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新齋信從錄(원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從遊編 金平默 字穉章 號重庵 逸監役 淸風人崔益鉉 字贊謙 號勉庵 文參判 慶州人趙性家 字直敎 號月皋 逸監役 咸安人金祿休 字 號莘湖 逸監役 蔚山人金致煕 字章汝 號愛日堂 光山人梁相鼎 字德三 號月坡 濟州人洪承台 字士文 號道川 豐山人鄭河源 字 號小蠧 晉州人文秉煥 字三佐 號樂窩 南平人梁相輔 字學汝 號 濟州人鄭 字 號蕖史 延日人曺毅坤 字 號東塢 昌寧人閔 㙾 字 號土窩 驪興人宋鎭鳳 字致承 號思服齋 礪山人奇陽衍 字 號農巢 文校理 幸州人高鎭壽 字聖甫 號知足齋 長興人曺秉萬 字會一 號晦溪 昌寧人高濟寬 字 號敬軒 長興人高濟安 字贊文 號竹軒 生己丑 長興人裴相涉 字君邦 號隱谷 生庚寅 達城人文錫魯 字國瑞 號樂軒 生癸巳 南平人洪埰周 字卿佐 號鳳南 生甲午 豐山人金錫龜 字景範 號大谷 生乙未 金海人吳壽華 字泰仲 號松庵 生乙未 寶城人裴元道 字應甫 號建齋 生乙未 達城人安澈煥 字汝涵 號月山 生 竹山人李贄鎬 字東賢 號芝南 生丙申 光山人安仁煥 字益顯 號鰲山 生丙申 竹山人李承灝 字道敏 號醉湖 生丙申 光山人崔琡民 字元則 號溪南 生丁酉 全州人鄭時林 字伯彥 號月波 生丁酉 光山人李鍾柱 字君三 號鰕西 生丁酉 慶州人盧頎錫 字化中 號隱農 生丁酉 光山人金佑鍾 字乃善 號龍巖 生丁酉 光山人宋演植 字德裕 號溪隱 生丁酉 洪州人曺琪承 字景原 號石井 生丁酉 昌寧人朴璟鎭 字孝三 號默軒 生丁酉 密陽人閔膺鎬 字士善 號服庵 生 驪興人梁益煥 字重慶 號默養齋 生癸卯 濟州人朴準彩 字禹瑞 號德軒 生己亥 密陽人金冀泰 字學魯 號山北 生庚子 金海人南相參 字文賢 號龍庵 生庚子 宜寧人朴準珪 字英仲 號醉軒 生辛丑 密陽人裴鉉奎 字極瑞 號溪窩 生辛丑 達城人朴準觀 字敬仲 號五峯 生辛丑 密陽人趙性宙 字季豪 號月波 生 咸安人宋英植 字德順 號台隱 生壬寅 洪州人金時豐 字聖文 號鶴軒 生壬寅 光山人高 榥 字汝學 號止齋 生壬寅 長興人金萬源 字明恩 號莘溪 生壬寅 慶州人鄭載圭 字厚允 號艾山 生癸卯 逸參奉 草溪人洪祐錫 字文玄 號愚齋 生癸卯 豐山人金顯玉 字豐五 號山石 生癸卯 金海人金成斗 字弘琡 號退憂亭 生癸卯 金海人安澤煥 字汝恩 號三希堂 生甲辰 竹山人尹滋鉉 字亨三 號訥窩 生甲辰 坡平人鄭在洪 字敬之 號耕讀齋 生甲辰 河東人具文謨 字文淑 號松澗 生甲辰 綾城人高楧 字敬學 號忍齋 生甲辰 長興人鄭琦鉉 字致弘 號晩翠 生甲辰 河東人曺喜霖 字正暄 號隱巖 生甲辰 昌寧人程善泓 字致五 號栗隱 生甲辰 韓山人李承琮 字君五 號龍溪 生乙巳 光山人金榮祚 字處中 號竹堂 生乙巳 晉州人程忠根 字振元 號敬庵 生乙巳 韓山人金榮昇 字德仲 號智山 生乙巳 晉州人奇宇萬 字會一 號松沙 生丙午 逸參奉 幸州人朴麟鎭 字學中 號愚忍堂 生丙午 密陽人李承奎 字元白 號聽溪 生丙午 光山人徐復基 字元陽 號敬庵 生丙午 利川人朴準珏 字欽汝 號靜齋 生丙午 密陽人曺仁煥 字元弘 號病隱 生丙午 昌寧人梁在弘 字聖之 號農軒 生丙午 濟州人任台奎 字士範 號德庵 生丙午 長興人鄭昌林 字敬方 號九溪 生丁未 光山人高濟鍾 字聖擧 號 生丁未 長興人趙翼濟 字士彬 號 生丁未 咸安人文載轍 字善一 號三坡 生丁未 南平人吳繼洙 字 號難窩 生 錦城人金萬根 字汝化 號鍾庵 生 道康人金福泰 字聖重 號龜湖 生丁未 金海人金榮祿 字處國 號松庵 生戊申 晉州人鄭志萬 字敬老 號南狂 生戊申 河東人白灝寅 字允執 號蘭汀 生己酉 水原人林昌會 字 號遯齋 生己酉 平澤人朴準元 字止三 號德窩 生己酉 蜜陽人洪祐震 字漢瑞 號靜山 生己酉 豐山人吳駿善 字德行 號後石 生 錦城人朴東鎭 字頌瑞 號碧溪 生庚戌 密陽人奇東翼 字鳳汝 號晩翠 生庚戌 幸州人鄭樂圭 字孟三 號景山 生庚戌 慶州人閔致亮 字周見 號稽樵 生庚戌 文持平 驪興人鄭冕圭 字周允 號農山 生壬子 草溪人梁奎煥 字文五 號石塢 生壬子 濟州人文達煥 字德卿 號遯齋 生壬子 南平人孫永烈 字文叔 號白巖 生壬子 密陽人金奎源 字文賢 號謹齋 生壬子 慶州人尹滋宣 字興瑞 號藍溪 生壬子 