계의 서문이다. 농서공은 성주이씨 이장경이며, 복정공은 이규명이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문조(門租) 수입기(收入記) 2 고문서-증빙류-증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1003 모년에 9명으로부터 받은 합계 10두의 문조 수입기 모년에 문조 수입기로 9명으로부터 받는 합계 10두(斗)의 조세 수입이다. 이종술(李鍾述) 4두로부터 이상문(李相文) 1두까지 모두 10두인데, 이교석(李敎錫)과 이종복(李鍾馥)은 입금 기록이 없다. 문조(門租)는 문중의 도조(賭租)를 가리킨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9년 이주용(李主容) 위임장(委任狀)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李主容 梁正源 李主容 2顆(원형,0.9), 司法書士梁正源(1.3×1.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9년 7월 27일에 이주용(李主容)이 양정원(梁正源)에게 부동산 등기신청과 관련한 사항을 위임하는 문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2년 이석량(李錫良)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海南縣監 李錫良 行縣監<押> 海南縣監之印 (6.5x6.5), 周挾無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570 1840년에 해남현(海南縣)에서 유학(幼學) 이석량(李錫良, 3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아버지 이기춘(李基春) 사망하고 대신하여 아들 이석량(李錫良)이 호주가 됨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4년 이근우(李根雨) 등기의무자 확인 보증서(登記義務者確認保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6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428 1944년 1월 20일에 나본봉리(羅本鳳利)가 목자근우(木子根雨)에게 발급한 등기의무자 확인 보증서(登記義務者確認保證書)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9년 이홍필(李弘苾) 토지대장등본(土地臺帳謄本)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木浦稅務署 李弘苾 朴齊衡印, 木浦稅務署 (3.5×3.5), 山口寄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9년 8월 2일에 목포 세무서(木浦稅務署)에서 이홍필(李弘苾)에게 발급한 토지대장등본(土地臺帳謄本)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이기춘(李基春)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海南縣監 李基春 行縣監<押> 海南縣監之印 (6.6x6.6), 周挾無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570 1840년에 해남현(海南縣)에서 유학(幼學) 이기춘(李基春, 64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妻 민씨(閔氏) 생년 이전 정유(丁酉)에서 병신(丙申)으로 기재됨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0년 이억천(李億天)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億天 行郡守<押> 周挾字改印, □…□ (7.5×7.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284 1780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한량(閑良) 이억천(李億天, 45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3년 이억천(李億天)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億天 行郡守<押> 周挾字改印, □…□ (7.5×7.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284 1783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한량(閑良) 이억천(李億天, 45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호주 이억천(李億天) 나이 기재 오류, 45세가 아닌 48세임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6년 이종관(李宗寬)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光郡守 李宗寬 行郡守<押> 靈光郡戶口, 靈光郡守之印(7.5×7.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299 1876년에 영광군(靈光郡)에서 유학(幼學) 鰥 이종관(李宗寬, 8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호주 이종관(李宗寬)의 생년은 이전 호구에서는 무진(戊辰, 1808)으로 기재되었는데 병진(丙辰, 1796)으로 잘못 기재하여 나이가 훨씬 많아짐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문복록(問卜錄) 고문서-치부기록류-문복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평생(平生)의 점괘(占卦)를 풀이한 문복록(問卜錄) 평생삼분괘(平生三分卦), 평생관매괘(平生觀梅卦), 총론(摠論)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생삼분괘(平生三分卦)는 초분(初分), 중분(中分), 말분(末分)으로 나누어져 있음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6년 강홍복(姜弘福)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姜弘福 行郡守<押> □…□ (7.0×7.0), 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367 1786년에 영암군(靈巖郡)에서 유학(幼學) 강홍복(姜弘福, 4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