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조선 으로 검색된 결과 3262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跋 詩不如其人自古有是語然未有如橘屋尹公之尤著題也重峯趙先生早師栗谷牛溪二先生其道德學問實有淵源不幸爲羣小所仇嫉其終之所成就遂能扶三綱正九法則可謂不世出之大賢也方羣小仇嫉之時與之立談者皆被收司之律故平日知舊至或改頭換面有過其門而掉臂者獨公誠心服事始終如一遂至於坎軻以沒而不悔蓋趙先生之賢益大而公之義益著矣雖使公之詩浸淫李杜凌掩蘇黄然視其人則亦豈不欿然而遜其長弟耶然知其然者蓋鮮矣惟文正公金先生知之深故塤箎迭唱金石交奏蓋於公遺編可考而知也今元輔文谷相公承述事契弁文編端發揮引重無復餘憾蓋公之爲人上因趙先生而著中際金文正而重終得文谷公而垂於不朽語曰不見其山但見其木其信矣乎然則公之可稱者其將在其詩乎抑將在其人乎噫斯豈易與俗人言哉時崇禎紀元之上章涒灘九月日恩津宋時烈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立之赴任長興【李春元】 官罷昏昏秪醉眠離情偏屬泬㵳天功名不到茅茨裏身世宜棲枳橘邊洛下五年今老爾吳中二頃故依然若爲飛鳥先君往西浦仍尋舊釣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禮曰祖先無美而稱之。是誣也。有善而不傳。是不仁也。二者古來君子所恥者也。不肖惟是之懼。遂乃廣詢宗黨。遍索塵篋。編次如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先有烈。我則慕之。思所以趾美。于墻于羹。惟祖先是則。是眞能爲大慕于祖先而克承其世矣。然慕之之道亦惟曰敬而已矣。今以祀享一事言之。沐浴齊戒。敬之事也。致愛致慤敬之實也。則存則著。敬之效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내용: 禾山里養殖組合 組合長 宋秉玹이 漁業ノ免許를 받았다고 朝鮮總督에게 보고한 문서. *수입인지 있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蓋祠有誌猶族有譜國有史而記實也若國而族而祠而無史若譜若誌則往古來今誰知其治亂昭穆建撤之實蹟哉昔在治世猶患歲久實沒矧乎黃白雜糅大非前日之今日尊賢修誌講明禮義惡可緩之一日乎嗚呼惟我先祖白巖籠巖兩府君忠節之爭日月俎豆之設鄕省檮乘所載諸賢敍述可按其足徵也第往歲景賢祠之在長城者再見撤於倭讎噫忍言哉不肖及時駿奔奉府君祠牌而來詢謀鄙五昆弟相址建祠祠額東津隨力損貲貲供祀田不祀忽諸忽然更新焉越年甲申數郡章甫相携子來曰秉彛好德人人所賦先賢祀事專委雲仍而縮手袖間於義可乎於是結契以捐金投詩以景慕惟恐後人則祠遂爲士林所有而行祀居然二十餘星霜矣此向所謂記實也誌亦方就緖而其原委弁文及諸跋已盡之不必架疊役垂訖屬余以一言殿之余有敢殿者厥子不肯堂構則厥考不可曰予有後況祖先之危忠苦節可不思所以傳之無弊乎凡爲後於吾祖先者以祖先之心爲心毋墜祖先之美則于是誌也尤不有光乎是役也士林諸宗甫子來樂相然若其有初有終一心竭力則於鄭君煥圭恐讓一頭地矣未知僉君子不以爲比否是亦記實也歲次丙午孟夏之上澣白巖先生後孫完述謹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檀君朝鮮), 기자조선(箕子朝鮮), 위만조선(衛滿朝鮮), 사군한(四郡漢), 이부한(二府漢), 삼한(三韓), 삼국(三國), 신라(新羅), 고려(高麗)까지의 왕조를 기록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기타

*내용: 禾山里養殖組合 組合長 宋秉玹이 漁業ノ免許를 받았다고 朝鮮總督에게 보고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金彦慶 金彦慶字以見號節齋金海人文愍公馹孫玄孫器宇軒豁兒時遊戱累石爲陣容指揮群兒若有規律及長篤志學問從文烈公重峰趙先生遊爲道義交兼精物理星曆舟車兵算機關運用之奧妙官全兵曹佐郞當龍蛇亂倡擧義旅屢建奇功嘗往忠莊公晩翠權公慄義所參贊軍機警敏精銳權公亟加奬許時敵禍孔慘列城震盪公挺身勵衆所向皆捷兵威稍振聞重峰趙先生殉義錦山移陣往討遇敵於郡東濟原地轉戰至川內江上敵勢去益浩大以疲勞之士寡不敵衆軍陷矢盡奮威血戰力斬數十酋竟殉軍中其嗣宣務郞厚立隨公在軍中力戰追敵冒危收葬於錦山濟原之川內江上加酌洞負巽之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告諭大谷洞中 