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0년 이교성(李敎成)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庚申五月六日 李敎成 父主 庚申五月六日 李敎成 李冕容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807 1920년 5월 6일에 이교성이 상경 노정과 비석에 관한 일, 형재공 산소 국내의 소나무와 가래나무 매매 등의 일로 부친에게 보낸 간찰 1920년 5월 6일에 이교성(李敎成)이 부친에게 보낸 간찰이다. 먼저 안부를 묻고 자신의 상경 노정을 설명하고 있다. 평안 진사와 점심밥을 먹고 저물녘에 광주(光州) 교항점(橋項店)에서 묵었으며, 3일 오시(午時)에 송정(松汀)에서 차를 타고 강경역(江景驛)에 내려 신흥리(新興里)에 이르렀고, 4일 뒤에 차에 올라 대전(大田)에 이르러서 점심밥을 먹은 뒤에 땅거미 질녘에 용산역(龍山驛)에 내려 걸어서 남대문 안의 최명순(崔明順) 집에 이르러 유숙하였다고 하였다. 비석에 관한 일은 지금까지 봐오건대 불안하거나 의(義)에 해롭거나 분명하지 않은 점이 한 가지가 아니다. 조목에 따라 대략 들었지만, 이는 한갓 한 집안의 문제가 아니니 속히 삼파(三派)의 종중에서 정대하게 논의하길 바란다고 하였다. 불안하다고 말한 점은 글자를 새기는 것을 일본사람에게 정하여 맡기는 것이 비석이 서대문감옥에 들어가는 것과 마찬가지인데 이는 일본사람이 빠르게 새겨 이로움을 보려는 마음이라는 것이다. 감옥 안에서 사람이 새긴 자획은 깊은지 깊지 않은지 정밀한지 정밀하지 않은지 볼 수 없으니 우리 선령(先靈)이 편안하겠는가 하고 개탄을 금치 않았다. 또 의에 해롭다고 한 점과 분명하지 않은 점 등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또 서산(西山)에서 온 종인의 말을 들은 경중의 종인 몇 명이 형재공(亨齋公) 산소 국내(局內)의 소나무와 가래나무를 팔아 넘겨 200원을 먼저 걸고 100원을 예약금으로 받았다고 묘지기가 말한 것을 들었다고 하는데, 묘답(墓畓)이 모두 참판 종율(鍾律)의 명위(名位)에 있는데 참판이 이미 사망하여 어쩔 수 없이 이전(移轉)하는 이전비용이라고 하니 곧 실정을 찾아야 한다고 하였다. 파전(派錢)은 부친 지 오래라고 하였다. 추신이 있는데, 어제 서찰을 부치지 못하였고 김승지(金承旨)가 문자 및 비석의 양식을 다시 수정하였다는 등의 내용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0년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문집발간 통문(通文)과 제사(祭事)에 관한 초고(草稿)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庚午三月十九日 澹對軒儒會所 庚午三月十九日 澹對軒儒會所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0년 3월 19일 담대헌 유회소에서 송사 기우만 선생의 문집발간을 위해 발문한 통문과 제사에 관하여 논한 초고 1930년 3월 19일 담대헌 유회소(澹對軒儒會所)에서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선생의 문집발간을 위해 발문한 통문이다. "우리의 도(道)를 전승하는 것은, 사람이 있을 때는 사람에게 달려있고, 사람이 죽으면 책에 달려있다. 우리 성사 선생이 우리를 두고 떠나가신지 이미 15년"이라고 하면서 송사선생 문집 발간에 참여해 줄 것을 호소하고 있다. 