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行蹟 先生의性이正直端嚴하야處事精審하고在政房에諳練典故하야題品銓注皆當物宜라一時辭令이多出其手러라扁所居曰無慍堂이라하다日與賢士大夫로商確古今하야雖至大官이나行止如書生이라及爲冢宰에人이想望太平하다朝退之暇에與尹文顯公瑤과金文肅公周鼎으로鼎坐講論하니世謂三賢堂이라하다嘗撰千秋金鏡錄이라王命閔漬權溥하야同校撰成하고名曰編年節要라하다上自虎景大王으로迄于元王하야分爲七卷하니見閔漬傳이라大德丁未에忠烈王이薨하고忠宣王이卽位에下敎曰先於至元辛卯에予與鄭可臣柳淸臣朴演等으로詣紫檀殿하야親奉聖旨호되同姓不得通婚은天下之通義커든況爾等은識會文字하야行夫子之道하니不應要同姓하리라時에有李守丘傳說호데柳淸臣이傳譯하기을鄭可臣이擧行이라가未遂遽革耳라自今以後로文武兩班家에不得娶同姓하고外家四寸은不聽求婚이라國內名族十五大家는許與王室로世世通婚이러라慶州朴氏慶州金氏羅州鄭氏淸州鄭氏高興柳氏豐川任氏鐵原崔氏海州崔氏孔巖許氏平康蔡氏唐城洪氏黃驪閔氏橫川趙氏竝累世勳宰之家故로如是下敎이라見東史하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癸卯三月移建上梁文 奇老章浴乎沂風乎雩怳然如聞舍瑟之對飛于上躍于下宛是復睹起予之稱理無間於顯微事有同於今古伏惟文正公河西金先生聖門正脉東方儒宗秋月照心空明誠無瑕之工益至春風吹座暖物我同體之量可欽千載際遇一蹉未睹唐虞之業一身中和彌隆猶多楚宋之辭觀民風於玆鄕聞絃誦於闔境旣去而謳歌不絶所服習者惟德惟仁詠歸焉俎豆肅將遵大道兮于墻于羹腏享左右雪巖道峯之道學相傳列侍中堂月坡靑坡之忠孝可徵夫何大同之撤院實惟斯文之沮喪澤及十數世而愈明不可一日而不講祠圮九十年而重建果信百年而興新蓋許門之經紀獨賢似述又兼尊道士林之景仰有所講學便是濟時因仍舊貫昭著流行足見鳳飛千仞之氣像兼宜奧曠幽靘爽朗亦有魚在深淵之工程此非遊賞創建之比豈無興感善頌之什暫停工役聽我偉歌抛梁東鷦西連天朝旭紅布政厥初如是否至今鄕里見遺風抛粱西玄山淑氣入廉低莫將歐敎混文化吾道如今不可梯抛梁南維嶽通明瑞氣含天借靈區藩屛意右文千載鍾英男抛梁北雪山巖巖拱天極聊知遺像只如斯活潑玄機共認得抛梁上鳶飛魚躍隔霄壤若知表裏皆同原天理森然在萬像抛梁下川流晝夜不曾舍一心接續知生成定見時和俗爾雅伏願上梁之後山嶽增彩簷楹長新責孝課忠尋先賢之墜緖講道硏理贊後學之啓蒙存正學於無窮闢異端於斯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詠歸書院移建事實敍 玉果之詠歸書院卽文正公河西金先生及吾先子雪巖道峯兄弟柳月坡辛靑坡五先生妥侑之所而 明宗甲子創建于治東二里許竹林里者也虔奉無替 高宗戊辰此院亦未免輪撤未幾朝家有復設之 令然島夷猖獗國不爲國而遂息而但子姓及士林之指點咨嗟而已幸玆乙酉光復後士大夫家準而行之多惟吾詩山氏入玆土殆五百餘年先山基地亦百二十餘町步而雲橋區林野八十町步楸松菀蒼庶可有爲而又當動亂以疎伐爲名殆五之一盜伐者亦亂入則官無法制之道山幾赤矣都有司燖氏惟是之懼乃會玄只二里之族揚言曰幾十年養松一朝至於烏有則吾儕豈可視若尋常耶吾玄於先山距里最近願吾族日出二人裹饁守直外無他道理則僉意如何衆曰可及翌施行四五年間少無怠意而乙未春遂伐採乃六十萬圓也仍設宗會究其拮据之策而選出門內稍饒而謹信者數三十人分給負責則百無一損而五六年間至三百五六十萬圓也乃謀移建置各里有司幾人而逐年經紀則庚子之祠宇辛丑之講堂壬寅之直舍取次立成也材料物品外諸役全依門力而惟玄亭賢勞焉然享儀無策乃設贊助契自一石至一斗誠米則三十餘石也癸卯春遂成禮而庶可舍菜也此是吾宗一心力之效而亦非吾門一大事業耶願吾宗加一層心力而謹守節用則豈但享事己他院之必來取法者多矣盍相與勉之癸卯三月 日 許基洪謹記都有司 許 燖副有司 許基洪總 務 許基俊別有司 許相文許相亥許基福許 均許白煥許基洙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淵谷書院遺墟碑建立序 