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7년 김관두(金寬斗)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昭和)12.□.11 金寬斗 李大淳 (昭和)12.□.11 金寬斗 李大淳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1937년 5월 12일에 김관두가 수신자에게 고발 사건은 공을 먼저 생각하니 신문을 받은 결과를 기다려보자고 하는 간찰 1937년 5월 12일에 김관두(金寬斗)가 수신자에게 고발(告發) 사건은 공(公)을 먼저 생각하니 신문(訊問)을 받은 결과를 기다려보자고 하는 편지이다. 고발사건에 대하여 미안하지만 하필 이교성(李敎聲)에게 마음이 있고 당신에게 무정(無情)하여 그랬던 것은 아니다. 공을 우선으로 하다 보니 그렇게 되었다. 마음에 두지 말고 이교성씨를 방출(放黜)하면 만사가 편안하여 송사(訟事)가 없을 것이니, 서로 화호(和好)하는 도리가 이것이다. 자신의 본마음은 수신자가 의심이 없을 것이라고 믿고 있으나 추후에 수신자의 생각에 불을 지필 수 있을 것이니 다른 사람과 상의하는 것이 좋겠다. 어제 경서(警署)에서 신문을 받았으니 말경(末境)에 가서는 어찌 될지 알 수 없다는 내용이다. 피봉이 있는데, 발신자는 곡성군(谷城郡) 곡성면(谷城面) 읍내리(邑內里) 조수환(曺壽煥)이고, 수신자는 보성군 복내면 시천리의 이대순(李大淳)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4년 이복용(李福容)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甲子十月十二日 李福容 李冕容 甲子十月十二日 李福容 李冕容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832 1924년 10월 12일에 족제 이복용이 수신자에게 자신의 사촌이 새로 두옥을 장만하느라 현금 22원을 대용했으나 차차 갚아나가겠다고 한 간찰 1924년 10월 12일에 족제(族弟) 이복용(李福容)이 수신자에게 자신의 사촌이 새로 두옥(斗屋)을 장만하느라 위토로 불린 금액에서 현금 22원을 대용했으나 자신도 도움을 못 주어 막대한 죄를 지었으나 차차 갚아나가겠다는 편지이다. 물항동(勿項洞) 위토(位土) 이전(移轉)에 대한 일에 대하여, 이자를 불리는 것을 위탁(委託)한 일은 홍순(洪淳) 편에 상세히 상달(上達)했으니 살펴달라고 했다. 그러나 자신의 사촌이 여러 해 전에 재산을 다 잃어 떠돌다가 지난해에 몇 간의 두옥(斗屋)을 사서 예전처럼 편안히 지내나, 식리조(殖利條) 현금 22원(圓)을 빌려 쓴 것이 있다. 자신도 가난하여 확실하게 갚지 못하고 있으니 죄가 막대하다고 하며 차차 갚겠다고 하는 내용이다. 피봉이 있는데, 발신자가 의용(宜容)으로 원문의 발신자와 다르며, 수신자가 이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김기석(金箕錫)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金箕錫 李舜九 金箕錫 李舜九 전라남도 장성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779 모년에 김기석이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과 곡식 저장소가 가득차지 않은 것에 대한 한숨 등의 내용으로 이순구에게 보낸 간찰 모년에 전남 장성군 황룡면(黃龍面) 옥정리(玉井里)에 사는 동생 김기석(金箕錫)이 전남 보성군 문덕면(文德面) 가천리(可川里)에 사는 이순구(李舜九)에게 보낸 간찰이다. 