坡平人裴柄鎭 字聖道 號竹溪 生壬子 達城人姜仁馨 字士性 號五常軒 生壬子 晉州人金慶泰 字敬瑞 號愼齋 生壬子 金海人權雲煥 字舜卿 號明湖 生癸丑 安東人金章錫 字甫現 號鰕山 生癸丑 淸道人邢道烈 字應七 號野隱堂 生癸丑 晉州人奇 宰 字立夫 號植齋 生癸丑 幸州人李秉燮 字鳳瑞 號柏軒 生癸丑 公州人高濟中 字聖邦 號師峯 生癸丑 長興人文龍煥 字順集 號松巖 生癸丑 南平人具敎元 字文謙 號松溪 生癸丑 綾城人高容柱 字化國 號醒庵 生癸丑 長興人尹秉濯 字永淑 號伊村 生癸丑 南原人安國禎 字舜見 號松下 生甲寅 竹山人宋甲基 字榮煥 號南坡 生甲寅 洪州人閔洛植 字龜瑞 號淸川 生甲寅 驪興人朴準采 字雲汝 號農圃 生甲寅 密陽人李承榮 字益三 號松溪 生甲寅 光山人朴章鉉 字而顯 號菊圃 生甲寅 密陽人高濟遠 字浩然 號自怡軒 生甲寅 長興人李琪白 字光彬 號澗齋 生甲寅 全州人鄭在翰 字致鳳 號松灘 生甲寅 河東人奇宇蒙 字聖初 號山泉 生 幸州人文學天 字明甫 號白雲庵 生乙卯 南平人金斗源 字德彥 號農軒 生乙卯 慶州人梁在海 字順集 號華隱 生乙卯 濟州人崔昶烈 字性圭 號淸溪 生乙卯 朗州人任德鉉 字士範 號默窩 生乙卯 長興人高濟霖 字用汝 號海沙 生乙卯 長興人金淮斗 字致一 號愚溪 生乙卯 慶州人崔泰遠 字益和 號素軒 生乙卯 和順人金智泰 字聖祉 號愼庵 生乙卯 金海人曺秉琦 字聖甫 號梅湖 生乙卯 昌寧人高光善 字元汝 號弦窩 生 長興人邢學年 字敬集 號 生丙辰 晉州人李承鼎 字道常 號莘庵 生丙辰 光山人孫永謨 字子翼 號竹東 生丙辰 密陽人李敎聲 字權洪 號松庵 生丙辰 星州人具翼謨 字德潤 號竹軒 生丁巳 綾城人李承鶴 字子和 號靑皋 生丁巳 全州人李思韙 字春景 號池軒 生 全州人裴相龍 字雲瑞 號 生 達城人梁東周 字君贊 號鍾隱 生丁巳 濟州人金權泰 字成中 號瑞軒 生丁巳 慶州人裴鉉基 字敬玉 號晩隱 生丁巳 達城人金信泰 字敬之 號思庵 生丁巳 金海人權基德 字子厚 號三山 生丁巳 安東人尹秉玹 字致化 號愼庵 生丁巳 南原人裴成默 字處三 號竹窩 生丁巳 達城人李泰夏 字安中 號松齋 公州人李仁煥 字德哉 號敬軒 生戊午 公州人金錫夏 字夏玄 號菊軒 生戊午 金海人李敎敦 字弘中 號一菴 生戊午 星州人具吉謨 字德瑞 號利涉 生戊午 綾城人文頌奎 字啓元 號龜巖 生己未 南平人具赫謨 字瞻汝 號愼菴 生己未 綾城人朴鍾祺 字道賢 號蓮坡 生己未 密陽人金昞淳 字益祉 號石樵 生己未 金海人金相鐸 字德璋 號道谷 生己未 金海人姜義馨 字正行 號痴石 生己未 晉州人李承權 字道心 號莘齋 生庚申 光山人梁在龍 字道遠 號雲菴 生庚申 濟州人孫聲鏞 字泰重 號默菴 生辛酉 密陽人南基三 字德元 號梅軒 生辛酉 宜寧人全斗玉 字仲國 號隱巖 生辛酉 天安人盧昌錫 字禹言 號月坡 生辛酉 光山人裴元烈 字子允 號三愧堂 生壬戌 達城人金瑢淳 字星三 號淵淵齋 生癸亥 金海人程心泓 字士竹 號鍾軒 生癸亥 韓山人金應培 字士權 號三省堂 生癸亥 金海人高鎭圭 字敬寶 號晩覺軒 生癸亥 長興人具馹謨 字敬範 號德齋 生甲子 綾城人朴揆秉 字仁玉 號新庵 生甲子 密陽人具賢謨 字寬範 號德峯 生 綾城人李瑨錫 字聖三 號石汀 生丁卯 全州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門人編 竝私淑 李承愚 字寬汝 生乙卯 光山人李現圭 字玉見 生乙卯 全州人李承一 字成萬 生丙辰 光山人裴興默 字正一 生丁巳 達城人李常白 字光見 生丁巳 全州人朴奎鎭 字大圭 生戊午 密陽人朴采東 字珎汝 生戊午 順天人鄭在禹 字允範 生戊午 河東人朴祐東 字重八 生庚申 密陽人朴瑀東 字致邦 生庚申 順天人梁會洛 字處中 生壬戌 濟州人李承完 字乃權 生壬戌 光山人吳長燮 字永之 生壬戌 寶城人文宅煥 字仁中 生癸亥 南平人閔祐植 字世仲 生癸亥 驪興人金重培 字允達 生癸亥 金海人朴準基 字景立 生甲子 密陽人閔寬鎬 字子敬 生甲子 驪興人朴海鳳 字聖淑 生甲子 順天人吳昌鎬 字汝周 生甲子 寶城人朴孝東 字伯順 生甲子 密陽人朴冀鉉 字世顯 生甲子 密陽人洪承源 字允深 生乙丑 豐山人尹相麟 字季仁 生乙丑 坡平人尹秉燦 字贊洪 生乙丑 南原人鄭濟春 字文成 生乙丑 光山人方錫斗 字德興 生乙丑 溫陽人鄭淳綱 字善卿 生丙寅 河東人金良鉉 