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6년 이당(李鐺)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丙寅秋夕日, □.□.21 李鐺 李敎燮 丙寅秋夕日, □.□.21 李鐺 李敎燮 전라남도 보성군 정읍 성주이씨 이유원 후손가 성주이씨 이정순 HIKS_OD_F1050-01-230823 1926년 8월 15일에 이당이 여로로 피곤함과 혼처의 일로 광주에 갈 계획 등을 내용으로 이교섭에게 보낸 간찰 1926년 8월 15일에 담양군 창평면(昌平面) 장전리(長田里)에 머무르는 재종질 이당(李鐺)이 보성군 문덕면(文德面) 장동리(長洞里)에 사는 숙부 이교섭(李敎燮)에게 보낸 간찰이다. 재종조부의 기력이 만강하시며 부모님을 모시고 생활하는 상대방의 체후와 종형제들도 예전에 읽은 것들을 잊어버리지 않으면서 잘 지내는지 안부를 물었다. 재종질 자신은 어제 겨우 장전리에 도착하였는데 여로(旅路)에 몸이 피곤하여 우선 버려두고 또 설증(泄症)이 더하여 견디기 어렵고 두통이 심하다고 하여 자신의 근황을 전하고 있다. 혼처의 일로 광주(光州)에 들어갈 계획이며 '너부실' 광주(廣州)는 합당하다고 하지만 이곳은 일찍이 지체 높은 집안이니 장성(長城) 김씨 집안을 택하라고 하였다. 목물(木物)은 누이가 말한 것을 서로 믿고서 처리하고 옻칠을 가져올 때 광주 홍순(洪淳)에게 옮겨 두면 사람을 보내겠다고 하였다. 피봉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述懷題八幅絹 人知生我昊天恩不敎還爲父過云先子托人求敎切我之今日是誰勤獲從夫子在憂艱耳目無非禮義間半世孤蹤猶未跲只緣透得利名關我愛玉山新卜築一區泉石足優游人謀天意相常異畢竟梯村是首邱避賊間關返舊墟松楸咫尺近吾廬恰當歸盡聊淹日絶勝人多旅櫬舁悔我從前不讀書竊科還是不虞譽閑居十載終無述獨坐天窮抱病歔不要肎學人通患歲月因循誤得身寄語諸孫須警省我言匪耄可書紳交契向時非不有一村同老足相憑數三君子同仁里我病惟憂棄好朋八幅霜紈爲我伸欲將筆意較精神縱然素乏臨池力留與來昆手澤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游軒韻【在謫時】八首 祝壽迓新向老親夢魂歸有箇精神不於成立輸誠孝兼負堂前侍佩巾三疊陽關聞更苦扁舟那忍泛滄溟男兒心事何能協休恨人間浪得名自負平生大男兒天涯餘子有能知休仍恨別爲心恙須覺圓顱我是誰杯殘那許氣從殘累紙縱橫醉墨斑寫出幽懷懷不盡總爲醒後更酸寒燈前促膝志相言悔却從前未避喧一夕頭流山下夢數間茅屋自成村若無君子好懷開羈思如雲誰共裁肝膽如今如水月直須一日數能回不有根基如許來能言還是妄底開只好今夜醉睡聽却到明朝可奈哉天地幾多靑白眼逢場休道不宜狂醉來月色茫洋裏欲理瀛洲萬里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慳勝亭【幷序】 河希楫就屋後山腰?石搆亭拓址才植一架楹自外視之惟若尋常如緣厓野店莫可認爲亭者及涉其層埋頭藏面坐失其尋常者而丈席之外只皆淸虛之域列巘橫嶂圍廓欄截紆百許里一面頭流正案相對亦相與等【缺】巨川自北而經前雙流自東而來會隱映明媚擧在目中此皆尋常游歷之地而由亭以望之換形神秀昭曠快活眞勝槩也而況平原廣野盡爲農牧之塲故希楫徵扁於南岡嘗以觀稼爲稱主人之事而名之猶嫌其未雅復囑於余甚急余思玆亭之固可名而占地尋常遇主人非知名者余且賞矣而非能使光飾者請以慳勝可乎主人曰諾因索詩書此以贈柴門去咫尺直是小崢嶸眼界如何大川原恁地平只須生靜夜不必擅佳名此說還長也深杯且可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安文 