피봉이 있다. 그대를 본지 오래되어 어느덧 봄과 겨울이 서로 바뀌고 있으니 마음이 서글프다고 하고, 당신의 한 몸은 별일 없이 지내고 있는지 귀댁의 여러분들의 기거는 편안한지 안부를 물었다. 누구인들 자식을 사랑하여 바라보는 일이 없겠는가마는 늙은 아버지가 마을 문에 기대어 기다리는 바람은 자식에 대한 지극한 마음이 범연(泛然)하지 않다고 이를 만한데, 옛 사람은 산에 올라가서 바라보고 뫼에 올라가서 바라봄이 있었다. 그대는 어찌 옛 사람같이 하지 않는지 물었다. 자신은 아침저녁으로 생각하는 것을 그만두지 못한다고 하고, 구루(篝簍, 곡식을 저장하는 바구니)가 가득차지 않아 말을 이루지 못하여 한숨만 나온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詞(7) 上瑞山秀曹溪淸淑氣磅礴生豪英問今何者擅厥美人道先生之盛名先生事業脫流俗塔步工程期正誠法律繩身孰敢侮餘事文章神鬼驚養射郭投何技癢早向王庭歌鹿鳴採蓮折桂猶摘髭半世東華鳴玉珩一麾翩翩暎暮年畫熊移處春風生是時朝野遭艱虞有罪無罪俱禍嬰王事靡盬不顧他積謗熏天公不爭歸來高卧故山雲養性樂道無所營活溪谿谷是知己百年襟期如弟兄相將詩酒送餘景儻來軒冕安足榮昔我先君開壽宴邀請高駕生輝晶舞袖傞傞相與曳萱堂竟夕懽意盈可憐世事須臾改幾度先生衰淚傾賤子叨承不棄恩指引庶幾開聾盲天南忽晦老人精玉京仙闕丹霞明咸悲一代士林宗共惜三朝邦國楨雖然何以慰我懷大似仁孝傳家聲況聞人間七十稀大祺誰似公康寧我今作詩挽公行公不少留傷我情右門下生員崔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詞(8) 天生夫子豈徒然稟得山河間氣專挺世儀容元粹美出天忠孝本純全淵宏器量難窺涘雄偉文章孰比肩射策龍墀才早展垂紳鵷列職無愆一生令望南金重半世高名北斗懸醫國襟懷期舜日致君心計擬堯天文翁蜀郡成儒化杜母南陽盡惠鮮百里驥才悲蹶躓九天鵬路失騰騫邱園虗老調元手林壑空遺濟世賢白首憂時誠轉切丹心戀闕夢徒牽模楷當世人趨正矜式儒林士望纏小子髫年隨杖屨先生函丈賴陶甄開肓猥被提撕久發聵叨承誘掖偏待士有容推款厚誨人無隱著誠虔那知故國摧喬木忍見新阡鎖暮煙絳帳當年恩似海靑衿今日淚如泉斯文索莫終安放吾道榛蕪竟失傳積德餘慶存白璧傳家遺業有靑氊旐明山路薤歌斷殯破虗堂曉月圓一掬西州門下淚不堪鄰篴夕陽邊右門下進士李惟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詞(12) 愷悌丁夫子堂堂罕世人山河間異氣奎璧鍾精神落落恢襟宇溫溫蘊席珍文章斑虎豹表相瑞麒麟稷禹心相許羲皇口自陳齊家修孝悌治國抱經綸師友知從處淵源有所因【缺】龍高節士邦國直淸臣好學忘年老窮經得日新聲名從此大志願儻能伸闊步從何展亨衢進未迍煙霄騰凰翼雲漢批龍鱗偉器儀朝列高才動搢紳頹風期再振囂俗庶回醇畢竟牛刀用出分虎竹頻淮陽便卧治北海好延賓淸白持氷蘗公明御吏民於菟江陵去錦雉野來馴遺愛深南服芳名徹北宸賦歸載琴鶴抽興引鱸蓴舊業圓山下幽居小澗濱林泉俱有適魚鳥漫相親講討羲經熟沈潛道義眞誨人誠不倦接物語言諄元禮模楷手裵公領袖身胸中涵霽月座上遍和春負笈爭登館承風願御輪詞源窺蘊奧學海問要津策疲駑除習磨鈍石不磷優容恩浹骨感激涕沾巾函丈追隨久摳衣幾度巡晩軒論道日後學迭興辰白首閑岑寂黃冠老隱淪腰金新盛奬頂玉舊恩倫遐壽汾陽逼無營范子貧中間乖候問二竪困沈呻三年須藥餌一疾卧床茵易簀悲吾黨撤舂慟比鄰斯文歸索莫大道竟長湮末路亡師表無由報至仁九原難再作脩夜不重晨文字傳來世兒孫映後塵瑕邱曾所卜先隴故山垠幽顯?