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乙巳四月十一日生朝感吟夢裡虛經六十春難爲處己况爲仁放遊四息心常懼追憶雙親感更新半世耕樵徒費力百年書釼未成眞算來萬事皆遠志仰愧于天俯怍人難老君猶少壯春儘知天不嗇於仁簪纓百世家聲古俎豆三年校典新魚鳥榮江忘寵辱烟霞龍洞養淸眞玉蘭並茁瑤琴和晩景吾鄕第一人右東樵鄭喆煥【鉄川里】南極星呈鉄樹春善家元理克躋仁黃芽吐氣熊脛美丹粧凝精鶴髮新城市隱居行古誼詩書敦好葆天眞盈庭彩舞稱觥席贏得歡情聳萬人練菴高光修【光州泥場】弧筵和氣十分春滿酌紅醪賀壽仁寶樹瓊枝繁競茁玉顔鶴髮倍鮮新偕調琴瑟韶光好設宴瑶池樂事眞餘慶德門遐福至極星南土降仙人碧齋金永鈺【同庚損友】弧矢今朝六一春劬勞深思孝爲仁滿庭瑞彩斑衣列偕老佳緣白髮新鄕黨稱譽由信望箕裘緖業守心眞壽樽如海四隣賀有是德門完福人復齋吳大善【洞江】心如皓月氣如春坡老平生兼智仁一曲瑶琴淸韻動四枝玉樹瑞光新早修學業齊家模晩護倫堂率性眞彩舞環歌相樂地稱觥是日降仙人松塢金基鉉【公山面】旃蒙花甲再回春儘覺延年壽者仁滿座賀聲南極說趨庭和氣彩衣新到老德容能體潤承先模範摠心眞擇處龍頭猶得智自天遐福聚斯人海隱崔海鍾【和順査軟】鐵樹花間獨樂春皇天應報此翁仁崗陵影入盃中屹山海珍登盤上新孝悌爲訓傳家業剛毅持身率性眞勝宴佳約當今事慶賀聲聲會幾人倫庵羅甲運【居平】再遇弧辰乙巳春一鄕稱頌壽而仁花開鐵樹六旬遍結實瑶桃百歲新富貴康寧傳世業溫良恭儉守天眞滿堂和氣無彊福慶賀洋洋多會人羅承南【居平】算却楚榠八百春由來壽考世推仁承先詩禮靑氈舊繞膝兒孫彩服新紫氣函關老子是雪膚姑射神仙眞應知遐福自天佑弧席今看矍鑠人李奏憲【多侍】花開鐵樹再逢春古宅餘陰子守仁文藻滿堂鴻業舊芝蘭繞膝鷰謨新蟠桃滴酒迷周夢南極星輝似太眞舞袖翩翩斯日樂一鄕高士摠詩人立齋金東賢【九葉】福老今朝六一春渾然天性德兼仁來賓壽酒杯交錯衆婦衷誠盤上新高潔淸標身不俗分明信義世稱眞孫枝子葉承而列此席恨無昆季人素石許鏘鐵樹君家不盡春一生能事是行仁聯床琹瑟佳緣重繞砌芝蘭舞袖新自守廉貞惟本色世傳孝友卽天眞何須更贅賓朋祝屈指吾鄕少此人後松羅枰均潛居修德幾經春大壽從知得自仁烏櫃精功曾去俗靑氈舊業倍生新桃園何日同康樂蘭社多年擬季眞甲友今來誰擅福君應居最箇中人雪岡廉正洙【同庚友】鉄樹花開六一春主翁淸趣積多仁琹床好月奇緣重蘭室和風裕後新華觴祝壽懸弧日酒老詩豪渾興醉子枝孫葉亦誠眞平地神仙有此人愼齋朴鍾勳【楓洞】是日重逢初度春古來長壽克躋仁期生火棗山中熟王母氷桃海上新慥慥修文由道正溫溫養性率天眞眼前妻子俱無恙鶴笛橫空滿客人一夢李元範【竹池】花甲再回六一春萬端千緖就諸仁月坡亭上流觴活鉄樹陰邊彩舞新前日己行何所欠晩年身數最尋眞九如三祝人人和壽擬南山不讓人枕桂李凞鰲【鉢山】龍頭元氣鬱長春孝友家聲且累仁庭有兒孫知禮學座多賓客祝箋新紫芝燁燁園中馥南極煌煌物外眞餉得淸閒多茀祿鬚眉宛作不塵人竹塢李星圭【多侍】世家修德幾經春得壽從知必自仁白首紅顔曾超俗靑氈舊業倍鮮新賢孫善茁皆元述肖子能承是季眞乙巳六旬多慶福君是斯間地仙人朗菴林炳馹【會津】鉄樹花開別有春潤身以德處於仁酒傾北海仙圖掛壽祝南山瑞日新笛下放聲浮賀曲庭前彩舞羨芳眞鄕隣周識兄家福滿軸瓊琚幾百人月坡任永宰【酉田】坡翁重見設弧春信是由來壽者仁榮水長淸精氣萃錦山高起瑞光新應思親倍劬勞極却忘身兼福祿眞天餉從知非易得求諸鄕黨罕其人春岡辛洪烈【同庚友】潤雨和風回甲春群生方暢共成仁勝花釋誕觀燈節淸曲鸎歌芳草新誠湚祈康身養志命妻却老口傳眞辰良日告神明合座上高賓不俗人安軒鄭明會【同庚友】六一當年乙巳春孫枝子葉與天仁壽域無疆淸福至孝心能進碧桃新地應海上蓬萊島主亦西湖賀季眞稱觴華祝相傳席蹈舞斯筵問幾人松圃柳寅暢花甲重回六一春果求天上碧桃仁金昆玉季壎歌樂鶴子鸞孫彩舞新仙酒盃酣增壽久蓼莪詩誦念親眞嘉慶良辰和氣滿豫章華閥有名人大山李鍾黙【細枝面】六甲巡迎再甲春平