諮議李頤根天佑我東亦眷南疆儒賢代作鄒魯斯鄕游翁檜老二程於洛淵源旣深惟靜菴學仰惟先生早襲其緖質厚氣淸德備才巨忠孝內根謙恭外著河海弘量稷禹心期循循下學敬義夾持軌範訓謨循蹈矩規負笈海島風雨美境不顧世網伊洛夜詠亹亹孜孜玩意潛心有踐其實有詣其深儒林喬岳學海盟宗一源流出萬善皆從文章灝噩乃其餘事列郡謳歌特其糠粃直道不撓世路臲卼妖僧助桀義急沐浴誰幻譸張謂焚崐岡內省無疚外謗何傷介石貞吉縮朒名塲浩然南歸衡泌洋洋龍頭勝區玉山別業闢齋知今有莘來學於焉講劘活爺天翁鄕邦有師衿紳知宗維天有斗靡遠不瞻相彼河潤近者先沾沒世愈久盛德難忘胡不俎豆多士共相乃建新宇維梓之鄕寧川在左先師所侑一水東西兩祠新舊陟降相隨不昧有靈依然函丈響像平生誰與共腏侍中李公異世同調宅相遺風大德不孤歿亦有鄰永垂顧歆啓佑後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尹浩輓歌【表從弟好酒來留蓮城飮秋露入杯爛膓而死】 生死無端隔一晨沈酣人說自傷身從來塵世無眞住杯酒何能解殺人跋涉東來意可憐窮愁多處又生捐傍人莫問緣何故醒醉同車向九泉膏火投身每笑蛾樂吾多處害吾多人生自取將誰咎百酒千燈死一科莫言好酒傷生早不飮何人度百年大化悠悠來去速一般荒土鎖寒烟幾夜月明悲客事一軒罇酒死生分從天未借秋凋勢空見冰苽用力勤白旆紅旆強壯日問君今去向何州重泉不盡輕生恨千古高陽飮者羞人死人生自有時幺麽杯酒更何疑若因好飮爲身禍當日陶劉不死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後識 靜菴一脈流及南土檜老游翁時稱河南之兩程而惟我晩軒公首得其傳自少熟聞靜菴之學至純且正故平生爲學惟誠敬精一之外靡有他適經書子書無不熟讀精硏而尤致力於朱子大全老而彌篤以其孔孟以後集大成之功全在此書故也嘗宰綾城立靜菴祠妥靈尊奉且爲文諭鄕之士使知所衿式而持循焉則其追光前武啓迪後人之功爲如何哉以其抱負之重雖未得大行於世其州縣之設施臨亂之經略敎人之誠切及進退行藏之得宜則槩可見於先生遺稿及門人撰掇中矣先生曾孫六拙公嘗草稿於兵燹之餘吾先子初年亦因其本傳寫一通藏之巾衍今門長晩翠翁博採廣鳩搆成一秩而家世淸寒未克鋟梓龜自幼習聞先君子慨歎之言至今耾耾于耳粤在庚申托迹于性潭先生門屛之下先生於靜菴爲直注淵源也靜菴先生之學大明於栗谷而大成於尤翁得尤翁之嫡緖者惟是塘翁而塘翁之傳至於先生先生之於吾先祖實爲異派而同源似不可恝然故嘗以耕樵之暇所自校書者就質于先生請以弁卷之文先生深惜剞劂之尙闕而優許所請且戒小子曰大抵文集務精不務多須與君輩中識見之優者更爲考訂刪其繁文撮其要語極要精彩焉小子受命以來爲病所魔不克遂意者殆半年矣昨秋告于門長請同門丁聖仲李仲茂數人于晩軒公黌舍參訂讎校而其所存拔一從先生指敎其正書則以余稍知字學之糟粕屬之于余辭不獲自冬徂春凡三閱月而告成本編三卷附錄上下痼病之中精神慌惚多所詿舛未足爲登梨資也姑竢繕手而與族兄南擧氏謀所以經營之然豈易以歲月期也略敍前後事因書于此崇禎後旃蒙赤奮若夬之旣望不肖仍孫錫龜謹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松沙奇先生樂府嘉卉詩 沆瀣其華注不凋物中特立丈夫豪羞比方春桃李面寒流石上秀孤高右松王春一脈十分紅流落當年海以東昨夜江南消息至夢魂不斷大明中右梅最宜石上主人栽玉露淸宵孤鶴迴若裁薰殿絃琴調庶幾南風更拂來右梧桐門前種得學先生千載遇人亦重名離亭別舘知何處依舊東風搖艷情右楊柳薄採西出問伯夷西山安在箇中奇三山亦是西山色春到江南雨露時右薇蕨每向幽林採採歸煌煌春色襲人衣欲問晦翁曾憩蹟篔簹古浦路依依右芝潯陽歸路爾獨行不是風霜失所根自生試看黄中美豈非人間至行原右菊不以無人自不芳幽林深處獨生香秋風紉作靈均佩遙憶美人天一方右蘭亭亭留待淸秋開君子花宜君子栽遙看鏡水無風動惟有神龜葉工來右蓮主翁庭畔抽丹心繭紙不妨終日吟葉葉展新新雨好晟時鳳尾此中尋右芭蕉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