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56년 조성민(曺聖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茂長縣監 曺聖民 墨印(18.0×5.0)朱印(6.2×6.3)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725 1756년(영조 32) 9월, 무장현(茂長縣)에서 유학(幼學) 조성민(曺聖民, 2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27년 이호(李虎) 토지 소유 보존 등기 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書) 1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 李虎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3.6×3.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622 1927년 5월 16일, 신청인 김공우(金孔宇)가 전주지방법원 진안 출장소에 이호(李虎)에게 토지 소유권 이전을 위한 등기를 신청하고 발급받은 문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68년 조성민(曺聖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茂長縣監 曺聖民 墨印(18.0×5.0)朱印(6.6×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725 1768년(영조 44), 무장현(茂長縣)에서 유학(幼學) 조성민(曺聖民, 4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9년 부동산(不動産)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金相永 李虎 全州地方法院任實出張所印(3.6×3.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9년 6월 4일, 매도인(賣渡人) 김상영(金相永)이 매수인(買受人) 이호(李虎) 앞으로 토지를 매매하고 발급한 매도 증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정진문(鄭鎭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沃溝縣監 鄭鎭文 墨印1顆(10.5×4.5)朱印1顆(6.3×6.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764 1882년(고종 19), 옥구현(沃溝縣)에서 환부(鰥夫) 유학(幼學) 정진문(鄭鎭文, 5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친모(親母) 장택기(葬擇記) 3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918 친모(親母)의 묘소(墓所)를 택(擇)하고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택일기(擇日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3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918 모(某)의 묘소(墓所)를 택(擇)하고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 