유회소의 도청과 도유사, 부유사, 사서, 도감, 감동 등의 명단이 열거되어 있다. 도청은 민치량(閔致亮)이다. 기우만(奇宇萬)은 기정진(奇正鎭)의 손자이며, 조부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킨 인물이다. 1896년 일본 세력을 구축하고자 의병을 일으켰다. 담대헌은 기정진(奇正鎭) 선생이 장성군 진원면 사무소 뒤편 고산 마을에다 1878년에 지은 정사(精舍)로서 학문을 강론하던 곳이다. 1927년 고산서원(高山書院)이라는 편액을 걸었으며, 1931년 ?송사집?이 발간되었다. 이 통문의 뒷면에는 기일에 돌아가신 부모님을 함께 제사지내는 문제, 장지(葬地)에서의 산신제, 묘제 등 제례에 대해 논한 내용이 필사되어 있다. 작성한 시기와 작자는 미상이다. 글의 첫머리에 "기일에는 옛날에 제사가 없었는데, 정자(程子)‧한위공(韓魏公)‧사마온공에 이르러 제사를 말하기 시작했다. 어떤 사람이 돌아가신 아버지와 어머니(考妣)를 함께 제사지내는 것에 대해 묻자, 정자가 대답하기를 '한 분의 신위에만 제사지낸다.'라고 하였다. 그래서 주자(朱子)도 가례(家禮)에서 한 분의 신위만 설치한다고 하였다. 우리 조선에 들어와서 ?오례의(五禮儀)?에 따라 아버지와 어머니 신위를 함께 설치하니, 마침내 나라의 풍속이 되었는데, ?오례의?라는 책은 개국 초기에 잘못 편찬된 두찬(杜撰)이다."라고 하면서 퇴계도 '어머니의 기일에 아버지 제사를 올리는 것은 존자(尊者)를 끌어들인다는 혐의가 된다.'고 하였으니 이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장사지낼 때의 산신제(山神祭)와 묘제(墓祭)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박주(亳州) 양(梁) 아무개의 제석(除夕) 시축의 일부 고문서-시문류-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521 박주(亳州) 양(梁) 아무개의 69세 때 제석(除夕)에 지은 시축의 일부 박주 양(亳州 梁) 아무개가 69세에 맞은 제석에 여러 사람이 쓴 시를 모은 시축 초안의 일부이다. 첫 번째 시의 제목이 〈박주 양 69 제석축(除夕軸)에 제(題)하다〉이다. 그 다음에 나오는 시는 〈낭부음(狼婦吟)〉, 〈지비자집(智非子集)〉과 같이 문집에서 따온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사우음(士友吟)〉은 17수인데 벗들이 지어준 것으로 생각된다. 나머지 시의 제목은 〈율리선생(도연명)을 너그럽게 보며 스스로 칭송하다[寬栗里先生而自頌]〉 4수, 〈스스로 탄식하고 스스로 칭찬하다[自歎自頌]〉, 〈지비자집(智非子集)〉, 〈자연을 읊다[自然吟]〉, 〈뜻을 쓰다[記志]〉 3수, 〈심산자집(心山子集)〉, 〈스스로 호를 지비자라 하고 또 지비자라 부르다[自號智非子又號知非子]〉, 〈정락와 운에 차운하다[次靜樂窩韻]〉, 〈곡성의 월계에서[谷城月溪]〉, 〈있고 없음을 읊다[有無吟]〉, 〈장서실에서 쓰다[書于藏書室]〉 등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공부(工夫)가 되는 시 10수 초고(草稿) 고문서-시문류-시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시를 배우는 것 외에 공부가 되는 시 10수의 초고 시를 배우는 것 외에 공부가 되는 시 10수의 초고이다. 작성 시기와 작성자는 미상이다. 