字舜佐 生丙寅 光山人金玉斗 字永道 生丙寅 慶州人尹秉煕 字聖運 生丙寅 南原人金箕璟 字子星 生丁卯 光山人李進休 字善仲 生丁卯 光山人朴魯三 字文華 生丁卯 密陽人洪秉憙 字彛元 生戊辰 豐山人李基休 字士溫 生戊辰 光山人林鎬應 字公直 生 平澤人文濟普 字世元 生 南平人趙來龍 字伯淵 生 咸安人洪祐鎭 字文寧 生戊辰 豐山人朴鍾遠 字士弘 生戊辰 密陽人金玉善 字德仲 生戊辰 淸風人李箕淳 字乃洪 生戊辰 全州人朴容東 字寬甫 生己巳 密陽人梁時默 字仲淑 生己巳 濟州人奇世搢 字士城 生己巳 幸州人朴準福 字德受 生己巳 密陽人金權晦 字允仲 生己巳 慶州人朴炳圭 字德璋 生己巳 密陽人洪承渙 字士拯 生庚午 豐山人鄭尙悳 字子元 生庚午 光山人金弘基 字毅伯 生庚午 晉州人姜晉燮 字子明 生庚午 晉山人金海錫 字宗汝 生庚午 金海人宋光壽 字子仁 生辛未 洪州人梁在源 字子涵 生辛未 南原人金相珎 字孝眞 生辛未 金海人白南寅 字明裕 生辛未 水原人宋鼎基 字禹三 生辛未 洪州人高吉相 字良汝 生辛未 長興人裴演默 字洛範 生辛未 達城人尹相義 字仁夫 生壬申 坡平人李承正 字臣汝 生壬申 光山人曺弼承 字仲直 生壬申 昌寧人鄭淳昱 字處中 生壬申 河東人朴鍾大 字元淑 生壬申 密陽人安圭澤 字斗三 生壬申 竹山人洪承澤 字子潤 生壬申 豐山人朴魯東 字應道 生癸酉 密陽人文載淵 字仁涵 生癸酉 南平人洪祐璟 字元仲 生癸酉 豐山人梁在福 字應五 生癸酉 濟州人洪祐鳳 字義仲 生癸酉 豐山人金相老 字長賢 生癸酉 光山人邢啓元 字景春 生癸酉 晉州人徐瑢洙 字學範 生癸酉 利川人高奉柱 字樑彥 生癸酉 長興人具敎純 字日聖 生癸酉 綾城人李長煥 字仁甫 生甲戌 公州人安昌燮 字慶伯 生甲戌 竹山人李基皓 字敬元 生甲戌 公州人閔泳觀 字德瞻 生甲戌 驪興人金昌洙 字子善 生甲戌 光山人安相翊 字治洪 生甲戌 順興人鄭淳鳳 字聖澤 生甲戌 河東人金東炫 字士彥 生甲戌 金海人吳在德 字景純 生甲戌 寶城人韓百彥 字卿賢 生甲戌 淸州人安東植 字致彥 生甲戌 順興人金善培 字允憙 生甲戌 金海人朴準奎 字景文 生乙亥 密陽人朴章東 字文一 生乙亥 密陽人鄭昌鎭 字大智 生乙亥 光山人李弘根 字聖擧 生乙亥 全州人金元基 字仁淑 生乙亥 晉州人朴軫鉉 字仁華 生乙亥 竹山人白昊寅 字景裕 生乙亥 水原人朴默鎭 字士淵 生乙亥 密陽人具益謨 字舜擧 生乙亥 綾城人具瑢謨 字子益 生丙子 綾城人梁會復 字士旭 生丙子 濟州人朴溫東 字元直 生丙子 密陽人程哲泓 字在安 生丙子 韓山人具敎萬 字文化 生丙子 綾城人金泳喜 字樂元 生丙子 慶州人鄭道欽 字士遵 生丙子 晉州人安鍾洛 字允五 生丙子 竹山人具敎胄 字子夔 生丁丑 綾城人安宗燮 字士仰 生丁丑 竹山人高光業 字致明 生丁丑 長興人金相鳳 字孝善 生丁丑 金海人朴柱東 字子咸 生丁丑 順天人曺泰承 字享純 生丁丑 昌寧人任喆鉉 字仁和 生丁丑 長興人裴鍾南 字敬洙 生丁丑 達城人孫載乙 字淑汝 生丁丑 密陽人金甲培 字奎三 生 金海人黃澈源 字景涵 生戊寅 長水人梁會澤 字子允 生戊寅 濟州人金權柱 字應七 生戊寅 慶州人鄭淳珎 字士玉 生戊寅 河東人尹在莘 字致俊 生戊寅 南原人金東炫 字泰泓 生戊寅 金海人金炯基 字光淑 生戊寅 晉州人李鍾昇 字東一 生戊寅 星州人范壽申 字益衡 生戊寅 錦城人裴洪基 字樂凡 生戊寅 達城人朴敬東 字直夫 生己卯 密陽人李燦鎬 字美中 生己卯 光山人梁海默 字乃源 生己卯 濟州人文在鳳 字采成 生己卯 南平人朴準敏 字子愼 生己卯 密陽人權春植 字範晦 生己卯 安東人朴善東 字元長 生己卯 密陽人崔璣炫 字贊一 生己卯 朗州人朴章鈴 字亨全 生己卯 密陽人韓百述 字亮舒 生己卯 淸州人朱基豐 字明允 生己卯 新安人李建信 字汝行 生庚辰 全州人朴炳海 字源方 生庚辰 密陽人金榮斗 字士辰 生庚辰 晉州人朴敏敎 字伯愼 生庚辰 密陽人吳東燮 字敬煥 生庚辰 寶城人孫永璘 字允瑄 生庚辰 密陽人朴夏淳 字官洪 生庚辰 密陽人任泰柱 字宇卿 生辛巳 長興人裴致默 字士遠 生辛巳 達城人吳在東 字陽路 生辛巳 寶城人宋淙珉 字士珍 生辛巳 新平人朴炳起 字明振 生辛巳 密陽人盧恭永 字子安 生辛巳 光山人朴炳淳 字仲賢 生辛巳 密陽人朴魯眞 字子聖 生辛巳 順天人金永鎬 字士範 生辛巳 義城人朴潤秀 字亨淳 生辛巳 密陽人金容玹 字泰益 