덤위치에 관해 기록한 擇日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9년 조계묵(曺季默)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茂長縣監 曺季默 墨印(13.3×4.5)朱印(6.3×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725 1819년(순조 19), 무장현(茂長縣)에서 환부(鰥夫) 유학(幼學) 조계묵(曺季默, 5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용성(愼容晟) 얼계연원록(蘖溪淵源錄) 수단(收單)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愼容晟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용성(愼容晟)이 작성한 얼계연원록(蘖溪淵源錄) 수단(收單)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문인록인 얼계연원록(蘖溪淵源錄)에 수록할 신종봉(愼宗鳳), 신종린(愼宗麟), 신준성(愼濬晟)의 행적을 기록한 수단 내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00년 흥학당(興學堂) 도조기(賭租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興學堂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806 1900년 윤8월 작성된 흥학당(興學堂)의 도조기(賭租記) 흥학당의 전답을 경작한 소작인에게서 거둔 소작료의 문서대장 전답 소재지, 소작인, 두락수, 소작료를 기재해 두었으며, 가감(加減)한 흔적이 확인됨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깃기(衿記) 3 고문서-치부기록류-깃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담양(潭陽)의 전답(田沓)의 자호(字號)와 소작료를 기록한 깃기(衿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竹隱記 瞻彼德山綠竹猗猗須問其主行義無俗君子之節也捨是竹奚以哉姓曰文文與可之畫竹可期乎此也字曰白竹白傅之養竹可記乎此也名曰濟國故相國之樹竹可培乎此也里曰德山衛武公之德竹可比乎此也不市而隱號不從外而取曰竹隱不可一日無此君淸風之胸襟明月之趣味無與人同儔而獨樂之情非塵俗之人所共知者也此隱之所在竹館之琴嘯者亦謂人不知而獨明月來照耶竹曰君子君子之伴非斯人竹似賢賢者之隣非斯人斯人之類則梅隱樟隱同爲一體而亦無愧於菊隱橘隱矣請余以弁文者竹隱余未辭而爲說者竹隱竹隱之隱而不說者未敢盡說於竹隱而竹隱之不隱而說者乃露著於竹隱引風招月之竹隱凌霜傲雪之竹隱竹隱之未隱者此外幾多余說隱盡未收隱於竹隱木善說竹隱不待人言而知哉於是乎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愼庵記 古云愼是護身之符人皆知護其身而未聞有佩護身之愼符而行之者愼蓋難矣草有愼獨芙蓉可愛言有不愼桑龜堪笑故傳戒之曰必愼其獨又曰先愼乎德未知愼獨者其誰愼德者其誰永平文承浩氏知其所愼號以愼庵愼庵卽護身之符也歴數其愼自齠齡至于老白首目不視非禮之色亂其心是愼庵之一愼耳不聽非禮之聲動其志是愼庵之二愼口不道非禮之言棼其志是愼庵之三愼足不踐非禮之地惹其情是愼庵之四愼一斑可以知全豹之文而愼庵之愼何必一一盡擧然後可謂有副於愼庵獨處幽室於善於惡旡陰旡陽愼獨之愼愼之者愼庵生老德山維桑與梓必恭必敬愼獨之愼愼之者亦愼庵是愼也已自獨愼而人自知其愼非爲人愼而已永譽之愼愼庵之外更無愼庵而一文愼庵而已然而愼庵不愼一言使我毫舌汚染其愼庵此愼庵之一不愼乎於是乎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得喜雨贈倚重彦龍兩君 