生事業善爲仁架上詩書千帙積庭前寶樹四枝新齊家和睦傳世德好讀修身率性眞背山接谷閒隱士氣骨叮期百歲人東春李鍾琯【榮山浦】天性渾然和氣春惇行孝悌本於仁非但琴床偕老美尤兼寶樹向榮新數畝田園圖活計半窓書籍養心眞令子賢孫何所祝無疆壽福獻觴人栗山金太錫【山溪里】懸弧故宅復回春康濟斯翁擇處仁皓首今來强且健靑氈世守舊維新降天遐福元言定平地行仙果見眞好是庭蘭餘蔭盛名門多賀四隣人月波鄭福圭【道也里】靄然和氣一團春花甲當年白髮仁數朶園中蘭子茁千竿窓外竹孫新相傳詩禮家聲大晩適漁樵世味眞南鶴東牛奚足道於山於水有斯人愚下金東文【旺谷面九葉】乙巳生逢乙巳春擇居仁里主翁仁管絃撓室和風動彩服盈庭瑞日新蒼浪津頭連賀客月坡堂上坐仙眞問君先代何攸積多子多孫多福人松南辛瀯鉉【長山里】黃梅結子楝花春美盡東南里又仁對桉瑶琴偕以和滿庭玉樹看猶新自羞蓬戶老吟病堪羨杏壇晩覺眞此日君家無限樂盈門祝賀幾多人樵山梁圭述【光州市】滿堂和氣太平春好德多年處里仁荊閤佳緣琴共樂蘭庭彩舞玉如新東方朔甲誰能得南極老星子是眞賀賓頌友津津席僉曰鄕中第一人金永環【碧流亭】重逢花甲更靑春福善之家又壽仁瑶絃琴瑟聲聲樂淸臭玉蘭葉葉新自天降祿終無限平地上仙始有眞滿座同庚相祝賀永期此後百年人金永大【碧流亭】華甲當年剩挽春元來壽者且躋仁桑弧蓬矢臨風動綵袖斑衣向日新山嶽扶身將老健江湖吸氣自淸眞澤車段馬平生足偕樂如今室有人又梅廉章煥【東新】龍頭鉄樹爛生春趂日花開好結仁華髮今朝難可制桑弧四月更添新涓辰適會情尤密把酒相看影入眞如欲九如無盡賀禎祥第一貸斯人羅燾秀碧桃紅杏武陵春禧福君家得此仁寶樹秀榮千載足荊宮康健百年新曾知不死三神藥少學長生四皓眞苦楚世情過半數兄先回甲我先人宋光奇【榮山浦】看君氣骨帶和春素履躬行摠以仁庭壁四聯皆重態床琴偕老更粧新少年剩得居中樂白首優遊世路眞舞彩稱觥鈄日下金季煥【多侍】大家綏祿就如春稀古壽康乃自仁昭廣阡園傳已舊贏餘書契業維新主賓遠近來專美詩酒唱酬間叙眞若子若孫陳列賀再從弟鍾焄完福家中自在春川臻餘祿得其仁靑衿寶樹孝心大白髮紅顔和氣新韻致當年合歡喜風流此日入淸眞觥籌交錯爭相賀滿座佳人摠故人尹魯炳生逢六十一回春始信于今壽者仁桉上齊眉琴瑟樂庭前趨舞彩衣新居家自是行恭儉處事分明辦假眞皓首當年身益健世間亦有武陵人松磎李良信壽域花開鉄樹春自天福祿降斯仁遐算已占龜鶴老偕期增看苣蘭新淸閒世德持身儉孝友家聲率性眞赤松子去千秋後始覺今朝幻是人晩悔羅甲均日往月來度幾春花開鉄樹子孫仁降生乙巳靑衿樂還到當年白髮新善在治鄕自閏校閒居立德先修眞斯老幸逢西漢世應從四皓爲隣人鳳齋金鍾炫【公山面】六十春翁又一春以文會友友爲仁金是入鎔多得美楡如逢雨倍生新德重錦山通地靈道長榮水樂天眞子孫獻壽來無疆南極星輝此主人錦溪洪昌植【金安里】赴飮春餘更續春惟君花甲壽能仁蒼顔白髮懸弧屹碧樹黃鸝置酒新儒雅會文相健古塵埃脫俗自淸眞妻兒滿室俱稱福未有鄕中若此人李義範【佳洞】六十年光加一春平生好德養其仁瑶桃玉露紅顔又鶴氅烏巾白髮新聊憶世間非俗士却疑天上降仙眞笙歌彩舞終無絶賀曲聲聲盡醉人盧漢喆【公山面】鉄樹花開舊甲春南州華閥有斯仁恨深堂上壽觴缺歡出庭邊彩舞新累代家規無俗染一鄕校事守天眞桃顔鶴髮如仙降淸福算來稀世人東岡崔鍾壽【東山村】六旬行樂錦江春山水精靈照此仁白鶴南飛祥日暮靑牛東出化機新承先事業忘身惱裕後家風率性眞遠近佳賓醒醉席仙緣特許似翁人崔炳佑【東山村】甲回六十一年春南有月坡壽以仁蓬矢張弓能制惡鉄花繞樹更生新溪山自樂持身重名利無關學聖眞彩舞滿庭賓亦賀桃顔鶴髮降仙人崔鍾律【東山村】壽福康寧六十春尊翁隱德子孫仁諸族獻慶歌舞起衆賓醒醉酒情新喚友黃鸎如意際滿堂高客正尋眞世間是宴何門在平生能作太平人朴玄洙【正良】聞道坡翁鉄樹春淸閒超俗德兼仁琴床日暖歡情篤玉砌風和寶蔭新曾說錦城垂極久方知龍里降仙眞肖子賢孫斑舞席星星髮白壽高人姜弼遠珠山松栢帶長春白髮如仙壽以仁鉄樹花開園送態老星光照宅增新世間名利渾無意物外淸閒剩得眞最是高風