生辛巳 金海人蔡洙瑄 字信裕 生辛巳 平康人金永皓 字大善 生辛巳 光山人丁商鎭 字泰鎭 生辛巳 羅州人文 炯 字子惺 生壬午 南平人高濟昇 字順明 生壬午 長興人閔泳根 字享晦 生壬午 驪興人高玎柱 字聲余 生壬午 長興人鄭柄林 字德和 生壬午 光山人金東洙 字德潤 生壬午 光山人裴完基 字仲則 生壬午 達城人金權成 字士集 生壬午 慶州人高光三 字明善 生壬午 長興人姜益燮 字子謙 生壬午 晉山人南斗鉉 字仁洙 生壬午 宜寧人張瀚洙 字壽兼 生壬午 興城人洪纘憙 字東奎 生壬午 豐山人朴俊東 字子彥 生癸未 蜜陽人具敎昌 字聖兪 生癸未 綾城人鄭壽林 字基采 生癸未 光山人安弘燮 字良立 生癸未 竹山人高翊柱 字允輔 生癸未 長興人具敎宣 字明執 生癸未 綾城人鄭炳欽 字顔淑 生癸未 晉州人朴潤瑗 字應舜 生癸未 密陽人閔泳淳 字允信 生甲申 驪興人朴準瑾 字公瑜 生甲申 密陽人梁會石 字永斗 生甲申 濟州人文在昌 字允章 生甲申 南平人梁璟燮 字會卓 生甲申 濟州人尹基燮 字士垣 生甲申 南原人金奎培 字允孝 生甲申 金海人黃啓周 字子玉 生甲申 長水人朱在厚 字甫久 生甲申 新安人金起淳 字奇三 生甲申 金海人鄭憲圭 先生孫 生甲申裴錫冕 字純文 生乙酉 達城人朴文采 字延京 生乙酉 密陽人崔南杓 字先敬 生乙酉 朗州人高在煥 字致賢 生乙酉 長興人金權乙 字亨仲 生乙酉 慶州人梁常默 字子善 生乙酉 濟州人曺重燁 字泰卿 生乙酉 昌寧人李淳在 字亨烈 生乙酉 全州人金在泰 字聖邦 生乙酉 金海人朴炫洙 字允采 生乙酉 密陽人李承福 字德受 生丙戌 光山人朴和東 字順元 生丙戌 密陽人尹定燮 字子運 生丙戌 南原人具秉祐 字允長 生丙戌 綾城人金昌鎭 字禹言 生丙戌 道康人李鍾祥 字子善 生丙戌 星州人尹在玩 字明俊 生丁亥 南原人金相鳳 字瑞弘 生丁亥 金海人黃義雲 字道行 生丁亥 長水人申彥暢 字鶴中 生丁亥 平山人文在煥 字明玉 生丁亥 南平人李東悅 字敬眞 生丁亥 全州人朴道東 字德吾 生戊子 密陽人梁會澤 字施雲 生戊子 濟州人朴奎東 字士文 生戊子 密陽人金鍾基 字大敬 生戊子 金海人梁在根 字 生戊子 濟州人具秉祐 字敬純 生戊子 綾城人朴道洙 字容俊 生戊子 密陽人曺有煥 字而現 生戊子 昌寧人李承郁 字達春 生戊子 韓山人鄭淳進 字允明 生己丑 河東人具敎丙 字向明 生己丑 綾城人鄭淳經 字子述 生己丑 河東人文濟俊 字泰彥 生庚寅 南平人鄭現采 字元實 生庚寅 晉州人朴慶柱 字同甫 生庚寅 珎原人朴炳殷 字尹卿 生辛卯 密陽人程百基 字公彬 生辛卯 韓山人尹相鎬 字子承 生辛卯 南原人朴潤亮 字炯舜 生辛卯 密陽人尹秉台 字成度 生辛卯 南原人金昌洙 字基玉 生辛卯 光山人高濟仁 字昭國 生壬辰 長興人金林鉉 字太彥 生壬辰 慶州人程丞煥 字齊煥 生壬辰 韓山人高光春 字善日 生壬辰 長興人崔鎭錫 字祥集 生壬辰 慶州人李承麟 字在三 生癸巳 光山人金正煕 字公直 生甲午 慶州人崔南均 字秉彥 生甲午 慶州人具哲祐 字士淑 生乙未 綾城人南坰伯 字京云 生乙未 宜寧人高濟雲 字龍淑 生乙未 長興人李弘信 字希遠 生乙未 全州人裴錫原 字秉文 生乙未 達城人具敎洛 字宗賢 生乙未 綾城人金奉鉉 字振洪 生乙未 慶州人朴南珪 字德汝 生丙申 密陽人高光度 字贊五 生丙申 長興人裴鍾球 字俊淑 生丁酉 達城人尹在泓 字士深 生丁酉 南原人高弼柱 字士良 生丁酉 長興人程璋煥 字德賢 生己亥 韓山人盧漢紀 字士綱 生己亥 光山人孫鍾彩 字和聞 生己亥 密陽人文濟仁 字如賓 生庚子 南平人崔秀均 字秉國 生辛丑 慶州人金形柱 字而卿 生癸卯 光山人盧桂邦 字萬善 生癸卯 光山人金圭炫 字復三 生丙午 金海人高光鳳 字明現 生丁未 長興人具敎賢 字用器 生己酉 綾城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발문 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발 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발 跋 나의 벗 일신재(日新齋) 정공(鄭公)은 일찍 노사(蘆沙) 선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장려해 주는 은혜를 입었다. 