雨氣東來暑氣消樹頭歷歷響風瓢農心不復憂無麥帝德從知格有苗詩就百篇追白雪酒酣雙頰上紅潮豐年賸得維魚夢不是隍中覆鹿蕉一樂能令百悶消抱琴負劍復操瓢恩霑赤地商巖雨喜溢蒼生禹甸苗襏襫只須朝曬日桔槹何必夜迎潮新詩和罷閒揮塵洗硯池頭亦種蕉數日火雲吹不消今朝馬上瀉天瓢千倉便擬盈周粟百畝何須問宋苗漢水圓中休抱甕潯陽江上亦通潮終宵喜劇不成寐況是軒東有綠蕉雨誤歸期酒半消走來西舍擧輕瓢知時可占歌三穟不疾從敎潤百苗靑草池中蛙作隊碧松林際海喧潮今宵客夢應難穩恐向階邊亂打蕉三旬旱氣未全消馬鬛誰傾李靖瓢自可預成周廟頌不須勞揠宋人苩抱甕灌客開閒笑喚襫漁翁赴晩潮佳會偶然離復合主人休惜剪園蕉妖氛已向雨前消喜劇端宜屢擧瓢赤脚再勞炊鼎玉白駒還愧食場苗風驅天末稠雲葉火急茶鐺戰海潮可笑詩貧當大手强將荒句寫新蕉彦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有人以雨中海棠詩求和 瑤臺仙子服丹酡斜倚東風嬌月娥鳳髻依俙披錦障霓裳縹緲隔金鴉芳心已醉紅羅飮風味宜要白屑茶脈脈臨軒新睡覺蓬瀛童女爛簪花墻下誰垂醉面酡應驚巖上俯群娥憑窓相對紅如煮把筆孤吟字似鴉穠艶倍增添喜雨閒愁盡散啜新茶東鄰舊侶先逃酒肯到高軒詠此花彦龍又天公造物自然酡鍾秀陰陽肯比娥狎獵開時形舞鳳妖饒落處狀翻鴉月明影伴鷄冠果風動香隨鶴頂茶晝永簾垂幽靜地閒吟朱子自飛花莫是楊娘醉後酡九疑山上泣雙娥偶然相對頻呼酒不覺前林已暮鴉蘇老莫謾誇好作杜陵徒勞賦山茶百年會合知無數他日重吟月桂花彦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高彦龍朴倚重兩君來慰我寥落贈二律 死後含珠得控頤生前有酒且盈巵江淹文躓因還錦杜甫家貧尙乞絲澗壑霜松多老幹驛程風柳摠柔枝虧成萬古皆如此何必浮名動一時閒齋一夜共支頤萬事端宜付酒巵蹩躄長途憐泣路蒼黃世態憶悲絲無人可與彈流水有淚空揮聽竹枝賴遇主人情繾綣盡傾深抱醉多時彦龍又養生無術到期頤況欲江河實漏巵兩刖卞和猶抱玉多悲墨翟豈因絲懶從狡兎營三窟甘學鷦鷯守一枝屈指流年今五十知非却笑未多時明時泣玉淚交頤無用眞同無底巵爲國丹心猶耿耿緣憂白髮已絲絲簷間燕子尋前壘階下梅孫長舊枝靑眼故人心鄭重還期不覺屢移時彦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師友錄 【本集斷爛而諸公諱字居地多有脫蓍未詳故姑依舊本收錄以竢知者】梁彭孫【字大春號學圃濟洲人弘治戊申生丙子文科官弘文校理己卯士禍能歸田里與趙靜庵同享綾州竹樹書院贈吏曹參判後加贈吏曹判書謚惠康居綾州先生表叔】梁廣文【諱未詳先生之戚叔而或云訓導公之別稱學圃公之從弟訓導彭世耶當考】鄭滋【字酌古迎日人與先生同庚松江先生伯兄庚子文科官翰林乙巳禍杖歸田里卒於道】鄭沼【字仲涵松江先生仲兄號靑莎進士兄弟居昌平縣】李鶴【字羽仙號雙梅軒全州人襄度公天祐五世孫弘治丁巳生癸卯生員居靈光先生之妻弟】李鸞【字羽璃雙梅鶴之弟文章名于世居靈光】丁琦【字汝溫靈光人生員官別提後孫牧使好男居靈光】丁玠【字汝堅生員琦之從弟生員亦居靈光】丁【字汝翼名佚不傳疑生員琦之族昆】李萬榮【字盛卿號竹陰咸平人正德庚午生戊戌文科壯元官司宰僉正有文集行于世享水谷祠居靈光】金景恕【字忠卿黃龍宗人居珍原】楊洪【字深源號養浩亭南原人戊辰生嘉靖庚子中司馬同年文科官弘文館知製敎歷淸道善山後孫副率應秀居淳昌】申孝先【字壽翁平山人號醉吟齋蔭官歷靑陽通川良光順天等邑文章名于世有文集二卷子孫居京云】李崵【本貫未詳官高敞縣監按慶州李氏譜有此名而父夏臣當考】李文應【本貫未詳詩辭稱同年友則與先生甲午同榜之人耶】南希聖【名佚無傳生員子孫居京云】徐德樞【本貫未詳按牟陽誌有徐應星正德壬申生癸卯進士親喪廬墓云年代符合故姑爲錄之當後考】宋爾玉【本貫未詳】金伯謙【本貫未詳】崔九淵【字士龍完山人官參奉居高敞無後雙梅李鶴子應鍾以其女婿外孫至今奉惑祀】梁應鼎【字公雙號松川學圃先生子庚子生員壬子文科丙辰重試壯元官大司成於先生爲表從兄弟居羅州博山】李應鍾【字和叔號四梅堂雙梅鶴子戊午生員先生妻侄居靈光】宋麟壽【字眉叟號圭庵恩津人正德辛巳文科官大司憲與先生夙有雅分多致往復癸卯以本道伯相從質疑居懷德】沈光彦【字彦之靑松人乙酉進士又文科官刑曹判書謚胡安乙巳爲本道伯聞先生盛名常有往復討論時務辛丑節臣謚莊愍搢五伐祖也居京】李長榮【字齋卿號竹谷竹陰萬榮弟正德辛巳生戊午文科丙戌重試官大司諫有文集享水谷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曉宮聽鸎詞 