曾有望南州慶福一其人慕堂鄭熙勉【金安里】鉄樹花開再甲春錦江淑氣出斯仁紅顔漸漸隨時去白髮星星逐日新千卷詩書傳世業一生德性率天眞芝蘭滿室難知數遐福無非稱頌人芝山尹亟義【文平面】紅顔黑髮似靑春天借斯文富更仁已盡六旬稱送舊又餘百歲頌迎新曾年抱負還非夢晩境生涯便是眞多福吾曹今屈數坡翁應上指初人星波崔南九【羅州邑】擲退風霜捉挽春老於康壯壽於仁家聲不墜靑氈舊公道難違白髮新遐算已圖彭祖術精工早學紫陽眞玉蘭層茁瑶琴和完福吾鄕屈指人鶴亭李禹圭【同庚友】南華爲壽八千春未有如君美且仁秘方爐底丹砂煉活畵屛間白髮新鄕國施功居老壯江湖隨興號玄眞大酒招賓妻子樂聊知五福定其人松儂李東範【同庚友】鉄樹花開夏亦春地行誰道也無仁詩書穩積家聲舊乙巳重期鬂髮新守黙平生還頌德回思六十却疑眞蒼天偏愛修身士壽福兼全此一人南岡洪南根【同庚友】那翁不老六旬春積善家高里更仁烟月一坡心月白風霜故國鬂霜新十分床瑟絃常雅又是庭蘭馥轉眞萬壽世間誰有得此時此酒卽其人菊軒尹堯重【同庚友】耕心種德繫長春六十生平一字仁琴瑟和鳴餘枕樂芝蘭層繡舊氈新千場踏破還無俗萬事歸來覓有眞雷灌動鄕名姓重君非逆旅百年人春菴朴圭憲【羅州邑】坦道安過六十春操身處事不違仁淡交情重賓煩到積累功深德愈新一卷雲烟能潤景百篇書籍自任眞如君淸福無儔比知是分明物外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李長旭贈通訓大夫司僕寺正者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五衛將光緖十八年六月 日曾祖依法典 追贈[施命之寶]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61년 배진만(裵鎭萬) 망기(望記) 1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禮山祠 裵鎭萬 禮山祠印(2.0×2.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1년 2월에 예산사에서 배진만을 제관으로 선정한 결과를 알린 망기. 1961년 2월 29일에 禮山祠에서 裵鎭萬를 다음 달인 3월 10일에 행하는 享祀의 祭官으로 추천하여 선정한 望記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61년 배진만(裵鎭萬) 망기(望記) 2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綾州鄕校 裵鎭萬 綾州鄕校之印(6.5×5.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1년 7월에 능주향교에서 배진만을 제관으로 선정한 결과를 알린 망기. 1961년 7월 15일에 綾州鄕校에서 裵鎭萬를 음력 8월에 올리는 釋奠大祭의 祭官으로 추천하여 선정한 결과를 알리는 내용의 望記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2년 임태주(任泰柱)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任泰柱 裵致黙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2년 11월 28일, 임태주가 배치묵에게 지난번의 만남을 회상하며 형님의 수고와 우리들의 나아갈 바를 다짐하는 마음으로 보낸 답장 서간. 1912년 11월 28일, 제(弟) 임태주(任泰柱)가 배치묵(裵致黙)에게 지난번의 만남을 회상하며 형님의 수고와 우리들의 나아갈 바를 다짐의 마음으로 답하여 보낸 편지이다. 