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단양에 이르러 이도민【승호】과 노닐다 到丹陽與李道敏【承灝】遊 효도와 우애로부터 시작하여 인을 구하니 (自從孝弟始求仁)이것이 인간 세상에 으뜸가는 사람일세 (此是人間一等人)우리 유자 분수 밖의 일을 말하지 말라 (休說吾儒分外事)어지러운 세상살이 모두 참이 아니라네 (紛紜閱世摠非眞) 自從孝弟始求仁。此是人間一等人。休說吾儒分外事。紛紜閱世摠非眞。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아우 경방의 시에 화운하다 和敬方弟 알아야 할 것을 알고 행해야 할 것을 행하니 (知所當知行所行)인간 세상 비방하는 소리 어찌 싫어하랴 (何嫌人世毀咻聲)하늘의 조화 그칠 때가 없고 (一天造化無時息)천고의 풍진세상 맑은 날이 적네 (千古風塵少日晴)부귀는 뜬구름처럼 아침저녁으로 바뀌고 (富貴浮雲朝暮態)공명은 흐르는 물처럼 얕고 깊음이 달라지네 (功名流水淺深情)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 (莫將歲月悠悠過)뜻을 두어야지 일을 끝내 이룰 수 있네 (有志方能事竟成) 知所當知行所行。何嫌人世毀咻聲。一天造化無時息。千古風塵少日晴。富貴浮雲朝暮態。功名流水淺深情。莫將歲月悠悠過。有志方能事竟成。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을사년(1905, 고종42) 가을 영귀정142)에서 가숙으로 돌아오다 乙巳秋自詠亭還家塾 병 얻어 금침을 옮겨서143) 봉양144)에 누우니 (得病移衾卧鳳陽)가을날 풍우가 사람을 늘 시름겹게 하네 (秋來風雨惱人長)어느 때 검은 구름을 깨끗하게 쓸어서 (何時凈掃煙雲黑)요순시절의 광명을 다시 볼까 (重見堯天舜日光) 得病移衾卧鳳陽。秋來風雨惱人長。何時凈掃烟雲黑。重見堯天舜日光。 영귀정(詠歸亭) 정의림(鄭義林)이 강학을 위해 1893년 12월에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회송리(會松里)에 건립한 건물이다. 여기에 아홉 성인의 진영(眞影)을 봉안하였다. 병……옮겨서 두보(杜甫)의 「협중람물(峽中覽物)」에 "촉강은 외려 황하를 보는 듯한데, 배 안에서 병 얻어 금침을 옮기노라.[蜀江猶似見黃河, 舟中得病移衾枕.]"라고 한 구절을 차용하였다. 봉양(鳳陽) 당시 작자가 거주하던 곳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회갑일145)에 심회를 서술하다 回甲日述懷 이전 을사년에는 어린아이였는데 (前乙巳年赤子身)후일 을사년은 백발노인이네 (後乙巳年白髮人)백발이 거듭 생겨도 마음은 어린아이와 같건만 (白髮重生如赤子)당에 오르니 우리 부모는 보이지 않네 (升堂獨不見吾親) 前乙已年赤子身。後乙巳年白髮人。白髮重生如赤予。升堂獨不見吾親。 