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以無忝祖先丁寧之訓。不負師門鄭重之敎。則豈但爲一家之幸而已。遂步韻以呈。尤翁和氣一團春。吾祖當年坐了春。幸有賢孫不墜緖。庶將遺訓保千春。鼓山門下挹餘春。敎育功深化雨春。君子贈言言有以。煌煌二字揭傳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4년 朝鮮總督府遞信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8년 朝鮮總督府遞信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十(郭李華【官正言】) 卓犖南州老淸標不可攀雄詞誇夙歲高步謝朝班獨立湖山外長吟宇宙間去留終自任榮枯本非關餘論何須說浮名好是聞昏冥遺物累笑傲俯塵寰誰識遊魚樂方知倦鳥還通家常戀德因病久違顔哀計居然至悲懷不自刪寧忘言付托惟有淚潺湲浩橋邊水蒼蒼月裏山一絲風不盡千載可廉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金珪相外九人名義査定)及貴殿外六人名義ニ査定セラレタル(金洛庠外八人ノ不服申立地)同里山三一番ノ一林野內ニ存スル貴宗中祖先又ハ宗中員ノ墳墓ニ對スル墓籍届証明書テ左記樣式ニ依至急提出相成度シ記一.墓地所在林野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每擬奮造仙庄。以討襞積。而地角落落。只歎離索之甚矣。料外奇緣。拚李雅君奭甫之見訪。語間話到台執。知其爲有戚地。欣而且叩。敬探起居。且聞肥遯林樊。不知老之將至。德益修而志益堅。憂人之憂。樂人之樂。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爾解譏嘲還是妄。儂遭侵索豈終窮。人情淺薄皆麤俗。天理回環更順風。莫道英華遲發外。明時應不負儲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 1924년에 최한홍(崔漢洪) 등이 조선총독부 임야조사위원회에 제출한 불복신립인명의추가원서(不服申立人名義追加願書)로, 당시 일제가 조사한 임야조사사업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重峯趙先生擧義討賊。率家僮村丁。勇往赴之。蓋公與趙先生相善而服其忠義也。未及公州。猝遇賊。力戰死之。時年三十六。事載廣德日記。家人招魂而歸。葬其衣冠于長城北二面龍田洞辛坐。繡衣李眞淳啓聞于朝。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組蟬聯。翰院玉署。古所稱木天瀛洲。而取之如拾芥。忠孝文學。世所謂美德懿行。而嗜之若天性。洪柯鬱鬱。長源渾渾。在在爲鳴珂里。噫。德之積也厚。則福之發也遠。李氏先世劬躬燾後之道。足驗於斯。盛矣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則中國爲琉球朝鮮久矣。觀此一事。可見其昧於義理輕重之分也。仇固必復。而力不能復。則有位於朝者。死可耳。無位於朝者。隱可耳。柰何以數千年冠帶禮義之中國。乞援於島夷。臣妾於島夷。殺我兄弟。戮我赤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聽取書訂正申請書鐵匣臺帳은朝鮮最初에田畓과林野을統히記載한臺帳인바席洞崔山이字番號은聖字요奴名은乙之로結卜을懸錄하여ᄂᆞᆫᄃᆡ後來에朝鮮通行의例法으로林野結卜은削除된事實이傳來의公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跋 噫吾先祖橘屋公之詩文爲同時詞苑諸賢之所推許而少師重峯趙先生坐此擯于時登己丑文科而仕止禮郞不以坎軻爲悔而猶秉正不撓退居鄕里詩酒自娛所居屋樹之橘以沒世一時諸公尤奬許其誼行觀於其詩集可知其萬一矣是以文谷金先生撰其序尤庵宋先生題其跋藏于巾衍而未遑刊行至于不肖恐爲蠧食塵沒無徵故始付剞劂氏以壽其傳而幷與二先生序跋得行於世嗚呼是可謂有時存焉者耶時崇禎四己丑五月日不肖後孫正殷謹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位次圖 兩先生士卒壇位次及靈圭禪師別祠士卒位次幷附領議政高公因厚 文烈公重峯趙先生 忠烈公霽峯高先生 參判邊公應鼎執義李公光輪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太祖文聖王箕子子姓諱胥餘一曰須臾商宗室也學明九疇身傳聖道以畿內諸侯仕爲大師帝乙嫡子受資辯捷疾拒諫飾非箕子度受非元良以啓長且賢勸帝乙立之帝乙難於廢嫡卒立受受卽位淫虐日甚箕子諫紂紂不聽囚箕以爲奴或曰可以去矣箕子曰爲人臣諫不聽而去是彰君之惡而自悅於民吾不忍爲也乃被髮佯狂而受辱鼓琴而悲之故後傳之曰箕子操武王克商釋箕子之囚就問曰吾殺紂是歟非歟箕子不忍言乃問天道箕子陳洪範不肯仕武王亦不敢强乃東入朝鮮隨之者五千人詩書禮樂醫巫陰陽卜筮百工技藝皆從焉武王聞之因封朝鮮爲王都平壤敎民以禮義農蚕織作經畵井田設禁八條其略相殺償以命相傷以穀償相盜男沒爲其奴女爲其婢欲自贖者人五十萬是以民不相盜無門戶之閉婦女貞信田野都邑辟飮食以籩豆崇儒敦風釀成小華後箕子朝周過故墟見宮室毁壞生禾黍傷之作麥秀歌而悲之朝鮮朝野無事人民咸悅以大同江比黃河作歌頌德生於帝乙十七年丙戌周武王元年己卯旣位在位四十年壽九十三成王三十三年戊午薨墓在平壤歲己亥其子孫與鄕儒遂立祠以每年陰三月二日一祠焉常享祝文伏以道存皇極政猶蕩平程我先民百世分明謹以牲幣醴齊粢盛庶品式陳明薦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9년 朝鮮生命保險株式會社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先之視其親遠矣。祖先雖遠。族多則易爲力。若至於力專已出。而誠勤如致其私者。世有其人乎哉無也。況又翁素困約。而凡所苦一生以積者。又未至大可散乎。嗚呼士方讀書。談當世事。若屈伸其指。一朝事有係其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先之不可忘也。辛艱拮据而爲此。顧不賢乎哉。嗣是而在完與其族之子弟。宜又思所張之。夫欲光祖宗而大其門戶乎。則其事固不止此。譬之作室。旣斷旣礱。旣墍旣臒。其施之有序。而成之非一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先之積蔭雖美。君子之澤。不待五世而斬。如羣彧侂冑。孰非有祖之孫乎。此猶可監。不可恃也。聿修之方。宜在課忠責孝。毋令絶讀書種子。恪守先訓而已。余觀李氏諸彦。果能事此矣。且惟此身惇德行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宦海沈名五十春故山猿鶴友相親了無平地風波起蘿屋三間老一身老去心懷淡若秋何曾客帳夢封侯却嫌雄劍匣中吼白日生風山鬼愁野老蕭然物外身胸中太極大家春到門誰敢題凡鳥江上靑山是主賓雨晴門外落花多求友時聞伐木歌莫道山中無一事朝來補屋自牽蘿淵魚躍藻鳥遷喬之子尋芳興更饒但得有時仍有酒人間何處不逍遙曳履商歌野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