거의 얼굴을 잊을 뻔했는데 서로 만날 수 있었다며 선사(先師)의 내려주심이 아니겠냐는 인사로 편지를 시작했다. 또 오래되지 않은 날에 연이어 편지를 주시니 감사하다고 인사했다. 이번에 가서 선사의 뜻을 저버리지 않게 되었는데 그것이 구업(舊業)에만 국한된 것이었겠느냐 물으며 우리들이 헤어진 뒤에 형이 처음부터 끝까지 이 일을 반드시 하려고 했던 것은 가릴 수 없는 일이라고 치하했다. 또한 그동안 아무것도 돕지 못한 자신을 꾸짖지 않아 주겠느냐고도 했다. 형님의 고마움과 우리 벗들의 모임, 한마음 등을 이야기하고 추운 날씨에 잘 계신지 안부를 묻고 축원한 후 편지를 마쳤다. 겉봉투에 대곡(大谷)의 사문(斯文) 배치묵(裵致黙)에게 물계(勿溪)에서 답장한다고 적었다. 작성자 임태주(任泰柱, 1881-1944)의 자는 우경(宇卿)이고, 호는 성재(誠齋)이며, 본관은 장흥이다. 정의림(鄭義林)의 문인으로 능주(綾州), 지금의 화순군(和順郡) 이양면(梨陽面) 초방리(草坊里)에 거주하였다. 유고로 『성재문집(誠齋文集)』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61년 배석초(裵錫初)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高山書院 裵錫初 高山書院(흑색, 4.2×4.2)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1년 9월에 고산서원에서 배석초를 제관으로 선정한 결과를 알린 망기. 1961년 9월 1일에 高山書院에서 裵錫初를 서원에서 올리는 秋享祭의 祭官으로 추천항 ㅕ선정한 望記이다. 피봉도 함께 남아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62년 배진만(裵鎭萬)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春山壇 裵鎭萬 春山壇章(5.0×4.4)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62년 2월에 춘산단에서 배진만을 제관으로 추천하여 선정한 망기. 1962년 2월 20일에 春山壇에서 裵鎭萬를 3월 3일에 행하는 釋菜禮의 祭官으로 추천하여 선정한 결과를 알린 望記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박응순【윤원】에게 주다 與朴應舜【潤瑗】 세월이 흐르는 물처럼 빨라 선부군의 상기(喪朞)가 벌써 끝나가네. 삼가 생각건대 지극한 효성은 하늘에서 근본하였으니, 개확(慨廓)122)을 어찌 견디겠는가. 멀리서 걱정하는 마음을 놓을 수 없네. 나는 외람되이 그대와 교유하는 말석에 있는데 한 번도 찾아가 위로하지 못하고 다만 편지 한 통과 예서를 보내 애오라지 직접 만난 것을 대신하니, 이 무슨 의리인가. 부끄럽고 미안하니 어떻게 사죄해야 할지 모르겠네. 다만 바라건대 조부모와 부모님을 기쁘게 모시면서 남은 힘으로 학문에 매진하여 멀리서 기대하는 마음을 저버리지 말게나. 日月流駛。先府君喪朞奄過。伏惟至孝根天。慨廓何患。慰溯區區。無任遠情。義林忝在遊從之末。而未有一造供慰。只得以一紙禮書。聊且替躬。此何義諦。愧愧悚悚。不知所以爲謝也。惟祈重省供歡。餘力進學。以副遠望。 