회갑일 작자는 1845년(헌종11) 을사년에 태어났으며, 작자의 회갑은 1905년(고종42)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박경중194)【준관】에 대한 만사 挽朴敬仲【準觀】 생을 마감하는 일 어찌 이렇게 빈번한가 (風燈草露何頻頻)인간 만사 영원히 이별하는 때일세 (萬事人間永訣辰)예부터 지하에서 돌아올 길 없었으니 (自古窮泉無返路)지금 깊은 밤 아직 새벽이 밝지 않았네 (至今厚夜不曾晨)좋은 벗 죽어 애통한 마음을 어이 감당하랴 (況堪良善云亡痛)후손이 남은 복 새롭게 받기를 고대하네 (佇見遺承餘祿新)병을 앓아 상여 끈 잡고 곁을 지키지 못하니 (吟病嗟違携紼役)멀리서 작약을 바라보며 하염없이 눈물 흘리네 (遙瞻芍藥淚盈巾) 風燈草露何頻頻。萬事人間永訣辰。自古窮泉無返路。至今厚夜不曾晨。況堪良善云亡痛。佇見遺承餘祿新。吟病嗟違携紼役。遙瞻芍藥淚盈巾。 박경중(朴敬仲) 박준관(朴準觀, 1841~?)이다.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경중, 호는 오봉(五峯)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김여경에 화답하여 주다 和贈金汝擎 마음은 반드시 잡아서 보존해야 얻고 (心必操存得)의리는 의논하고 토론해야지 밝아지네 (義須議討明)나이 젊고 기력 왕성한 그대를 아끼니 (愛君年力富)새로 시작하여 앞길을 열게나 (發軔開前程) 心必操存得。義須議討明。愛君年力富。發軔開前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광석대에 오르다 登廣石臺 광석대 머리에서 저녁 바람에 속진을 씻으니 (廣石臺頭濯晚風)표연히 백운 속에 이내 몸이 있네 (飄然身在白雲中)그림으로 그려 내지 못하고 시로 묘사하지 못하니 (畫莫能圖詩莫狀)이 산이 호남 동쪽에서만 으뜸이겠는가 (此山非但甲湖東) 廣石臺頭濯晚風。飄然身在白雲中。畵莫能圖詩莫狀。此山非但甲湖東。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봉에 오르다 登上峯 평소 산을 탐하다가 비로소 진경을 보니 (平日耽山始見眞)좋은 벗 십여 인이 나와 함께 하였네 (同余好友十餘人)풍혈대와 석실엔 신선들의 자취 남았고 (風臺石室群仙蹟)옥녀봉과 천황봉엔 태고의 봄을 간직하였네 (玉女天皇太古春)우주는 모두 두 눈에 들어오고 (宇宙都歸雙眼孔)흉금엔 십년의 먼지가 깨끗이 씻기네 (胸懷痛滌十年塵)서생은 한가로이 노니는 나그네가 아니니 (書生不是偷閒客)덕을 본받아 지금부터 더욱 새로워지기를 바라네 (體德從今願益新) 平日耽山始見眞。同余好友十餘人。風臺石室羣仙蹟。玉女天皇太古春。宇宙都歸雙眼孔。胸懷痛滌十年塵。書生不是偷閒客。體德從今願益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징심사에 투숙하다 宿澄心寺 아침에 징심사를 출발하며 (朝發澄心寺)머리 돌려 다시 산을 보네 (回頭更看山)돌아가는 길 물을 필요 없으니 (不須歸路問)물 따라 인간 세상을 벗어나네 (隨水出人間) 朝發澄心寺。回頭更看山。不須歸路問。隨水出人間。