何及親知慟一均蘭香埋絶壑劒氣觸晴旻準擬躬臨穴其如戒析薪長辭違素欵悵望苦酸辛不忍揮殘墨何緣奠桂蘋乾坤迷所往獨立暮江漘右門下進士高傅良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誌 湖南固士之冀北而人才甚盛潭陽卽我之桐鄕而聞多名賢每爲之斂袵起敬昨冬余黜補武靈那一曰潭之士人金君德涵來示其五代祖晩德公行狀要得幽堂顯刻之文余僇人也顧何敢闡發幽潛屢辭不獲公諱大器字玉成晩德號也光山之金肇自新羅王子興光子孫連九世平章事有諱台鉉爲麗朝名臣號快軒諡文正其後世襲冠冕至諱厲精登科官止漢城判尹高祖諱處謙成均生員副護軍號六行堂戊午禍作自光州晦跡于潭陽曾祖諱麗輝生員典牲署參奉祖諱松命生員訓導考諱應生員訓導文行著世妣彦陽金氏生員彦忠之女公幼而骨格異凡兒文藝早成孝友出於天性甫十歲丁生員公憂持制如成人少遊於鄭松江門下與畸翁爲道義交松江甚許之時公年十八一時師友多推奬至比之於聖門之游夏十九赴鄕解至沃溝新倉津多士競渡舟甚危公止之而不得坐岸上俄而舟果覆皆溺死公仰天歎曰名利之陷人亦類是悉取行中書簏投之江水遂不赴公車逮廢昏朝益無意於世事杜門讀書以自娛拜沙溪先生於連山執禮請益自此聲譽播於道內丁酉倭亂人不保父母妻孥而公背負金夫人忍飢涉險得以免禍還鄕人謂之誠孝所感及金夫人喪哀毁柴脫築室墓下朝夕哭省虎豹避而不近拜跽之處莎草爲之不生服闋愈自韜晦視世之芬華聲利若浮雲過太空只刻意鑽硏沈潛義理之腴老而彌篤常引太公望衛武公事以自勉焉一遵程朱成法以啓牖後進爲已任其有功於斯文大矣時金延興家踣一門盡謫海島人無與結婚者公曰天道無終否之理遂取延興從孫千齡爲婚過一年金氏顯榮始之目公謬妄者爲之歎服反正後應求言之聖旨陳廢朝積弊又薦沙溪金先生張旅軒顯光可大用言甚剴切未幾除健元陵叅奉不就以仁廟辛未二月五日卒燾七十五遠近聞者莫不齎咨涕泣葬于府東貞石面揷峙坐酉之岡士林叶議配享于府內龜山書院配南原梁氏生員成澍女繼配永平文氏生員三省女有三男四女男劼勛玏女適梁千柱宋汝義金千齡金享祿聲發聲五聲駿長房出也聲達聲遠聲美二房出也聲永聲重三房出也曾玄以下多下盡記而皆以文學行誼著可謂公餘祉之未艾也蓋公生而篤事親之道長而盡執喪之節離亂搶攘之際能使老母全安晨夕哭泣之時至令猛獸遁藏至誠所格非孝子而何以師友而言之從遊於松江父子間又質疑於沙溪先生而諸名公交口奬詡則公之爲人可知也至若戒覆舟而廢擧子之業志操之卓也取禍蒙而作東床之郞鑑識之明也逍遙物外歌詠太平者有古人弄丸之意抗疏千言深陳積弊者有畝畝憂國之誠噫若公者宜乎生而爲一世之宏儒歿而躋百代之鄕祠歟余旣歎公事行悼然友重違金君懇叩謹撮而爲之書崇禎記元后百二十年丁卯杞溪兪最基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跋(3) 嗚呼此吾先祖晩德先生遺稿也先生遊於鄭交淸金文元之門而以經學文章行義風節蔚然爲南服偉儒蓋其平素論著可以羽翼斯文型範來世者不翅多矣而年代悠遠至於散亡遺失而尙未行壽傳之計先府君雲溪公竊嘗慨然于此而第緣事洪力纎有志未就竟托于不肖遂爛議宗孫容稷氏發其家藏舊篋裒稡爛簡更考交遊之巾衍間關蒐輯猥爲序次釐其差誤只不過寂寥數編而已則此蓋全豹之一斑函鼎之片臠而其在後孫述先之地思欲寓百世之美墻者豈以編帙多寡而有間哉謀所以登梓而族叔忠鉉盛鉉澈鉉氏族兄永鍊永釆末默永稷永燦氏族侄寅洙錡洙井洙亦爲同心協力而族孫容高最爲賢勞者也累世未遑之事一朝辦焉而先府君未就之志於是焉遂是豈非吾門大幸歟惟吾門後承誦是詩讀是書可以想像其志德之行而豈不有惕然感發以爲可繼可述之道乎自今以來皆知一絲一飯之安莫不由先祖忠孝勤儉中來則庶先志不墜於地矣詩曰無忝爾祖聿修厥德又曰夙興夜寐無忝爾所生盍相勉哉崇禎二百八十八年乙卯肇夏十代孫永柱謹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