그리하여 다른 제자들이 듣지 못한 것을 들을 수 있었기에 성명(性命)의 오묘한 이치와 이기(理氣)의 미묘한 이치에 이르기까지 질의하고 문답하지 않음이 없어 환하게 마음에 얻은 것이 있었다. 이를 정성스럽게 가슴에 새겨 저버리지 않아 넉넉하게 도가 이루어지고 덕이 확립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선생에게 들은 것으로 생도를 가르치니 생도들이 날로 늘어나 하분(河汾)1)과 호소(湖蘇)2)의 풍습이 있었다. 대개 그 조행이 순수하고 독실함과 논변이 정밀하고 확실함에 대해서 문하에 이른 선비들이 모두 참된 마음으로 기뻐하고 복종하여 종신토록 잊지 않았다. 이미 그 유문(遺文)을 간행하여 유포하였고, 지금 또 동문 제자(諸子)의 성명을 모아 1책으로 만들었으니, 강직하고 화락하게 나란히 시립하여 서로 칙려(勅勵)하는 듯하다. 스승이 이끌어 준 뜻을 저버리지 않고 신학문과 이단의 사설에 빠지지 않았으니, 이 문인록(門人錄)이 세교(世敎)에 관계되는 것이 어찌 작다고 하겠는가.대저 사제 간에 서로 의지하는 의리가 크니, 그 도를 선하게 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그 스승을 높여야 한다. 여지껏 그 스승을 높이지 않고 그 도를 선하게 한 자는 없었다. 제현들의 이 일은 또한 스승을 높이고 도를 선하게 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박 사문 준기(朴斯文準基)가 실로 이 일을 주관하여 그 족인(族人) 병해(炳海)를 시켜 나에게 한마디 말을 책 뒤에 써 주기를 부탁하게 하였다. 내가 "문인록에 어찌 발문을 쓰겠는가."라고 하니, 병해가 말하기를 "송사(松沙) 기 선생(奇先生)이 찬술한 행장이 늦게 나와서 원집(原集)에 부록하지 못하였습니다. 지금 이 문인록에 함께 실으려고 하니, 원하건대 기록해 주십시오."라고 하였다. 내가 일신재에 대해서 동문수학한 우의(友誼)가 있기에 끝내 사양하지 못하였다.정묘년(1927) 9월 일 금성(錦城) 오준선(吳駿善)이 쓰다. 吾友日新鄭公。早登蘆沙老先生門。蒙被奬詡。得聞他弟子所不得聞者。以至性命之蘊奧。理氣之微妙。無不講質而答問。犁然有得於心。眷眷服膺而勿失。優入於道成德立之地。以所得於先生者。訓誨生徒。生徒日進。有河汾胡蘇之風焉。蓋其操履純篤。辨論精確。及門之士。皆心悅誠服。至於沒世而不忘。旣刊布其遺文。今又聚會同門諸子姓名。備載一冊。有若誾侃列侍。互相勅勵。不負師門遵迪之意。不爲新學邪說所移。是錄之有關於世敎者。曷可小哉。夫師資相須之義大矣。欲善其道。必隆其師。未有不隆其師而能善其道者也。諸賢此擧。亦可謂隆師善道者非耶。朴斯文準基。實主是役。使其族人炳海。屬余一言題其後。余謂門人錄安用序跋爲哉。炳海曰。松沙奇先生所撰行狀晩出。未及原集附錄。今將竝載是錄。願有以記之也。余於日新。有同門之誼。不得終辭。丁卯菊秋日。錦城吳駿善書。 하분(河汾) 수(隋)나라 왕통(王通)이 문제(文帝)에게 태평십이책(太平十二策)을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황하와 분수[河汾] 사이로 돌아와 1000여 명의 제자를 가르친 고사가 있다. 《文中子世家》 호소(湖蘇) 호주(湖州)와 소주(蘇州)이다. 송(宋)나라 때 호원(胡瑗)이 일찍이 호주와 소주의 교수(敎授)가 되어 조약(條約)을 엄격히 정해서 제생(諸生)을 교도(敎導)하되, 경서(經書)의 뜻에 따라 학문을 닦고 행실을 힘써 숭상하게 한 것을 가리킨다. 