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이황 으로 검색된 결과 1090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퇴계고봉왕복서≫는 이황과 기대승이 태극(太極)과 사단칠정(四端七情)에 관한 설에서 각기 의견이 달라 여러 번 편지를 왕복하며 변난(辯難)한 서찰들을 모은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有此命。不可辭以老母在。卽日辭母夫人。赴其任所。發文諭列邑。人人感其忠義之激昻。爭相出粟。優助兵粮。終始不絶。其洪謨毅略盖如此。郡守尹衡弼以下八十九人。皆因公之所奏。而差官職矣。時李洸爲完伯。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乎蚩蚩蠢蠢。以食爲天。不知餘事者。有此則粗通人道。無此則喪其廉隅。非復知有天倫之厚。又安責其人道之盡。故人家族丁一熾則難於人人俱足不足者行亦不足者多有之。自侮受侮。往往爲鄕里所棄者。甚可寒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暫時薰陶, 如在春風中, 而況於親炙之久者乎? 出來廊底, 與三君子同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小子。偏蒙至恩。奕戒射鴻。苙招放豚。援古證今。玉音溫溫。見識蔑裂。資質迷昏。委質猶晩。科不逢源。嗚呼先生。不以遐棄。視之如子。深恩重義。悅而誠服。覿德心醉。有所問難。開曉曲賜。潤以時雨。和以春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吾家自有薄田數十頃。可以奉先祀接賓友。而汝輩衣食。亦自餘裕矣。此是累世靑氈。汝其愼之。言終而卒。卽已巳二月十日也。訃出遠近皆曰善人亡矣。蘆沙先生哭之以詩曰。愛君本地好。訥慤坐終日。誰能遣鬼伯。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番番來書。無非傾湫倒海。抽關啓鍵。使人期欲入於爲己之地。尤覺友倫之重。而諒直之益也。深荷深荷。大抵向書中。以不讀書自處者。非敢諉辭自免。而拒人當責也。旣不能讀書。而妄自盜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地步不相遠。而朝暮相望者乎。然則童山之竹不待報。而平安自至。南康之蒲未必問。而無恙可知。況吾之柏。非竹與蒲之遠乎。客逌爾曰。子之計得矣。因以柏說請于奇庠會一。卽晉錫之弟君也。旣脫藁而示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其門人。又張言之。恐終爲盛德之累。直欲奉質於靈峰。而面昧交淺。有所不敢。敢此奉布于足下。鄙說謬妄。幸駁斥之。俾歸至正。如有可采。時一仰稟于師席。詳示其聽否也。抑又觀其集中。似欠學問思辨之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公自不朽。何待人之不朽之哉。辭之固而請益勤。遂撮其狀。公諱承鶴。字子和。靑皐其別字也。以太宗元子讓寧大君爲初祖。三傳至秋城守諱緖。坐誣獄。謫昌平縣。賜環不歸。戒子孫不仕。高祖定魯有文行。曾祖世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諫院力救諸賢入侍簾前直斥姦黨先生之孤忠出於憂國之誠也佞人側媚援入勲錄而恥與同籍斥言痛責文昭議起是非舛謬而慨然呌閽極陳不可則先生之大節見於臨事之際也卒之坐黜完山憂憤成疾齎志而歿時耶命耶嗚呼痛哉道德如先生者未有不尊尚而尊尚之議不及於先生忠義如先生者未有不享祀而享祀之典猶未及於先生何哉豈不以斯文興廢有關於氣數而大賢之後竟至於凌遲乎云黍孫以若不肖生於先生殁後數百載之下而欲述於數百載之前非所敢望然臨文淚讀不覺嗚咽盖以先生之道學忠節當報食百代之額院而近以多士之闡揚文字僅享鄕祠宇而祠宇尚不得存則在他儒林莫不扼腕憤歎而况爲其後者置心於何地嗚呼痛矣叔祖沙潭公去先生之世尚未遠而勤王事六七載後旣歎文集之幾盡散失云從五代祖諱致褧蒐輯若干詩賦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痛斥而極論之指鹿之奸莫逃於筆下吹域之毒仍發於沙中重誣下獄酷刑加身至於腳碎而骨墜羅世纉拾其碎骨盛之囊中曰父毋遺軆不可棄也遂裂衣咋血而上書其畧曰上有堯舜之君下無稷契之臣爲國丹忱白日照臨中廟覧而惻然特賜寬宥置之荐棘其在圍中朝暮且死而恬靜自安日誦聖賢書間以嘯咏忠愛之心溢於辭表上遣中使偵察則手不釋近思諸書座隅大書忠信二字上大感悟以内翰召還賜醖便殿以示恩遇之意自是歴踐清顯與文純公臣李滉文正公臣金麟厚諸賢同被瀛選相與講磨義理深爲道契及當明廟乙巳奸臣元衡鼓煽凶言網打善類羅世纘連以諫長憲長抗章奏啓以辨忠肅公臣白仁傑文節公臣柳希春忠簡公臣丁熿諸賢之冤群奸側目必欲中傷李芑等欲以羅世纉冒錄僞勲之籍以奪其所守羅世纘抗義力拒其計遂且仁廟當祔文昭殿而憸徒有乖亂之議羅世纘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김성일에 이어 나주목사로 임윤신이 부임해오자 나덕준 등이 발의하여 1589년 정여창(鄭汝昌), 조광조(趙光祖), 이언적(李彦迪), 이황(李滉) 등 4위를 추가로 배향하고 명칭을 오현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以皇明嘉靖庚戌八月二十日生。是夜大虎來衛。人皆異之。七歲通孝經。座右上下。大書忠孝二字。人問其上下皆書何也。對曰上者爲子當孝。爲臣當忠。下者孝吾親及人親。忠吾心及人心。稍長。誠孝出天。鄕隣化之。

상세정보
저자 :
李楨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柳?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현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於親炙之者乎〕"라는 말이 나온다.

상세정보
1090
/55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