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江上淸秋獨夜吟長安北望隔千岑一聲歸雁吳門外萬里孤舟楚水陰時菊正芳霜氣重渚蓮將歇露華深東浮欲問蓬萊島碧海連天不可尋此夜高樓吳會吟蒼茫落月隱西岑孤城曉角殘霞外萬木秋聲遠峀陰魏闕思歸關路阻魯桴將去海湖深芳洲采采江籬草欲問三閭何處尋小亭江上足風煙形勝南州第一傳沙路幾圍松岸曲人家半在水雲邊夜深山外聞僧磬月白波心數釣船回首風塵在西北此閒生事轉蕭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弄逐斜風下釣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門下固天生生朝鮮朝鮮事何事不了。禁獄典館許多威霜。猶不廢夏侯尙書。耽羅黑島如干毒瘴。亦不染涪翁髭髮。氣力康健。不須更問如勳者地也朽壤氏也。孱閥撑胸。素抱一未能試。以山水事言之。四山雖閱。北不脚白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ノ正本作成ス朝鮮總督府裁判所書記鄭泰澔[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鳥還羞爾主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雅會今宵約未曾興高一任雪侵凌蘆翁愛月無眼否石友留人解飮能放曠同參靑眼士敲推謾學瘦容僧百忙世界閒猶足領略疎鍾短几凭梅囱瀅澈讀楞嚴月吐山霞似捲簾酬景十分詩律細銷寒一倍酒巡添風謠莽蒼人歸郭春夢週遭鳥宿檐裊練誰家高下杵千般客緖謾相拈短髮回憐半落旄一燈茅店夢勞勞空藏冷笥無情萐不賣貧家待價刀烟外釣船江國濶月中樓笛漢山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殉節地記 郡之北五里有臥坪卽霽峯高先生殉節之地俗號爲高義陣者去延坪之義塜不數里而相望先生與重峯趙先生義烈則同而月汀尹公之勒石記蹟詳於義塜闕於義陣但以俗號流傳重爲遺老之歎惜必寬以壬辰忝守是郡兩先生立慬之歲甲已再周愴感嚮慕有不自抑且恐義陣之號愈久而不稱獨使義塜名於是邦將不辨某丘之爲義陣豈非一大欠事歟遂與邑儒謀圖竪短碣若先生就義終始著於國乘不敢贅焉崇禎紀元后壬辰九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博士 金壹萬圓 朝鮮大學李敦日 博士 金壹萬圓 朝鮮大學金成鎬 博士 金壹萬圓 朝鮮大學宋東承 參事 金壹萬圓 朝鮮大學廉道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夕安自畿內山城而來曰今倭皇死衆議紛紜明年當更犯朝鮮公之安留此土幸也公驚問其情安曰日本數百年來未有干戈不知師旅而百官之改替科目之取才及法令賞罰與中國無異自爲一樂國矣五十年前南蠻海舶滿載炮矢等物漂到日本日本之人從此力學皆爲妙手自成戰國之習而便作禽獸之域今皇帝統合六十六國爲六十六州生民塗炭已極而不意暴死衆情洶洶又問誰其代立曰大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德浦鎭水軍僉節制使崔峻天 : 無形殘鎭, 修治模樣.鐵串鎭水軍僉節制使朴翰男 : 設鎭造船, 親自修緝.花梁鎭水軍僉節制使李仁老 : 盡心奉職, 撫恤士卒.井浦水軍萬戶南斗星 : 到任日淺.永宗浦水軍萬戶崔亨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庾郞十八種何曾食萬錢一入喉門中美惡均飽塡顧余固窮士蔬糲曾幾年矧今魚價高視米如土然倘及少年時日日恒周旋經營什一利十萬腰間纏豈惟富家室且買漁戶船舍魚只取義此慮無乃偏顔回不改樂孔聖稱其賢匪敢曰能之庶幾願學焉嘗聞得美官不過多得錢紛紛逐利輩壑慾何時塡我性本迂疏安貧三十年況嗜酒與詩吟罷還陶然塵緣忽累之世路曾折旋歸來一室中疾病時時纏今秋足漁稅江口稀釣船無價又難買秋蔬耕一偏西村二頃田足繼沮溺賢宿業在於此可以終老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松安貧樂道七十年是非不到巷門前箕裘傳業垂昆後耕讀爲家継祖先常謂遐期能享壽焉知此日化登仙臨訣難忘花樹誼薤歌亂唱淚漣漣 