《小學 善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養士齋隨行案序 邑之有養士齋卽 國之齋學而出於州序鄕庠之古制也育英培根莫切於此而惟我箕鄕詩禮古縣文物之彬衣冠之盛萃聞乎湖以南而本齋之設置各家先父老之樹立嘉謨賢守長之顧護盛蹟前後序文開卷瞭然然至於隨行案久闕襲謬年來付標題名無所經據僉議常以是爲恨矣今金友載鎰甫安友秀經甫爲念先行未遑編一卷稟議於官家亦有斯文眷勉之意踏印成出請余數言記序終不可以不文辭故略以猥記以貽後誚其於吾鄕斯文各家某某之隨行於一編次第記歷圖後之方未必無少補云爾 歲在癸丑冬至晉陽鄭基源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東齋隨行案序 我校之付標常式東齋則都有司一人掌議二人色掌二人而每歲春享後一度改遞之養士齋則有訓長一人掌議二人色掌二人而每歲冬月講會後一度改遞之矣 隆煕四年庚戌以後則一拜廢置而只有直員一人主之東齋任則以鄕議付一人或二人者爲數年而太涉草草故去年春丁慕聖契刱設後仍舊付四人今年則復置直月一仁使居四人之首而兼總都副約正養士齋則付有司一人使掌講會之事以寓存羊之義而欲使後人知之則覽聞者幸北歸於多事之地歟且舊案則惟書其姓名三字而已是以若經數世之後則不辨其爲何家何氏者間或有之故自今爲始各座下註書其字貫及居住以備後考焉 歲在甲寅春二月丁享日堂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임전재67)【헌회】의 중구일 집구시에 화운하여 올리다 和上任全齋【憲晦】九日集句詩 상로장68)에 도착하여 중구일을 만나니 (行到上蘆逢九日)뜰 앞의 황국은 빗속에 피었네 (庭前黃菊雨中開)선생은 용산에서의 술자리를 잇고자 하여 (先生爲續龍山飲)채소와 과일을 쟁반에 담고 술을 잔에 가득 채웠네 (菜果登盤酒滿杯) 行到上蘆逢九日。庭前黃菊雨中開。先生爲續龍山飲。菜果登盤酒滿盃。 임전재(任全齋) 임헌회(任憲晦, 1811~1876)이다. 본관은 풍천(豐川), 자는 명로(明老), 호는 전재(全齋)·고산(鼓山)·희양(希陽)이다. 송치규(宋穉圭)의 문인으로 경학과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다. 송시열(宋時烈)의 학통을 계승하여 전우(田愚)에게 전수하였다. 저서로는 『전재집(全齋集)』이 있다. 상로장(上蘆場) 임헌회(任憲晦)가 거주한 충청남도 전의현(全義縣) 동면(東面)에 있는 지명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老人宴案序 余自豐樂來莅箕山之越明年庚申經夏沴氣煽熾札瘥相續自南而北洛下震怖以致 聖上宵旰之夏由玆 玉候不豫旋復臣民蹈舞曷有其極爰 命有司黎庶之死而無依者設壇以慰祭卿宰之老而多疾者遣醫以診視環東土幾萬生靈咸被再造之恩若身恫瘝之周誥思見德化之漢詔殆不及矣曁我海湡出日歌詠聖澤民曰樂哉士曰時哉迺者鄕中諸老率其子若孫會于黌堂宴以識喜名之曰老人會儘可謂鄕里衣冠不乏賢也余亦以地主携樂往與之耆英眞率古所稱洛陽勝事而豈肯讓一頭哉謹構四韻詩因請郢雪之和云爾庚申鞠月日知縣權命奎序○鄕有司晉州鄭碩奎光山金箕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校宮修理後小記 孟子曰設爲庠序學校以敎之皆所以明人倫也朱夫子釋之曰庠以養老序以習射校以敎民爲義而其所以敎之者卽夫子有親君臣有義長幼有序之類人倫旣明於上則敎化必洽於下此三代之所興隆而吾東之取法者也挽近以來學校之政廢而不修鄕無導迪之士里稀絃誦之風駸駸然或幾乎熄矣歲癸卯夏密陽朴準承氏以循良之姿負經濟之才承 命尹玆土玆土卽南下薄邑而百瘼稠疊凡於矯救之方靡不庸極而興學校最是先務也宮墻之傾頹者必改葺之祭器之毁傷者必更新之其在尊奉之道可謂至矣迺以至月日招鄕之秀士講磨于校宮衣冠整齊誠誨切實使人觀感而興起焉又於臘尾抄七耋老人賜米肉而忠養之此夫子所訓老者安之之義也況今歉歲薄斂課農俾窮蔀小氓不散之四而安其堵者皆侯之賜也竊念興學養老固政治中盛事凡有官守者孰不無是心而然未必皆講究而踐行若其出於秉彛之天而實心爲治終始如一未有如吾侯也僉曰是不可無記余以爲天下之事有其實足矣何以文爲或徒實而不文無以傳於後也遂忘僭而書之如右甲辰正月日東萊鄭寅相謹誌○都有司晉州鄭邦鉉掌議東萊鄭寅相竹山安萃煥色掌咸平李載榮坡平尹道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校宮重修記 夫校宮國之太學也而太學是斯道之本源也本源深固斯道大行綱紀立焉禮樂興言文物燦然士林蔚然一片靑邱素稱小中華者良有以也夫何世途多舛別門岐路橫竪交錯滔滔然不歸楊則歸墨世誰有能言据者噫斯道之盛衰有時而然歟至若先聖籩豆之禮減省菲薄諸生講業之所東傾西圮不無間年修補事巨財渴終不得專成厥功士氣沮喪校樣蕭凋何幸朴侯準承氏來守是郡三載治積冠於南省文翁之化復覩今日於是慨然校宮之凋殘特捐廩俸三百金使時校任幹事補繕殿宇更建東西齋周年而訖役學宮之一新舊樣皆太守之力而亦豈但以力爲言哉蓋悶學校不修斯道不能搢作以復其本源開導其來學志道之方也若無實學向道之心其孰能如此乎然則後之君子知此以嗣輯之庶斯道之極天罔墜云爾 