개확(慨廓) 상(喪)을 당하여 그 슬픔이 축쇄(縮殺)되어 가는 것을 표현한 말이다. 개(慨)는 소상(小祥)을 당하여 세월이 빠른 것을 탄식하는 마음을 말하고, 확(廓)은 대상(大祥) 때 정의(情意)가 허전한 것을 표현한 말로, 《예기(禮記)》 〈단궁 상(檀弓上)〉에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박공즙【제동】에게 답함 答朴公楫【濟東】 이전에 영정(詠亭)에서 만난 것은 오랫동안 격조한 이후의 일이었는데, 인파속에서 상당히 소란하여 차분히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고 헤어졌으니 뒤미처 생각하면 매우 아쉽네. 뜻밖에 춘부장이 부평초같이 떠도는 나를 방문해주니, 감사함은 다른 때보다 더욱 배가 되네. 듣자하니, 공즙이 한두 사람과 더불어 휘장을 내리고 함께 연찬(硏鑽)한다고 하니, 깊이 깨우친 것이 있을 것이라 생각되네. 옛사람이 말한 '학문은 반드시 진실한 마음 바탕 위에서 각고의 공부를 해야 한다.[刻苦工夫眞實心地]'133)는 여덟 글자를 깊이 생각하고 몸으로 연구하여 날로 발전하는 실상이 있는 것이 어떻겠는가. 나는 의지가 세월과 흘러가 이처럼 쇠락하였으니 다시 무슨 말을 하겠는가. 나를 보고 복철(覆轍)의 경계로 삼는 것이 마땅하네. 向日詠亭之遇。出於積阻之餘。而人海中稠撓。未得穩敍而分。追念悵悵。謂外春庭委訪於萍水之中。慰感尤倍他時。聞公楫與一二人。下帷同硏。此計甚得。古人所謂刻苦工夫眞實心地八字。念念體究。俾有日就之實如何。義林意與歲去。衰落至此。復何言哉。視爲車鑑宜矣。 학문은……한다 황간(黃幹)이 임천현(臨川縣)에서 현승(縣丞)의 아들인 하기(何基)를 제자로 받아들일 적에 "학문은 반드시 진실한 마음 바탕 위에서 각고의 공부를 해야만 가능하다〔必有眞實心地 刻苦工夫 然後可〕"라고 일러 주었다. 《송사(宋史)》 권438 하기전(何基傳)에 이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박사문【규동】에게 답함 答朴士文【奎東】 춘부장의 병환이 세 달을 끌어오는데, 아직도 쾌차하지 않으셨는가. 그 사이의 경과는 표현하기 어려운 것이 많을 것이라 여겨지는데, 한번도 달려가서 의사를 찾거나 약을 처방할 때 도움을 주지 못해 한스럽네. 자식이 부모를 섬길 때 만약 이에 정성을 지극히 하지 않는다면 어디에 그 정성을 쓸 것인가. 책을 읽을 때도 참으로 이 때를 활용해야 하며, 모름지기 부모를 신경 쓰지 않고 자신만 편해서는 안 되니, 밤낮으로 곁에서 모셔 간호하여 병이 낫는 방법을 다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중용》을 일과로 배운다고 하니, 듣고서 매우 위안이 되었네. 부모를 모시고 남은 힘으로 학문에 힘쓰는 것이 우리 공자의 가르침이 아닌가.128) 다만 한 구절을 읽으면 곧 한 구절을 행하고 한 장(章)을 읽으면 곧 한 장을 행하여 한갓 외우고 말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면, 본 바가 날마다 더욱 몸에 와 닿아 무궁한 맛이 있을 것이네. 春府患節。延拕三朔。尙未快復。其間經過。想多難狀。恨未得一者趨走。效力於尋醫問藥之日也。人子事親。若不於此致誠。惡乎用其誠。讀書正爲此時用。須勿自私自便。日夜侍側。