《방옹집(放翁集)》에 대해 얘기하다가 아이들에게 시를 가르치는 대목에 이르자, 시를 배우는 것에는 시 외에 공부가 되는 것이 있었다고 하고, '아이들에게 시를 배우는 것 외에 공부가 되는 시' 10수를 적었다. 그 중 "색은행괴음(索隱行怪吟)"에는 부제로 "중용 주석에서 설명한 색은행괴를 서술하여 읊었다[述中庸註說索隱行怪吟]."라고 하였다. 색은행괴는 《중용장구》 11장에 나오는 말로, 숨어있는 궁벽한 이치를 찾고 괴이한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유택(鄭逌澤)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癸之至念五日 鄭逌澤 癸之至念五日 鄭逌澤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계년(癸年) 11월 25일에 동생 정유택이 근례(巹禮)가 순조로이 이루어지고 위재에 답서를 보냈다는 소식의 간찰 계년(癸年) 11월 25일에 동생인 정유택(鄭逌澤)이 보낸 간찰이다. 도중에 한 번 만난 것으로 저의 비루한 마음을 씻지 못하고 그리운 마음이 깊던 중에 뜻밖에 편지를 받고 놀라우며 마주 대하고 이야기하는 것처럼 위로가 되었다고 인사하고, 매우 추운 요즈음에 대석인(大碩人 모부인(母夫人))의 근력은 강녕하시고 형의 체도가 진흙 길에서 수고롭지는 않았는지, 가족들 고루 편안한지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혼사로 어수선하여 몸이 쓰러질 듯한 것 외에 다른 일은 없고 날씨가 온화하여 근례(巹禮)가 순조로이 이루어져서 다행이라고 하고, 위재(危齋)에 답서를 보낸 것을 보았으면 환히 알 것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6년 이송렬(李松烈)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丙子五月十四日 李松烈 李敎成 丙子五月十四日 李松烈 李敎成 전라북도 고창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6년 5월 14일에 이송렬이 사돈어른 이교성께 안부를 여쭙고, 질부의 건강과 아이들의 일과, 농장에 이식하는 일, 남초에 대한 일을 써서 보낸 간찰 1936년 5월 14일에 고창군(高敞郡) 성내면(星內面)에 사는 이송렬(李松烈)이 보성군 문덕면(文德面)에 사는 사돈어른 이교성(李敎成)께 안부를 여쭙고 질부(姪婦)의 건강과 아이들의 일과, 농장에 이식(移植)하는 일, 남초(南草, 담배)에 대한 일을 쓴 편지이다. 피봉이 있다. 질부의 건강은 조금 나아졌고, 공부하는 아이들도 일과를 잘 배워서 다행이다. 드릴 말씀은 근래 귀 족씨인 석씨(錫氏) 노인의 편지에 이식이 물론 완료 되었다고 하지만 상답(上畓)은 겨우 완료되었다고 한다. 말씀하신 담배는 농사에 힘쓰느라 바빠서 겨를이 없었으니 더디더라도 기다려 주시길 바란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희석(李喜錫) 수신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至月十四日 李喜錫 至月十四日 李喜錫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모년 11월 14일에 가천에 사는 아무개가 이희석에게 보기를 청하였지만 못 만났기에 장성을 출발하니 만나서 이야기 나누자는 간찰 모년 11월 14일에 가천(可川)에 사는 아무개가 이희석(李喜錫)에게 보기를 원하였지만 못 만났기에 장성을 출발하니 만나서 이야기 나누자는 편지이다. 