崇禎五甲辰十月望晉州鄭在夏記○都有司坡平尹相鼐掌議咸平李啓華晉州鄭禹鉉色掌錦城羅基瑛密陽朴基喆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아우 경방의 회갑에 병으로 가지 못하고 뒤미처 화답하다 敬方弟回甲日有病未往追後賡韻 아득한 인간사 허송세월 보내기 쉬우니 (悠悠人事易蹉跎)그대의 머리 나처럼 벌써 백발이 성성하네 (若髮如吾白已多)안색을 뵐 길이 없으니 바람과 빗소리에도 놀라고 (承顔無路驚風水)회갑이 되니 부모님 생각에 눈물이 나겠지 (降甲回辰泣蔚莪)남극성의 새 그림191)에는 상서로운 빛이 발하고 (南極新圖呈瑞彩)한담의 축수 잔에는 맑은 물결이 일렁이네 (寒潭壽酒動淸波)내 병이 들어 직접 가지 못하니 (我有沈痾躬未造)애써 운자를 따라 괴롭게 읊조리네 (强占續韻苦吟哦) 悠悠人事易蹉跎。君髮如吾白已多。承顔無路驚風水。降甲回辰泣蔚莪。南極新圖呈瑞彩。寒潭壽酒動清波。我有沈痾躬未造。强占續韻苦吟哦。 남극성의 새 그림 남극성(南極星)은 일명 노인성(老人星)이라고도 하는데, 이 별은 인간의 수명을 관장한다고 한다. 남극성의 신선을 그린 그림으로 장수를 축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월고39) 조 어른【성가】께 올림 上月皐趙丈【性家】 지난봄에 송사(松沙) 편에 한 통의 편지를 써서 올렸는데 잘 전달되었는지요? 적벽(赤壁)에서 어긋난 연유는 모두 이전 편지에 적어 두었습니다. 하지만 이전 편지를 보지 못하셨다면 어떻게 홀로 갔다가 만나지 못한 사정을 알겠습니까. 그러나 이미 지난 일이기에 굳이 다시 거론할 필요는 없습니다. 삼가 화창한 봄날 덕을 닦으시는 체후는 건강하고 편안하십니까? 멀리서 사모하는 마음 감당하지 못하겠습니다. 소생은 가난과 병든 몸으로 세상일에 골몰한데다 노쇠함까지 겹쳐 모든 정상이 날로 더욱 힘들어지고, 게다가 시상이 날로 그릇되어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놀라우니, 구구한 이의 괴롭고 한스러운 마음은 하소연할 곳이 없기에 밤낮으로 향해 가는 마음은 동문 가운데 덕망이 높은 우리 월고(月皐) 선생과 같은 이에게 있지 않겠습니까. 부디 의견이 다르다는 이유로 내치지 마시고 인편을 통해 깨우쳐 주십시오. 去春松沙便。修上一書。不至喬沈否。赤壁相違之由。具在前書。而若不見前書。則何以知獨行不遇之狀乎。然已屬過境。不必更提也。伏未審春和德候康適。遠慕不任。生貧病汨沒。加以衰相侵尋。凡百見狀。日益頹落。加以時衆日非。滿目駭然。區區苦恨。無可告訴。而所以日夜懸往。其不在於同門宿德如我月皐先生乎。幸不以違慢見誅。因風有以提誨之也。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 1824~1904)로,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직교(直敎), 호는 월고이다. 어계(漁溪) 조려(趙旅)의 후손이다. 진주(晋州)에 거주하였으며 기정진의 문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기휴192) 대인의 회갑시에 화운하다 和李基休大人回甲韻 이전 갑자가 다시 돌아온 을사년(1905, 고종42) 가을 (舊甲再廻乙巳秋)떠들썩한 하객이 산 누대에 가득하네 (譁然賀客滿山樓)생일에 멀리 가신 부모님 생각 더욱 간절하고 (桑弧追切音容遠)풍수의 감회193)에 지나간 세월 문득 놀라리 (風樹翻驚歲月流)늘그막에 근심이 없는 것 효자 때문이고 (老境無憂由子孝)덕문에서 복을 누리는 것 수신 덕분이네 (德門享福賴身修)누가 알았으랴 우리들 오늘날에 남아 (誰知吾輩在今日)태평시대에 장수하여 이런 놀이 함께 할 줄을 (壽域升平共此遊) 舊甲再廻乙巳秋。