備盡調治之宜如何。思傳授課。聞甚慰慰。餘力學文。其非吾夫子之訓乎。但讀得一句。便行得一句。讀得一章。便行得一章。勿徒誦說而已。則所見日益親切。而有無窮之味矣。 부모를……아닌가 앞의 〈여정원경(與鄭元卿)〉에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정자성【복현】에게 답함 答鄭子成 【福鉉】 편지를 받고 여러 날이 지났는데 일이 바빠 정신이 어지러워 아직까지도 답장을 보내지 못하였으니 매우 마음이 편치 않네. 지난 번 경보(敬父)가 돌아갈 때 부친께서 건강이 좋지 않다가 조금 차도가 있다고 들었는데, 잘 모르겠네만 그 후에 점차 건강을 회복하여 평소처럼 크게 웃고 경쾌하게 다니시는가. 걱정스러움에 좋은 소식 듣고픈 바람을 그칠 수 없었네. 나는 쓰러져 기운이 없음이 날로 심하여 붙들어 잡아 일으킬 방법도 없으니, 다만 스스로 불쌍하게 여길 뿐이네. 이번 봄에 대은(臺隱) 어른이 찰촌(札村)의 서당에 갔으니, 그가 새벽부터 밤까지 가르치고 날과 달로 학문을 연마함이 반드시 옅지 않을 것이네. 다만 '독실각고(篤實刻苦)' 네 글자가 적절한 법도이네. 옛 사람의 시에 "지극한 보물은 높고 깊은 데 있으니, 사다리를 오르고 배를 타는 노고를 꺼리지 말라. 비유하면 천리마와 같으니, 멍에 메고서 방황하지 말라."143)라고 하였으니, 원컨대 우리 벗은 힘쓸게나. 承書有日。而坐於悤撓。尙爾稽謝。不安多矣。向於敬父之還。謹聞堂上有不安之節而至於少間云。未審其後漸復天和。而矧翔如常否。馳溯區區。不任願聞。義林頽塌日甚。扶竪沒策。只自悶憐而已。今春䑓隱丈住札村塾。其所以晨夕薰灸。日月刮磨。必不淺淺。惟篤實刻苦四字。是其節度。古人詩曰。至寶在髙深。不憚勤梯航。譬猶千里馬。駕言勿彷徨。願吾友勉之。 지극한……말라 양시(楊時)의 〈차일불재득시동학(此日不再得示同學)〉이란 작품에 보이는 구절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위형신【대량】에게 답함 答魏亨信【大良】 헤어진 뒤에 하염없이 시간은 흘러 이미 한 해가 지났으니, 그리운 마음은 더욱 암담해져 지나간 날만큼 쌓이네. 문득 편지를 받으니 음이 꽉 찬데서 하나의 양을 보는 것 같아 그 위안과 고마움이 어떻겠는가. 인하여 부모를 모시면서 기쁜 일이 많고 신령이 도와 건강하며, 부모를 봉양하고 남은 힘으로 공부하여 날마다 과정을 따른다고 하니, 붕우의 좋은 소식이 어찌 이보다 좋으랴! 더욱 듣고 싶었던 바라네. 나는 노쇠함이 날로 심하여 지팡이를 짚을 힘도 없으니 세상에 알려지지 못하고 죽은 귀신이 됨을 면치 못할까 두렵네. 다만 나를 따르는 사우(士友) 가운데 젊은이들이 많은데 그들의 기대에 만분의 일도 부응하지 못하니, 생각하면 항상 대단히 두렵다네. 잘 모르겠네만 우리 벗처럼 빼어난 젊은이는 나를 보고서 감계(鑑戒)로 삼는가. 그대가 〈외필(猥筆)〉에 운운한 것은 말하자면 매우 길고 현재 이러한 상황은 그 유래가 또한 오래 되었네. 유자 기풍의 쇠퇴와 선비 추향의 분열을 지나간 역사책에서 찾아보아도 또한 이런 일이 있는가. 사람으로 하여금 분격에 개탄하게 만드니 차라리 말 하고 싶지 않네. 다만 푸른 하늘이 저 위에 있으니, 백 대 이후에 반드시 정상으로 돌아옴을 기다릴 뿐이네. 別後荏苒。已易一寒暑。懷思悵黯。與日俱積。忽承惠書。怳然若窮陰之見陽。其慰沃感豁。爲何如耶。