聖上臨御三十八年辛丑春熹翼以承宣蒙恩守長興郡郡之淵谷書院卽老峯閔先生諱鼎重屯村閔先生諱維重俎豆之所也兩先生文章德業之盛經濟啓沃之術至今赫赫在人耳目而況杖屨所及棠茇所憩親炙薰陶觀感涵泳若潮州之頌文公南人之詠召伯焉院雖撤額伊日薰炙之諸公裔孫一鄕章甫設壇苾芬搆堂講習寔出齎欝之誠庶寓羹墻之慕也熹翼景仰慕道曷有其已矧惟屯村先生胤子趾齋先生諱鎭厚卽靜觀齋先生李文貞公諱端相婿也當時兩家道義之交後來雲仍篤信之誠愈久而愈新矣文集梓閣尙存師道之傳大明御筆陪臨尊周之義豈可以壇院有間哉遺墟之碑今焉樹矣書此以識其事熹翼靜觀先生七世孫也甲辰暮春上澣政大夫長興郡守前承政院右副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知製敎成均館大司成延安 李熹翼 謹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雪齋先生遺墨 夫天地萬物之逆旅光百代陰之過客而浮生若夢爲歡幾何古人秉燭夜遊良由也況陽春召我以煙景大塊假我以文章會桃李芳園舒天倫之樂事群季秀皆爲惠連吾人詠歌獨暫康樂幽賞未已高談轉淸開瓊筵而坐花飛羽觴而醉月不有佳作何伸雅懷如詩不成罰㠯金谷酒數春夜宴桃李園 序乙亥初雪齋視六素不事煩垂久花落長門無語鳥啼煙雨湖光軟漾空濛移舟泊煙渚日暮客愁新野廣天低樹江淸月近人哀江右帖은先祖文靖公雪齋先生遺墨也라後六百有餘年에后孫豫衍이始得奉於昌寧曺君文煥家하니手澤이尙新이라后孫昺紹謹摹眞本하야刻于侍中洞遺墟齋하니時는癸亥暮春初也라惟我文靖公雪齋先生은可謂三達德也歟인저先生之德이顯於中外하니爵與齒德은怳若泰山嶠嶽之厚重을不言而可仰想矣라能使朝로撤誦禪하고士蠲編伍等辭令은其崇儒尙德之義와三代善政慕效之義가見於辭命之表矣라如筆法體得程子甚敬之義하야至於草稿에可至紙貴而所存者秖是數件手澤也나在我子姓이不可作中衍物事故로后孫昺紹豫衍이得其本而刊以陰寫之러니今以陽寫之하야以爲壽傳之意로再刊而重奉하야藏在書院遺櫃中하다 文靖公二十三世孫熙勉謹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畵像贊(後學羅繼從) 公이起於羅하니羅는卽余之先鄕也라余生晩에雖不得承接於左右나其間於流風餘韻者幸密且邇하니不止如他人尋常慕向이라摭於史冊하고考於詩文하야得其糟粕而已러니崔處士雲軒과李相國益齋所撰畵贊이非不盡美로데而及改摹에要余贅辭者는意蓋有在也라余不得辭하고卽謹贊曰學優墳典에謹協廟堂이라垂紳端笏은儀表東方이로다退咨巷老하고起慶廷僚라戰兢履職에詢及蒭蕘로다朝撤誦禪하고士蠲編伍라恪守世業하니茅廬蔬園이로다禮崇儒師하고功著樂府라遺廟翼然하니秋水之滸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移建記(咸陽 呂昌鉉) 玉之治東二里許古有詠歸書院享河西金先生配以許雪巖許道峯柳月坡辛靑坡四先生士林虔奉爲依歸者久矣噫彼撤院之擧是儒家九六而此亦不免齎恨幾乎百年而貿貿矣後生末學竝不知院址之在何處雖欲考先德而興禮義得乎乃今以庚子之歲移竪于玄山下距舊址十里而近厥土緻堅厥位向東厥材孔良院宇講堂齊庖器用備焉以越三年癸卯春暮者禮成嗚乎河西先生啓牖之大功固足以百世景仰而嘗涖治玆鄕遺風善俗猶有存者其盛德之難諼實有不能自己者今日之復享亦晩矣況雪巖道峯兩先生聯袂請益得聞聖學之要發揮出道理更唱迭和有吾與點之氣像則詠歸之義雖實形容湛翁明誠無瑕之德而於兩賢又着題也抑理無古今不可以未及親炙爲無與於天理昭著本體呈露之域也吁當此文敎廢弛之日起已撤院宇講前修成憲使人有所觀感興起是儒林所當汲汲而許氏之門獨賢於此其尊賢述先之誠可謂竝切矣自今以往藏修惟謹祀事益敦不可推委於一家一鄕當與全省儒林共勗而且知唱喏獻酌之外又有一副事業則幾矣余欽歎之餘以內兄燖氏之命記其顚末如是云爾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移建追記(月城金種嘉) 