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벽산 강회 碧山講會 능양153)의 삼월 벽지가 맑고 (綾陽三月碧池淸)연회에서 음악 소리 절조 있게 울리네 (樽俎絃歌秩秩明)지척에 있는 내 고향 계산으로 (溪山咫尺吾鄉裏)제군을 따라 저녁 소리 부치고자 하노라 (願逐諸君寄晚聲) 綾陽三月碧池清。樽俎絃歌秩秩明。溪山咫尺吾鄉裏。願逐諸君寄晚聲。 능양(綾陽) 능주의 옛 이름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동금봉에 올라 오영지154)【장섭】의 시에 화운하다 登東錦峯。和吳永之【長燮】韻 아침에 벗과 함께 산머리에 도착하여 (朝來携友到山頭)풀밭에 자리를 마련하니 솔은 누대가 되네 (藉草作茵松作樓)춘삼월 오래 내리던 비 이제야 그치니 (三春宿雨方初歇)몇 송이 시든 꽃은 짐짓 늦도록 남아 있네 (數朶殘葩故晚留) 朝來携友到山頭。藉草作茵松作樓。三春宿雨方初歇。數朶殘葩故晚留。 오영지(吳永之) 오장섭(吳長燮, 1862~?)이다. 본관은 보성(寶城), 자는 영지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회헌 주인이 벽 위에 남긴 시에 받들어 화운하다 奉和悔軒主人壁上韻 흰 구름에 둘러 싸여 골짝 어귀 깊으니 (白雲爲鎖洞門深)한 줄기 계산은 태곳적 마음 간직하였네 (一派溪山太古心)가랑비에 상마는 들밭에서 자라고 (細雨桑麻登野圃)신춘에 매죽은 정원 숲을 이루었네 (新春梅竹作園林)아이를 가르쳐 가업을 잇게 하고 (敎兒能述箕裘業)서숙을 열어 늘 글 읽은 소리 듣네 (開塾常聞絃誦音)후회 없을 듯한 주인옹이 후회 있다 말하니 (無悔主翁言有悔)내 장차 한번 찾아가 물으려 하네 (吾將試問一相尋) 白雲爲鎖洞門深。一派溪山太古心。細雨桑麻登野圃。新春梅竹作園林。敎兒能述箕裘業。開塾常聞絃誦音。無悔主翁言有悔。吾將試問一相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跋 曾傳曰有土此有財有財此有用凡無載用則一身一家莫可保守而況一鄕共奉共法之地乎蓋校之無土無財奄迫十稔則這間凡百果作何貌樣歟嗚呼此滔滔之日鳩財若干而刱立玆約者實不獲已也亦非偶然也粤在去年春享時不侫僭直文廟者已二年矣不得已敬告于僉座曰隻手擎天古所難有則不可不用人衆勝天之計矣於是焉無長無少幸不以無似而廢却之咸一吁而發此盛論然民生極艱故施過年餘未可容易得就矣是歲夏秋間會議通諭至再至三而諄悉焉感動肺腑乃者諸有事各事其事也其指揮則聽于安【時良華煥】鄭【邦鉉在夏】李【整憲啓華】尹【相龍滋信】糾合則謀于羅【基宗烋成】張【寅相】鄭【鍾玉】魯【秉洙】李【和範機淳】尹【鎔炳】曺【章煥】金【明煥錫煥致煥】案目則正于安【時鎔】李【鍾烈】編輯則議于尹【恒植】盧【澈秀】印役則監于李【漢範】盧【安秀】財務則掌于曺【重煥】韓【鳳燮】繕書則司于鄭【炳夏】金【炳覽】而始克竣功此可爲不幸中幸而有土有財之基本歟至於不拔一毛而詆斥反對者渠雖爲名家世族不訾之身烏得脫楊朱之輩流而不爲 夫子之罪人乎就中有一種乖論而目之以淸濁混雜者抑又何意歟是有一說可破者試合金銀銅鐵而攪之于一器中復覆之而揀之則金銀自金銀銅鐵自銅鐵也如攪之而又攪之揀之而又揀之則只不過一好事者而已且把那器中之銅鐵視彼器外反對之金銀則其淸濁之換形不翅隔天壤矣權學文曰學則庶人之子爲公卿不學則公卿之子爲庶人蓋學吾 