春寒惻惻掩香幃露濕紅樓連碧篠平明永巷掃花開競起看粧臨玉沼羊車不來恨已深一宮春思知多少生憎枝上黃鸝兒數聲啼破紗窓曉紗窓處處曉夢回素手繁絃時復挑千悲萬恨四五聲曙色烟光相繚繞綿綿蠻蠻似愁人滿宮花枝垂更嫋問渠何事却負余聲聲瘦得肌膚小三生宿怨只自知懶惰無心卜龜兆飜思昔日進蛾眉幸得君王愛窈窕披香殿裏侍寢迴一生自擬同蘿蔦那知恩情半途改使妾不堪憂悄悄十年猶自繫臂紗幾見秋螢飛木杪西宮火照輦路明坐上佳人盡燕趙君心回互自無常寤擗中宵還有摽雙蛾斂處滿眼愁夢裏猶疑近天表有時顧步百花前傷心不忍聞啼鳥如何鸎舌苦相喚聽來却使悲膓擾無情還感有情人膓斷春風愁未了闌干相倚淚雙雙落月依俙花竹遶多情不獨滿宮人征婦交河音信杳城南一聽睍睆聲悵望天涯目窅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平壤行次天使【顧天峻】韻 頑夷一擣上黨脊萬里長驅浿江陌當年國勢一髮危羽檄聯翩飛日夕旌旗自北蔽空來殺氣連雲愁不開千年文物掃地空舊國繁華隨燼埃何人策馬敢後殿倉卒都無蟻子援皇恩特許虎臣征出師桓桓來一戰前鋒百萬曳柴塵賊氣旋銷如涸鱗男兒橫陣自古有丈夫一死那顧身摧城不日告勳集性命輕時軍令急塡然鼓之不敢後棄甲何曾走五十仍令孑遺奠枕生再造毋煩田一成從來耕鑿是帝力信矣無敵王者兵紛紛禾穀屢登積此後何勞岐下避星軺今日酹遊魂蔓草茫茫迷塚地高詞遠繼古戰場三上句法眞歐陽悲懷爲激往時事落日臨風增慨傷年年秪見月色苦野鳥春花誰是主不見漢陽城外萬人墳地下白骨多於土罹殃或至徧宗族倚伏難知禍與福至今寒食水邊路聚首人人隨處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兵使林公墓碑陰 林之姓出自羅之會津縣會津之林顯于麗入我朝世有其人公諱鵬字冲擧考諱枰贈嘉善大夫兵曹參判妣彦陽金氏贈貞夫人考妣之顯皆以公故以成化丙午生公中庚午司馬己卯之禍率諸生二百餘人極力論趙大憲光祖之寃幾得罪不爲懼翌年試題考官諂附權奸意指士類爲邪黨公嘆曰吾何忍對此耶遂投筆而出一時韙之辛巳冬擢第首調承文院權知尋薦藝文館檢閱承政院注書適北鄙有警以將望特拜評事自後在薇垣則爲正言爲獻納爲司諫在栢府則爲持平爲掌令在玉堂則爲修撰爲校理在春坊則爲說書爲司書以至爲輔德而知製敎則例帶焉歷宗簿寺掌樂院正以司諫超拜承政院同副承旨其分閫于外則湖西湖南兩道兵馬節度使是已公嘗築堂歸來有計終老歲壬子公年六十七乃乞骸出拜爲光州牧使仍大歸于南鄕一時公卿大夫士咸重其去爭以歌什侈其行漢時二疏之去觀是行不落莫否翌年癸丑六月初四日以病卒于官公以經綸材器遞事三朝目飽卯巳慘禍身被權奸重斥材不得大施器不克遠就而能以厚德重望終始完璧旣明且哲以保其身於公有焉夫人咸平李氏三男二女長曰益長水縣監男五人愷憬恪愰惕次曰復承文院正字有才而仕不遂子㥠孫堜俱以科名世其家悏早歿㥠今階通政以前咸陽郡守居母憂次曰晉武科節度使持身淸白所在有名將風男五人悌愃恂懽㤞悌官至禮曹正郞以詩文鳴一代愃成均進士恂武科兵使懽文化縣令㤞幼學悌之子四人地埈坦均女長適忠義衛南應善次適司憲府監察柳如崗公自書生時已有大節觀救趙靜庵可見林石川億齡贈公詩曰落落長松千仞崗堂堂氣節萬夫望此一句盡之矣公居家奉親必以孝敬爲主訓誨子弟務爲樂易不以修飾爲事觀其外溫而中厲人不得以非義犯之歷官莅政自持謹潔貶衣削食瘠私肥公在所有聲吏懷而人安之公以三世獨子至于公身內外孫若干人幾至於不知其名天之報施一何其厚耶林咸陽㥠與余遊從最久且厚使來報余請記碑陰余不敢以不文辭謹依家狀略叙始末如左朝散大夫前行世子侍講院司書知製敎尹光啓撰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