湖南之雪山卽湛翁先生遊宦之鄕也雪山人士慕其學懷其澤設祠宇擧俎豆之禮而取夫子所與點言志揭額曰詠歸蓋出於形容先生光霽衿懷之意也祠始建於雪山之下配以許雪巖道峯柳月坡辛靑坡四先生而往在戊辰因邦禁撤焉今迺移建于玄山之麓而追配存齋魏先生所以遑昔日之未遑而伸公議於百世者也嗚呼雪山之經湛翁來莅而山川草木亦有餘輝後百年而復得存齋之莅治化之盛蔚然相望儘不可不謂雪山之重得幸於先後也嗚乎存齋之學實有所受於屛溪屛溪之淵源溯江門達乎華陽華陽夫子之於湛翁極其讚仰則存齋所講之學卽湛翁所講之學也所宣之化卽湛翁所宣之化也昔嫠源諸賢之祀周程也非其寓其鄕其遊宦之國晦翁夫子始以爲於禮無所據旣乃卒可其事而記其祠者蓋取其欲使學者日夕瞻望興起焉者無所擇於寓與非寓鄕與非鄕遊宦與非遊宦耳今是縣之爲先生所嘗遊宦湛翁之爲先生所嘗願學而是祠也無配位則己如曰有矣豈有捨先生而猶不謂欠典者哉嗚乎理無闕而終欠事有正而必伸今此之擧夫孰不曰盛儀也院中諸君子使先生榜裔錫漢啓本請記其追享顚末于余余旣深歎斯世儒家事業之不振而竊有感於是擧於是乎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竹軒先生追配行事顚末 辛酉二月 日以竹軒先生追配牛山祠事開宗會于先生後孫斗千家參會員 金成男 金綺千 金斗千 金水衡 金麒麟金吉衡 金元衡 金晟觀 金光元 金琪衡金禹政 金汝亮自宗會會選左記推進委員以任全擔推進行事 辛酉三月 日推進委員 金成男 金綺千 金斗千 金水衡 金麒麟金吉衡 金元衡 金晟觀 金光元 金琪衡金禹政 金汝亮自宗會會選左記推進委員以任全擔推進行事 辛酉四月 日推進委員 金成男 金綺千 金麒麟 金水衡 金光元金吉衡 金晟觀 金琪衡 金元衡 金禹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趙直敎醉題 我有一邱半畝塘。優遊暇日心空長。軒上湖光時演漾。松間曙色更蒼凉。群居每愧橫渠席。自酌堪憐栗里觴。秋晩窮山籬菊老。許君隨意掇餘香。雪意山窓天欲低。嶠南歸客自江西。明春留約尋猿鶴。此日無心過虎溪。四傳續緣期已重。一經敗興意全迷。人情縱惜相分地。努力何妨返舊棲。遲遲落日下松關。門掩白雲境自閒。無端思入天人際。忽復周來海岳間。漁棹幾多象外水。樵歌應少意中山。上頭亦有仙靈否。夕霧朝霞若可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29년 현영규(玄英圭)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 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玄英圭 光州地方法院潭陽出張所 吳昌俊信 1顆(적색,원형,1.2cm)光州地方法院潭陽出張所 2顆(적색,정방형,3.7×3.7cm)司法代書人吳昌俊 1顆(적색,정방형,1.5×1.5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9년 1월 29일에 현영규(玄英圭)가 광주지방법원 담양 출장소(光州地方法院潭陽出張所)에 제출한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 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書) 대상: 담양군 고서면 고읍리(潭陽郡 古西面 古邑里) 180番地 田 186坪 참여자: 대리인(代理人) 오창준(吳昌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6년 이호(李虎) 위임장(委任狀)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602 1916년 지주(地主) 이호(李虎)가 자신의 토지에 대한 문서 및 지적도 열람을 위임하기 위하여 작성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1933년 유문종(劉文鍾)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 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書) 고문서-소차계장류-근현대문서 劉文鍾 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 孫鎭瑩印 2顆(적색,원형,1.2cm)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 2課(적색,정방형,2.2×2.2cm)司法代書人孫鎭瑩印 