今以淸和麗日一巷人士會于洞口之古亭上淸陰之下講情修好序齒而坐酒行琴鳴神氣諧暢豈可無一言勉諭哉惟我一巷同居者曰宋曰蔡曰金曰李曰柳曰羅曰晋自祖先連門而居接畔而耕德業相勤禮俗相交過失相規患難相恤其分若踈而甚密所關若輕而甚重姓雖不同義則兄弟立約設契讀法而行之者蓋有自來矣凡爲其後承者各自以祖先之心爲心則玆約法之美風化之補不徒行於當時當遵守成法永久勿替奈之何人心不古若各以其心爲心或有睽離於其間者豈不爲之痛恨也大抵君子交遊之道相觀而善相須而成脫有不謹則必從容規戒之提撕之俾不至於過惡共蹈忠信乃合做底道理今乃有人心不似我心者則必欲吹毛求疵洗垢索瘢而後已是何等風俗以吾同巷之人而有如此之行不可使聞於他人也君子之所貴乎道者不一而舍己從人爲最禹聞善言則拜湯改過不吝顔淵不貳過易曰不遠復仲由有聞未之能行惟恐有聞盍亦自反而務求祖先之心乎亭上有一老樹請以此木爲諸君諭之此木之生幾過二百年而其大十餘圍其長百餘尺其幹其枝不知其幾千萬直者曲者橫者偃者上者直上下者直下東者東西者西南者南北者北枝枝葉葉鬱鬱蓊蓊俯而撫其根則初自一根而發者彼千枝萬葉者豈知曄曄之發自其根也凡人之枝分泒別亦類此也人莫不有親踈之不同而自其祖先視之則固無親踈之可言也各盡其孝友之道而推以至於睦婣任恤則其化成俗美爲何如哉孔子曰身也者親之枝也不能敬其身是傷其親傷其親枝從而亡吾反言之曰傷其枝葉是傷其根本枝葉殘而根本其有不傷者乎惟願諸君念哉勉哉母忝所生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최병욱(崔炳郁)이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앞으로 보낸 간찰(簡札)의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聖朝褒節第昔未遑不屋而壇時窘風雨誠禮莫單流俗所輕識者攸嘆乃建斯搆以妥明靈尊牢司祝於位是聽堂齋厨湢百爲具焉事以上聞恩額下宣循名揆實信乎從容在子成孝在臣而忠致殊理一同此一宮蓋惟忠烈從事栗翁薰德雖晩河飮則充矧趙先生最蒙提警聞言見行罔非其正考本觀化斯宜取斯從玆帝衷莫虞其虧今涓吉辰薦此馨肥庶同歆格無我斁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其祖先積德累仁之功。從此可卜。而留有餘不盡之福。以還子孫者也。人家祖先孰不欲福蔭於子孫。而猶不能者。惟翁之祖先乃能之。子孫克趾之。始知其世濟其仁而壽耈乃餘事也。又以此年抱一孫。頗岐嶷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先祧遷。是何等盛禮耶。曾謂居喪墨衰。而行吉祭乎。時祭。或可攝行吉祭。祧遷。不可攝也。以此語證之。令再從。哀後喪未闋。其前喪吉祭。不可行也明矣。昔尼尹。於最長房葬後祧主。卽遷于次長房。而尤菴。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德溪祠【在梧谷面梧枝里】 巴陵君李璥字子振號德岩全州人中宗己卯上疏盡力救文正公靜菴趙先生謫海南後量移于本郡後賜環見其山川秀朗且無仕進意因居焉行義德學爲世所宗一鄕被化實多歲在丁丑知縣李舒與章甫議幷享于西溪祠每年二月二十一日歲一祀焉常享祝文炳然義烈同歸靜沖抗節扶紀鼓舞儒風謹以庶品式薦明禋西溪南趎字季膺固城人受業于文正公靜菴趙先生門英明夙悟文章行誼爲世師表官至典籍賜暇湖堂己卯禍作謫後賜環還鄕絶意仕宦歛跡自靖純祖甲戌知縣沈文永因鄕人意建閣于先生遺墟西溪里以祀之後乙亥依本道通文改建祠宇後以巴陵君李璥幷享高宗戊辰以朝令毁撤設壇巴陵君祀版本孫奉歸其家獨犯西溪南先生後本孫以巴陵君竝享因以移建于梧谷面梧枝里名曰德溪祠本是西溪祠故也常享祝文詆剌權奸盆松傳芳凜然千載芬馥愈彰薦玆芬苾永言無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의根本方針에基하야政務를遂行할ᄲᅮᆫ外라다시朝鮮內實地現況에參照하여多小加減은할수잇지만은大方針의協定的軌道는到底히違越할수업다는것인대時方北支ᄭᅡ지輸送하면每石에四円五十錢假量의純利가잇스나將來난乃至十餘円假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조선총독부임야조사위원회에서 최기홍에게 보낸 통지서의 피봉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임야조사위원회(林野調査委員會)에서 최기홍(崔基洪)에 보낸 통지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에 朝鮮總督府遞信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 朝鮮總督府遞信局

상세정보
3262
/164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