夫子之道而辨別義利者敢做此等之說而欲沮之乎甚嘆甚嘆今以此觀則無論某族學者當爲金銀不學者當爲銅鐵而無疑矣竊念此慕聖之克終實不在乎契也惟在乎講明道義知其趣向則伏願諸章甫從皆實踐此規而勤勤懇懇則使吾 夫子之道宜不墜於左道流行之域而令人知其所由矣其於立綱正俗之道豈可曰少補云爾哉此可謂不獲已不偶然者也咸平李世範齊沐謹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鄕約契序 粤在勝國我先祖晦軒文成公憂學校之衰替募贍學錢以給生徒肄業俾畵 先聖先師之遺像與夫購祭器樂器六經諸子史以來啓東方文明之運猗盛哉自是以後我東鄕校之設一倣中華制度儀節燦然備具非後世之所能及一自世道變嬗燦然者紊然所謂公私學田屬之烏有釋菜之不成模樣學者之不得講習已久其爲吾林之慨惜如何也余直文廟之日與鄕中某某另立一約募合鄕校任員下各壹圓又收春秋釋奠時齊官及執事下各壹圓作爲一案而名曰鄕約契歲率爲常雖通合一鄕多士孰敢有間然亦不無慮到於高麗高世之先難也竊願後來君子須勿以此爲之僭而隨補之拮据之終抵于土壤成泰細流就河以補祼獻之資講學之給則其於文成先生詩滿庭春草之嘆庶幾免夫拱手以竢歲辛酉梧秋竹城安鍾泰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鄕校重修記 夫子天地也無不覆幬無不持載大德敦化小德川流此天地所以爲大而夫子所以爲天地則天下萬世立廟設校王祀焉講學焉宜與天地而同其存壞不敢懈也一日無天地則人物都息一日忘夫子則倫綱都墜廟校之修其爲關重世道何如而挽近爲官爲士者因世多事未暇重修在在皆然可勝憂哉洙康謬以不材來莅玆鄕謁聖之初見殿廟滲漏廚庫傾仆齋堂門墻腐弊汙穢慨然興歎謂當急修則鄕多似齊願金扶而力鉅財乏僅修明倫一堂而中停適申君㻛均爲直員奉審訖卽來諗曰職當爲而不職力可及而不力非素志也遂獨捐八千金而嗣修之洙康欽言欣焉亦以學費餘金九百助役不數月而告竣於是滲者完仆者起腐全而弊興汚淸而穢蠲丹雘輪奐象設尊安落之日校掌任又各出金至屢百樂與讌飮嗚呼申君此擧豈止爲盡職盡力將以尊正學而補世敎也有唱有和乃理之常繼而列郡有志聞風而興起焉則天地位而萬物育其本在此矣申君以高姿蚤摳衣於心石宋公之門學正而行治則尊聖憂世蓋其蓄積也此非其驗歟因念咸平名鄕也箕山峨峨穎水洋洋鍾靈毓秀道學節義之士科宦閥閱之公已往何限皆以不忘夫子之道致此盛矣苟或雜以他道者未也天地存則夫子之道常爲宗山水靈秀非古豐而今嗇則此時此擧殆不偶然願咸之人倍加勉勵知天地所以爲大而講夫子所以爲天地者以竢之愧洙康之不及樂申君之不偶玆爲之記戊午九月日知郡平康蔡洙康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鄕校重修記 竊嘗聞聖道之原出乎天天不變則道亦不變繇是焉亘古亘今上自王宮國都下及州縣莫不有學皆知所以尊聖人而講明斯道也惟我箕城素以鄒魯之鄕著稱校宮位置略倣太學之制而每歲二丁釋奠諸子絃誦有足以興起斯文矣挽近敎化陵弛不惟學舍頹弊至於殿廡壞漏將有春草滿庭之歎寧不大可寒心哉非圖昨年夏顧惟卑微猥忝直任夙夜祗懼萬無以塞職而校宮修理正今日最先急務也然竢其僉議詢同衆力畢擧募財而葺理則還就時月恐無以濟事故不可經記聖殿位牌告由移安于東齋改瓦易榱墁治後壁大小夾門傾側者一皆修新而宮墻隨築且典司庫卽祭器祭服書冊藏庋之所而永爲顚覆更此重刱凡厥經用殆七千鏹而校貌若可以聳觀者存焉前此校宮庄土所收歲不下六七十碩而近年盡輸新學校經費自本校一不需用矣知郡蔡洙康特於新學校應酬中採金爲九百緡而餘六千金㻛均所擔夯者也興役蓋自正月始而