1顆(적색,정방형,1.3×1.3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3년 3월 16일에 유문종(劉文鍾)이 함흥지방법원 울진 출장소(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에 제출한 토지 소유권 보존 등기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書) 대상: 울진군 원남면 매화리(蔚珍郡 遠南面 梅花里) 466番地 畓588坪, 울진군 원남면 매화리(蔚珍郡 遠南面 梅花里) 466番地 畓16坪 사유: 소유권 이전 참여자: 대서인(代書人) 손진영(孫鎭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5년 조경삼(曺慶三)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茂長縣監 曺慶三 墨印(14.5×4.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739 1855년(철종 6), 무장현(茂長縣)에서 유학(幼學) 조경삼(曺慶三, 5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을미년 증조모(曾祖母) 장택기(葬擇記)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3912 을미년(乙未年)에 증조모(曾祖母)의 묘소(墓所)를 택(擇)하고 안장(安葬), 하관(下棺) 등 장례 지내는 절차와 시일, 무덤 위치에 관해 기록한 택일기(擇日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육고자(肉庫子) 치부(置簿) 6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肉庫子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6177 육고자(肉庫子)가 작성한 치부(置簿) 사용한 황육(黃肉), 계(鷄), 양지육(陽肢肉), 염통(鹽通)의 수량과 가격이 표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1년 남상성(南相成) 매도증서(賣渡證書)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李炳健 南相成 李炳健信 4顆(적색,원형,1cm)咸興地方法院蔚珍出張所印 2課(적색,정방형,2.2×2.2cm)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4226 1921년 6월 6일에 이병건(李炳健)이 남상성(南相成)에게 발급한 매도증서(賣渡證書) 대상: 울진군 원남면 금매리(蔚珍郡 遠南面 金梅里) 663番地 畓333坪 가격: 150円 1931년 6월 10일자로 윤행수(尹行秀)에게 소유권이전했다고 기재됨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伽倻山學士臺 白雲何處不層巒。到此沈吟却忘還。學士臺空無躡後。悠悠千載但靑山。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車老 飄然一杖過山居。爲愛烟雲任所如。風流聊自潛翁始。家世相傳五老餘。多情月露尋常軸。取適江山次第魚。勤意重違題幅末。擬同蘭佩拂塵裾。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山而歸。和諸益。 一陟病餘眼孔新。最憐漁棹夕陽津。歌中白雪非高士。霽後靑山是達人。三庚如夢已經夏。一歲無心虛度春。種桃仍作看花計。何必明時學避秦。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