仍審侍省歡慶。神相百福。餘力佔畢。日趲程曆。朋知好音。曷踰於此尤叶願聞。義林衰索日深。策理無力。恐未免爲無聞之鬼而已。但遊從士友多少年。未有以塞其相期萬一之意。念之每切悚然。未知少年英秀如吾友者。視之爲鑑戒否。猥筆云云。言之甚長。且今日爻象。其來亦已久矣。儒風之衰薄。士趨之分裂。求之往牒。亦有是耶。令人憤歎。寧欲無言。但蒼天在上。只俟百世必反之常而已。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임경행【재선】에게 답함 答林敬行【載善】 학문에 종사하는 과정이 줄곧 이어져서 날로 원대함으로 나아가는가. 매우 그리워하는 마음에 항상 소식을 듣고픔이 간절하네. 보내준 편지에서 사람이 처한 곳이 외져서 곁에서 이끌어 가르쳐주는 사람이 없다고 하였는데, 자신의 주변을 살펴보면 혹 이와 같을 수도 있네. 그러나 성스런 스승과 어진 벗이 책 속 이쪽저쪽에 서 있어서 훌륭한 말씀과 중요한 가르침이 물샐틈없이 빽빽하게 있네. 만일 독실한 마음으로 책을 읽어서 절실하게 체인한다면 학문하는 지름길에 어긋나지 않은 것이네. 그 이끌어 가르쳐줌이 또한 어떻겠는가. 안으로 스스로 닦는 실상이 없는데 밖으로 종유한다는 명목만 일삼는 것이 또한 근래의 나쁜 풍조이네. 다만 어진 그대는 그와 같지 말게나. 居業課程。一味接續。日就遠大否。懸懸瞻注。每切願聞。示喩人與地僻。傍無提撕。此在自省容應若是。然聖師賢友。立立於黃卷中。而格言要誨。置水不漏。苟能實心讀書。體認親切。則爲學蹊逕。可以不畔矣。其爲提撕。何又如之。內無自修之實。而外事遊從之名。亦近日敝風也。惟賢勿似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魯陽山水最吾東新築院祠尙古風精靈所格神如在敬愛惟勤感遂蒙四面邱墟彩色裡百年孺子草心中入門多賀要康濟始事由眞竟必同 後學全州李元熙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魯陽院宇築山東濟濟衣冠尙古風克己正心從聖學安貧樂道厚恩蒙擇仁結誼成其本以義許心執厥中長使士林來會席相論志氣一心同 後學全州李元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楚山以北瀛州東此日奉安動古風事師獻誠多遺語誨人不倦大啓蒙學就心動勤怠裡道通形爲有無中經始三年功告訖千秋享祀四隣同 後學順天朴圭喆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特地玄巖在海東講修書院動良風彬彬縉士嘉言法濟濟肖孫嚴訓蒙遺蔭臻臻傳世上德望昭昭闡鄕中此時勝事天應感只願綱常萬世同 後學全州李元樞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尤老大名垂海東斗翁從學必生風安貧守志先生寫樂道爲賢曾訓蒙忠節貫天大界上絃誦動地玄巖中魯陽院宇新精灑師第年年祭祀同 後學全州崔圭禧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地是瀛州冠海東先生去後遺淸風文章道學先明德事業功名後啓蒙祝賀賓迎朝日下奉安禮畢午天中斗翁院宇是何晩俎豆衆論僉口同 後學玉川趙成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大明聲敎惟吾東卓彼先生文獻風德義名聲人所仰詩書遺業世傳蒙雲樹玉果落成日春露秋霜追慕中善承後裕今如在無人不識兩賢同 後學全州李丙燮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