工匠咸勤監董不隋歷四個朔工告訖是年五月初一日焚香告由位牌還安于正殿仍飮樂以宴之時校任各出百今以助之㻛均曰今此校宮修理也宴樂也皆吾職耳責耳不欲煩諸任也僉曰不然工費巨額直任旣自擔出則今日宴需吾儕獨無排擔可乎㻛均回念古昔賢人君子必欲成人之美而不欲沮其善也故謹爲領略然向微蔡侯慕聖之誠與夫齋任贊助之力詎敢望就緖而飮今日之落也耶嗚乎吾道之寄在天下猶元氣之流行四時雖或否泰剝復迭相推遷然一線陽脈未嘗亡也安知子夜一聲雷便應有萬戶千門次第以開底消息歟因書其事于壁使後之君子有所興感而亦以諗夫民彛之性窮天地亘萬世而不泯也云爾著雍敦牂重陽上澣平山申㻛均謹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咸平鄕校誌序 啓龍莅郡之明年壬申校中僉君子謀修校誌越明年癸酉始克成編凡上下二卷條例若干以啓龍知郡俾置一言嗚呼誌豈易事哉先聖往哲精神心法皆載此誌而膚淺之見何敢繩尺於其間且年代上距數千下至數百雖欲沿流而得源如暗夜模象知不可得然先聖往哲之道布在方冊潛心硏精則其影響或可一於萬矣何者校宮圖享祀圖道統圖學統圖祭器圖禮服圖陳設圖列位事實錄者重其原本也建置位置學田祀典樂章齊戒齊官祝板釋奠儀省牲器笏記還安祭儀書籍古蹟者詳其禮數也隨行案序揭板文老人宴案序及詩者尊其高年也三十案靑衿儒案者著其名家也東齋隨行案養士齋重修有司案養士齋隨行案者明其兩齋之表裏故實也誌之義其盛矣乎誌不惟記載之是尙而始終條理莫不以尊聖慕賢爲本後之人有志於復校之本舍是誌何以哉孔子曰齊一變至於魯魯一變至於道道非別件日用彛倫當行之路是也尊聖則道理自明家焉而父子親國焉而君臣義自此而往無一事之非道也是誌之行安知無知讀聖人書變化氣質以至於道者耶竊以是望之孔子誕降二千四百八十四年癸酉十月下澣知郡南啓龍謹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노우언【창석】에게 보냄 與盧禹言【昌錫】 가을을 알리는 바람 소리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으니 그리운 생각이 배나 지극합니다. 정양(靜養)하며 잘 지내시고 건강도 다복하신지 모르겠습니다. 형문(衡門 은자의 거처)은 조용하고 한가하며 바람과 달빛은 끝없이 펼쳐졌을 터이니 옷자락 나부끼며 한가롭게 소요하는 즐거움이 어떠신지요? 성현의 경전이 서안(書案)에 가득하고 부자(夫子)께서 자리에 앉아 계시니, 학문을 하는 여가에 1~2편의 글을 펼쳐 읽고 1~2편의 시를 음미하여 마음에 꼭 들어맞고 몸에 절실하게 하십시오. 하루하루가 이와 같아 계속되는 과정(課程)이 있다면 그 심장(深長)한 의미는 형언하지 못할 것입니다. 우리는 나이와 기력이 이미 젊고 건장하던 시절이 아니니 독서를 하더라도 어찌 문인 재자(文人才子)가 되려고 하겠습니까. 어찌 작록(爵祿)을 구하고 과거에 급제하려고 하겠습니까. 그저 한 자(字)를 읽으면 한 자만큼의 유익함이 있고 하루 동안 책을 읽으면 하루 몫의 식견이 생기니 세상에서 헛된 사람이 되지 않기만 바랄 뿐입니다. 복잡한 세상일을 어찌 마음에 담을 수 있겠습니까. 득실과 우열은 하늘에 달려있을 뿐입니다. 은거하면서 의를 행하는 우리 벗은 운치가 뛰어나십니다. 추앙하는 제 마음이 다른 사람 보다 뒤지지 않기에 다시 독서에 관한 의견을 아룁니다. 