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이황 으로 검색된 결과 1090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等四人侑享之所也蓋處順資稟明潔聰警不羣自少已不屑於擧子業厲志學問樂善好古持身則動遵經訓制事則一聽於義未嘗爲浮議俗論之所撓屈孝友之誠出於天性早孤未及省顔爲至痛事母而以少咈親志爲深懼無方之養極其誠意平居則或爲嬰戲而悅之侍疾則嘗其泄痢而驗之及其居憂也飦粥疏水之節過於常禮處於土炕未嘗就枕夜必倚壁毛髮盡礫鷄鳴哭墓不避寒暑朝夕就廚手具饋奠雨雪擁帚躬掃塋域三年之內常如一日焉是以故儒臣盧禛贊其行比於高柴二連焉事其兩兄如事嚴父視其諸姪無異己出常喜讀近思錄謂此書於入道最要而板本罕有其赴任求禮之日陳請刊行以廣其傳本縣舊無宣聖廟遂相地而營建已闡儒化己卯之禍罷歸田里終不得大用於世而其行誼之表表在人耳目者大略如斯矣煥熿皆中廟朝名臣煥其兄熿其弟也兄弟制行甚高孝友俱至庭闈之間婉容愉色奉養兼盡及遭母喪哀毁踰制因而成疾煥纔及期而沒熿幾絶者數幸而得支友愛之篤實爲一時之準則平生同居和樂怡愉未見其涯岸焉其同堂異室之制至今流傳基址宛然矣言其資稟學識則煥之爲人莊重嚴毅迥出等夷少就賢師學務踐實不以誦說爲事治身莅職內外斬斬人不敢干以私見人非違則雖在同好亦不少撓焉當安老重權之日路逢臺諫峻斥其不能擧劾聞者竦然熿之爲人忠誠端直始得家庭之訓終藉師友之益言議文字本諸春秋遇事盡言凜然不撓仁廟大漸之時請入藥房參視湯劑曰君父之病委之醫官可乎其忠懇之出於至誠如此乙巳禍作之除奸臣元衡使其門客夜抵熿家誘脅百端而絶之甚嚴旣配絶島又囑私人來覘其意而熿以死自誓終始拒却操心俟命不變所履沈潛典訓所造益深而沒於謫所竟未得展布所蘊其實士林之至今嗟惋者也大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以黃鉞斬紂。夫此說。本出於汲塚書。而太史公。誤信之。載於史記。故後賢削之也。今東坡擧而論之。其言之不足信者四也。其曰當漢之末荀文。若聖人之徒也。知非曹操。無以定天下。故起而佐之。嗚呼陋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剔血剖腦。開示昭晣。雖使先兄返鏡自照。蔑以加悉如來書云云者乎。僕不見先兄久矣。遺書雖在。典型日邈。每寂寞無聊之中。覆衾向壁而思。若或睹其言貌氣象之髣髴。而一轉而臥。則思不能復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사상적으로 이황·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에게 연결시킴으로써 기호 남인의 선구이며 남인 실학파의 기반이 되었다. 전서(篆書)에 독보적 경지를 이루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而況於今者, 孰不欽仰乎! 兩先生卓節大義, 同歸一揆, 則今日幷侑之擧, 盡出於秉彛之論。 猶未知僉意之如何? 不勝悚悚。 餘病倩不備。 伏惟僉照。 謹上6)狀。辛卯十月十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以皇上壬申十月四日生于羅山里第。自幼聰穎。異於凡兒。甫七歲丁外憂。哭踊之際。哀動傍人。嘗就塾。塾師以食物賜諸生。君不先入口。分爲二封。納于懷中。有一兒問其故。答曰一以供母。一以獻師。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白羊之擅勝南方。往往與金剛之衆香香積相髣髴。而於是焉遊者乎。余於是卽又自詑以平生第一勝遊。非過也。雖然。凡我十八人者。固多駸駸衰且老矣。居相南北而遠近。後更不易圓聚于此。幸而聚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在界山里黃沙谷艮坐。繼配瑞山鄭氏松菴煥禹女。卽余伯姊。賢有行。後公十一年歿。墓在所居村後鳩嶺山下丑坐。一男四女。男稷鉉女南平文炯周義城金基文尙州周悅會鄭出也。女晉州柳遠華姜出也。孫男漢瑚漢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招而入則此分隊長云遂入其所謂分隊長廳分隊長者曰觀公所與三巨里所長書則己知此金之不受然無傷於義而皇帝所賜不可牢却更願熟思張皇說諭幾過半餉先生乃復言不可之義渠曰旣如是固執則何可强勸乎此非吾所專也當仰告上官聽其指揮歸而待之可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中廟惻然寬宥减置荐棘世纘處坎窮阨朝夕屢空人不堪其憂而恬然自安大書忠信二字於座右日課心經近思諸書手不釋卷有時吟咏愛君憂斷國之誠溢於歌詞中廟適遣使偵察知寒狀心甚憐之未幾以内翰召還賜醖便殿以示感悟之意自是寵遇日隆歴踐清顯翺翔近宻與文征公臣金麟厚文純公臣李滉諸人同被湖堂之選承恩讀書之暇相歟講劘深究性命之源託爲道義之契後當乙巳之初姦臣尹元衡鼓唱凶言魚肉士流世纉連以諫長憲長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言曰會寧武夫堂上之任也金啓今仕越其階文用武職非聖朝待文臣之揆也上答曰邊憂旣深實難其任今得其人何論階次乎蓋以北門鎖鑰非公不可也遂陞承政院同副左副承旨每侍講經筵論說稱旨時稱帷幄得人一日上下詢己卯士禍之由公歷擧靜庵諸賢被禍源委幷及袞貞輩戕害善類之狀敷陳甚悉宣廟特爲傾聽此可見公之尊賢之誠辨奸之明也以黃海監司入爲吏曹參判公以名位過隆乞骸歸鄕而自解曰吾以遐土之踪纔過弱冠獲參高第不可謂不早也讀書十載出仕位至亞卿不可謂不達也古人云知足不辱知止不殆眞至言也遂上疏辭職構雲江亭舍而杜門謝事惟以書籍自娛以爲終焉計乙亥正月八日卒

상세정보
저자 :
朴河澄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현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朱子大全 卷33 答呂伯恭》 이황(李滉)이 말하기를 "배우는 사람은 먼저 모름지기 심신을 수렴하여 냉담한 가계(家計)로써 고되고 힘든 공부를 해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金樂春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李溟翼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朴河澄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李象靖 撰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1090
/55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