국한문을 혼용하여 쓴 쪽지이다. 누차 보기를 청하였지만 왜 못 들은 척 하는지 모르겠다며, 급한 일이 있어 장성(長城)을 출발하여 떠났으니 만나는 것을 약속하여 얼굴 보며 세세한 이야기를 나누자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0년 당숙모 한글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경신팔월초삼일 당숙모 종질 경신팔월초삼일 堂叔母 從姪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20년 8월 10일에 당숙모가 이전에 말하던 사람의 망칙한 살림과 곡식 상황, 비석 세우는 일 등의 내용으로 종질에게 보낸 한글간찰 1920년 8월 10일에 당숙모(堂叔母)가 종질에게 보낸 한글간찰이다. 너의 옥필을 받으니 기쁘고 반갑기 그지없다고 하고, 본래 갈 때에 많이 고민하고 무사히 집으로 돌아오기를 빌었다. 노친은 다 안녕하신지 묻고, 복돌이 종중 서씨가 대단하다고 말하였다고 하였다. 매형은 사는 곳에서 그 모양으로 살고 있는데 그 사람은 16일에 보내고, 이왕에 말하던 사람이 6월 모이는 사이에 다시 내려왔으나 사람이 힘이 없고 속일 수 없다. 생각할수록 망칙한 살림이다. 아직 추수 전인데 곡식이 상할 모양이나 아직은 허다한 쭉정이라고 하였다. 7월 초에 개성에서 종댁네에 갔다가 며칠 전에 왔으며, 아무쪼록 비석을 세우더라도 영남놈들이 설치하는지 네가 다 주장하여 다시 와서 숙모의 생전에 다시 보게 해달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文(4) 門下進士李惟馨惟靈受天正氣爲世人豪誠敬內【缺】直方外操姿稟眞醇器量淵深道德旣積文章有聲淵源洙泗統緖朱程身【缺三字】學究精微功專自修聖賢是希明以燭事是非不眩恕以及物取舍能辨憂時悶俗動於容色好善疾邪出自衷臆敎成家庭行孚鄕曲師表儒林典刑邦國無賢不肖心醉誠服早將才美選名黃甲方期大施展盡所學纔撫五邑鳳凰枳棘杜母南陽幾除民瘼文翁蜀郡屢興儒化嗚呼荷衢有梗得輿未久琴鶴歸來懸磬一室才優經濟位止閑秩玉山新庄爰得我所梯村晩築溪壑窈窕優游泉石幾多歲月夢斷榮利爲善最樂斂德于躬惠我後生隨才抽啓不遺昏明曰台髫年亦側門屛頑愚蔽塞學未知方幸識依歸猥承鱣堂諄諄誨化眷眷誘掖十載函丈義均子姪繄敎之賴以有今日恩深河海報蔑毫絲中心感德只增慙恧那知一夕遽摧樑木斯文安放吾道何依黃壚白日瞻拜無期所慰大似仁孝蘭蕙盈庭承先肯搆不墜家聲積善毓慶天亦有延嗚呼向風丹旐載歸翩翩四尺高封知在何阡公私之痛欲籲無緣幽明永隔慟哭何及一杯爲訣彼蒼邈邈至哀不文惟告以忱靈如有知庶幾降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浦十六景 一帶平鋪水輕盈素練光明知濯江漢應是曝秋陽右平江鋪練淙潺流澗水澈底是寒光手弄玲瓏玩初應根至陽右小澗涵玉處士俄時出空山獨鶴飛徘徊莫多怨早晩不虗歸右孤山別鶴沙上隨陽鴈驚寒四散飛寧因荻風起責莫鴈奴歸右寒沙驚鴈文嶺月初上幽床素影侵此時淸意味不待到天心右文峯湧月想古柴煙處幾曾冞入侵恐今雲峀出人不道無心右烽峀飛雲蒼蒼松志操皓皓雪精神獨冠四時像何如桃李春右松崖密雪物像共遊矚分明造化神風流看甚處疏雨柳堤春右柳堤疏雨爾牧無長物簑肩笛在腰行人爭渡去牛背似宣驕右渡頭牧笛鋤亟禾彌畎鋤除草沒腰謳歌有相道亂唱不勝驕右浦口耘歌人行橋上影飛步絶塵埃似已離形迹如何趲去來右斷橋人影夜分收視聽香盡靜煙埃不是招堤境鐘聲續續來右古寺鐘聲有香兼有色香色與之同然似濂翁否無由心得翁右臨池賞蓮觀魚異羡魚擇術與誰同閑坐苔磯上無心作釣翁右坐石觀魚暇日魚臺上放敎雙眼開惟嫌詩境界未免役吟才右南臺遠眺西岸移筇緩輕陰落照開知還同倦翼不是棄良才右玉岸晩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巖精舍十二詠【幷序】 