이는 대체로 현자에게 더 잘되기를 기대하고 완벽해지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秋聲在樹。懷想倍至。未審靜養有相。體節百福。衡門靜閴。風月無邊。婆娑徜徉。其樂何如。遺經滿案。夫子在座。遊息之餘。披閱一二編。咀嚼一二時。使之貼心切已。日日如此。續有程曆。則其意味深長。非言語可喩。吾輩年力已非少壯時節。讀書豈欲爲文人才子耶。豈欲爲干祿決科耶。只是讀一字有一字之益。讀一日有一日之職。庶不爲虛作一世人也。悠悠萬事。何足掛念。得喪軒輊。在諸蒼蒼而已。吾友隱居行義。風韻偉然。區區愛仰。不在人後。而復以讀書之說。進焉。盖爲責備於賢。而欲全其美也。如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방장산 화개동71)에서 짓다 方丈花開洞 쌍계의 옛 나루에서 신선을 찾아나서는 배 (雙溪古渡訪仙舟)두둥실 떠가며 한가한 갈매기와 종일 노니네 (泛泛閒鷗盡日遊)산중의 노파 웃으며 차를 올리니 (山嫗笑進茶盤飲)양 겨드랑이에 바람 일어 뼛골이 서늘하네 (兩腋生風骨欲秋) 雙溪古渡訪仙舟。泛泛閒鷗盡日遊。山嫗笑進茶盤飲。兩腋生風骨欲秋。 방장산(方丈山) 화개동(花開洞) 방장산은 지리산의 다른 이름이고, 화개동은 지리산 자락에 있는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봉남 홍경좌72)【채주】를 방문하여 회포를 풀다 訪鳳南洪卿佐【埰周】酬懷 오늘 그리움에 물가에 이르니 (今日相思到水頭)주인은 나를 맞이하려 서루에서 기다리네 (主人邀我倚書樓)월계수 사이에는 봄빛이 감돌고 (月桂樹間春色在)금오산 아래에는 골짜기에 구름이 머무네 (金鰲山下洞雲留)연조에서 검가 부르던 이73) 모두 방랑하던 자취이고 (燕趙劍歌皆浪跡)진당에서 시 짓고 술 마시는 이74) 모두 한가한 부류일세 (晉唐詩酒摠閑流)몇 년 전부터 서로 따른 것 무슨 뜻이었던가 (年來追逐曾何意)오직 공부하고 노력하여 구하는 것이었네 (惟有功夫努力求) 今日相思到水頭。主人邀我倚書樓。月桂樹間春色在。金鰲山下洞雲留。燕趙劒歌皆浪跡。晉唐詩酒摠閑流。年來追逐曾何意。惟有功失努力求。 홍경좌(洪卿佐) 홍채주(洪埰周, 1834~1887)이다. 본관은 풍산(豐山), 자는 경좌(卿佐), 호는 봉남(鳳南)이다. 연조(燕趙)에서……이 전국 시대 연(燕)·조(趙)에는 자객(刺客) 형가(荊軻)처럼 비분강개하는 호걸들이 많이 있었다. 전국 시대 때 자객인 형가가 연나라 태자 단(丹)의 부탁을 받고 진왕(秦王)을 죽이러 떠날 적에, 축(筑)의 명인인 고점리(高漸離)의 반주에 맞추어 「역수한풍(易水寒風)」이라는 비장한 노래를 부르고 작별했다는 고사가 유명하다. 『戰國策 燕策3』 진당(晉唐)에서……이 진(晉)나라 시대는 죽림칠현(竹林七賢)으로 이름난 혜강(嵇康), 완적(阮籍), 완함(阮咸), 산도(山燾), 상수(向秀), 유령(劉伶), 왕융(王戎) 등 명사들이 모여 시주(詩酒)를 즐기고 노장(老莊)에 대해 담론한 것으로 유명하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