宗下<인명>然聲</인명> 謹再拜哭輓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修繼祖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杜廷蘭號守義堂杜陵人尙書慶寧后平章事景升九世孫庇仁縣監思順長子公器宇軒昻儀容正肅早年受業于熏峯先生趙憲門以學問著世嘗曰丈夫處世當以道德忠孝爲警世之析可也云云逮至龍蛇之變激勵義氣招集軍兵赴至錦山從重峯趙先生與霽峯高敬命助防將白光彦兵使杜起文縣監邊應井同心討敵結柵峽路以防敵兵公引弓抽矢一不虛發賊將乘白馬犯陣前公以單騎出陣射中其胸落馬而死追殺數百級矢盡指裂敵兵大至立於矢石所神色自若指揮兵卒勢如風雷終爲敵所迫仰天一號奄爲殉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ニ引渡スヘシ大正十一年一月二十三日光州地方法院井邑支廳[印]朝鮮總督府判事尾家仁六前同日於前同廳此ノ正本作成ス朝鮮總督府裁判所書記鄭泰澔[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俯索故忘加朱爻幸更求善手勿使世人嗤笑 小學立敎篇以古來敎育家次第編成而先生二字特加從厚非他篇之比向時 賢史以圃靜退栗諸賢外不除此二字則當不以陞廡爲高下云云理論甚明白大意略在凡例中然擧一例而言如嘉言篇之明倫條善行篇之明倫條或有相混處勢不得不爾幸更考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百松亭下水源出大芚山乍闢前人勝重偸此日閑地分千古秘天與一區慳巖瘦花全露沙明草欲斑半帆垂柳岸雙屐碧蒲灣階筍兒繃脫池荷象鼻彎窓含朝靄紫簷透夕陽殷綠水圍羅帶靑山列玉鬟姜衾歌洽樂萊服舞斒斕抖擻塵機幻睢盱世道艱偏憐工部驥兼愛樂天蠻不必招黃鶴何須友白鷳沉冥從婦怪踈懶任僮頑笑我伶俜臥懷君涕淚澘白添新鬂髮紅減舊容顔每羨閑雲返空思倦鳥還縛藤仍作榻編棘又爲關故國魂頻往幽棲夢幾攀已安邱壑裏終遠水雲間煖酒荷翁句吾能若是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조선왕조(朝鮮王朝)의 역사와 관련된 여러 기록을 한데 모은 책자이다. 표제(標題)는 ?청구사(靑丘史)?로 되어 있으나, 내지에는 ?동사(東史)?로 제목을 달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長陵盛際而落拓不遇遂絶意當世嘯傲山水間撰勝玆土築亭其中蒔花栽樹庤經儲史寤寐古人窮勝事樂性靈視儻來如浮雲之無有而其趾先裕後之謨足令後世繼今我闔宗食息皆府君漑根之報也至今篁林澗岸薖軸之芬尙彷彿於朝暮而况於軆魄之妥寄精靈之陟降豈無秋霜春雨之感乎此齋之所由起也願吾子之發揮其事以諗于來永也余三辭不獲乃言曰公之所以爲公沙浦亭一律其盡之矣其曰沙浦茅齋靜琴書坐夜分牕含龜島月簷宿馬峰雲味其言蕭㪚而淸婉淵永而傲兀世間榮悴得喪可喜可驚無一攖于中而悠然有亭亭物表皎皎霞外之想矣是豈操觚能言之倫之所可與議哉發於外如此存諸中可知孟子曰誦其詩讀其書不知其人可乎在他人猶然矧矣祖先矣乎今夫過遺墟而雲月白升丘壟而霜露凄其有不思者乎登堂而肅然如聞謦欬臨祭而僾然如見著存其有不敬者乎然是皆外耳惟祖先心是心不化於時不愉於俗早夜商講使當時之流風剩馥永有輝於來世則沙浦公其不曰予有後乎竊願崔氏諸公無以齋成謂足無憾而益勉其進於是者則幸遂書此爲記歲庚辰蜡月下休瑞州鄭琦謹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使祖先遺風長存於世。則裵氏福履之盛。其將與山海俱長矣。謹書此楣端。用勗來斯。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