三巖精舍十二景未嘗涉其境何能描寫其髣髴乎因其題想其趣味不見形而度其心如此聊以副主人之苦索耳古之工於詩者靜中生動始得爲聲畫矣聞朴君淸苦於焉樂飢故致其意思多焉幸一笑小艇日搖曳微茫煙水深江湖眞趣在忘却羡魚心旅鴈落沙渚一行復兩行無端秋思苦憶弟在他鄕石面平如削雲根猶半浸安知靈物無似有神所禁岸松知幾樹翠色直分湖何苦三巖子還如冬嶺孤動靜必因境江流有淺深斜陽端駃處識取動時心一浦溶溶月千江同此明古人心可見傳授只惟精西岳供回首閑游雲雨邊不妨經一霎反照忽山前南岳無多遠鐘聲重以遲一聽復二聽操舍謹毫釐晩餐豈不甜口業固齏鹽懶起持竿出歸來月掛簷白屋數家煙輕籠楊柳阡饔飧應不足婦子且爲年飛泉山上來幽澗自生響不待反諸身灑然心骨爽解道江如練仍敎風作紋均之爲外物富貴摠浮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文(5) 侍生李實惟先生美質超俗雅致出天德量淵乎氣宇泰然夙志遜學魚游千里靑燈照十年之帷黃卷講千聖之旨溯波濂洛探源洙泗及夫金門射策桂籍編名靑雲半世瓊佩煥榮屢宰十室鳳棲非梧一琴歸來三逕荒蕪簞瓢巷處晩齡生涯一壑林邱百年徜徉後覺有師考德問業春風一座門雪三尺作儀表於斯世重實肩於斗北造化一戲支離床席苦呻多年竪入肓裏禱之久矣庶勿藥而有喜今而免未遂啓足而永訣哀訃所曁孰不痛怛風塵夙聞湖海相知驚泣不已雪涕漣洏嗚呼哀哉小子賤迹常躡公堂不我爲鄙特賜恩光每承瓊屑若襲蘭薰年來阻拜敬慕常勤去春一進謂侍淨几語以人傳病莫能起那知此疾之爲祟竟致梁木之其頹神姿旣逝杳杳泉臺遺篇塵掩舊迹荒涼嗚呼哀哉浮生梭擲急景駒忙小微星沈活溪人亡一杯何處永閉芝眉吁其不可復見涕潸然而深悲而所恃而慰此心者有先生可與依歸胡天之不憗遺奄又去而莫余追兩月之間哭此二賢于人世何如也嗚呼哀哉芳筵昔陪笑語溫溫憶昔如今空拭淚痕就正學問之無所得接風裁之無日地下人間情曷有極痛哭再拜靈床凄寂辭以爲侑庶幾來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遺事 游軒先生謫居海島負笈往從講劘經訓及其呼臯絶域無人殯斂先生跋涉奔哭周施區畫獲返旅櫬安葬于先壠之側草游軒遺事遍示于當路竟使游軒及諸賢同被洗典而其他冤枉之伸僞勳之削實多先生之力焉乙巳之後雖以眉巖高峯之卓識高見不能無疑於乙巳之變而先生爲諸賢剖破源委使一世曉然知乙巳之禍甚於己卯之禍先生所居之地癘疫不犯故閭里之人及先生子孫一無經疫者綾城有恠鬼橫肆之變人多暴死古阜有惡疫熾蔓殺害無已及先生莅官卽時寢息人皆異之在光州時天旱爲文而祈雨卽時雨下如此者屢矣故天默齋祭先生文曰轟雷霆兮走魑魅注甘霖兮活疲癃其格天地感神人類如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玄洲書院上樑文 金命昌使後學者知所向垂百世啓佑之功有斐君子不可諼立千秋享祀之廟簾騰燕賀棟煥翬飛惟我晩軒丁先生山河降靈星斗鍾彩在爲兒戲嬉之日大人之儀度已成及就傅游學之時遺經之奧義斯究內服檜山游軒之誘掖樂有賢兄外被眉翁圭老之奬歎首擢諸子躬踐實履溯嫡緖於濂閩志存經綸效嘉猷於稷契孝於親忠於國無忽怠於終始憂而違樂而行有餘裕於進退胸中灑落霽月光風氣宇凝重泰山喬岳數椽茅屋樂顔巷之簞瓢一區林泉送邵窩之日月平生操履惟在誠敬上工夫餘事文章莫非道義中流出道所存者吾黨爲之依歸文不在乎師門有所矜式極其所造之域雖未易窺粤自樑摧之初皆曰可祭久矣苾芬之未薦實是多士之羞邈焉丈席之難追愈深一方之慕爰考白鹿故事乃拓玄溪新基接古里之煙霞杖屨所曁挹寧川之休氣祠宇相望凡在吾道中人罔不欣悅而起敬以至閭閻下賤亦知奔走而服勞山斗景瞻喜崇奉之有地黍稷馨香庶俎豆之罔愆玆涓吉辰恭伸善頌兒郞偉抛樑東望中方丈聳晴空至今不改唐虞色此道千年與始終兒郞偉抛樑西畫欄千尺俯前溪淸波一曲春堪浴講罷高齋六七携兒郞偉抛樑南曉閣聞鷄月正涵箇裏孜孜何事業勤將聖訓省身三兒郞偉抛樑北一代高名懸斗極淸風嬴得後來欽聞者波奔過者式兒郞偉抛梁上天道無他亦無妄吾人亦有不息功對越唯應加勉彊兒郞偉抛樑下梧桐月上宜淸夜靈臺洒落不動塵一般淸意人知寡伏願上樑之後門成鄒魯士敦詩書人才蔚興佇見衣冠之濟濟儒風大振永聞絃誦之洋洋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