譁然賀客滿山樓。桑弧追切音容遠。風樹翻驚歲月流。老境無憂由子孝。德門享福賴身修。誰知吾輩在今日。壽域升平共此遊。 이기휴(李基休) 1868~?. 자는 사온(士溫),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풍수의 감회 어버이가 세상을 떠나 다시는 봉양할 수 없는 자식의 슬픔을 말한다. 공자가 주(周)나라 우구에게 슬피 통곡하는 이유를 물으니, "나무가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이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 주시지 않는다.[夫樹欲靜而風不停, 子欲養而親不待.]"라고 대답했다고 하며, 이를 풍수지탄이라 한다. 『孔子家語 致思』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위사열228)【계학】이 어머니를 위해 축수한 시에 차운하다 次魏士悅【啓學】壽母詩 미세한 양이 동할 때 주렴과 휘장 깨끗하니 (簾幃蕭灑動微陽)무리 지어 색동옷 입고 춤을 추며 북당을 에워쌌네 (舞綵相群繞北堂)정치한 강릉은 삼수와 벗을 맺고229) (鼎峙岡陵三壽作)태평의 연월 속에 백 년토록 강건하였네 (泰平煙月百年康)사람이 어지니 과연 큰 복이 있을 것이고 (人仁果有應胡福)물이 푸르니 어찌 각로방을 배우리오230) (水碧奚爲却老方)이날 관산에서 일제히 모인 자리에 (是日冠山齊會席)내 가지 못하고 궁벽한 곳에 은거함이 부끄럽네 (愧余未赴僻隅藏) 簾幃蕭灑動微陽。舞綵相群繞北堂。鼎峙岡陵三壽作。泰平烟月百年康。人仁果有膺胡福。水碧奚爲却老方。是日冠山齊會席。愧余未赴僻隅藏。 위사열(魏士悅) 위계학(魏啓學, 1868~1919)이다. 자는 사열(士悅), 호는 청계(淸溪)이다. 삼수와 벗을 맺고 『시경』「비궁(閟宮)」에 "삼수(三壽)로 벗을 맺어 산과 같고 구릉과 같으소서.[三壽作朋, 如岡如陵.]"라고 하였다. 물이……배우리오 각로방(却老方)은 선가(仙家)에서 불로장생하는 방법을 이른다. 한무제(漢武帝)가 방사(方士)인 이소군(李少君)으로부터 각로방을 전수받고는 이소군을 극진히 대우하였다.『漢書 郊祀志』 이곳이 선계와 같아서 달리 신선의 방술을 배울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풍치에서 애산 정후윤44)【재규】을 작별하다 楓峙別鄭艾山厚允【載圭】 기양의 객을 멀리 송별할 제 (遠送岐陽客)세찬 바람 불고 잎은 물들었네 (風高葉已秋)평소 의분에 북받쳐 눈물 흘렸는데 (平生慷慨淚)오늘이 가장 거두기 어렵네 (今日最難收) 遠送岐陽客。風高葉已秋。平生慷慨淚。今日最難收。 정후윤(鄭厚允) 정재규(鄭載圭, 1843~1911)이다.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후윤(厚允), 호는 애산(艾山) 또는 노백헌(老栢軒)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수촌 굴사에 들르다 過水村窟洞 스스로 말하기를, 평생에 이 유람이 으뜸이니 (自說平生冠此遊)이런 명승지가 인간 세상에 남아 있을 줄 누가 알았으랴 (誰知靈境世間留)떨어진 단풍잎을 나그네 지팡이로 헤치고 (客杖披來紅葉下)흰 구름 끝에서 선인의 자취를 끌어내네 (仙蹤引出白雲頭)대석봉 봉우리는 옥을 깎아 세운 듯 아름답고 (戴石峯峯刪玉立)현천곡 골짜기는 얼음을 부수며 흐르네 (懸泉谷谷碎氷流)거주하는 사람들이 창주동109)이라고 하니 (居人云是滄洲洞)구곡의 풍경에서 예전 가을을 상상하네 (九曲風煙想舊秋) 自說平生冠此遊。誰知靈境世間留。客杖披來紅葉下。仙蹤引出白雲頭。戴石峯峰刪玉立。懸泉谷谷碎冰流。居人云是滄洲洞。九曲風煙想舊秋。 창주동(滄洲洞) '창주(滄洲)'는 주희(朱熹)가 무이산(武夷山) 창주정사(滄洲精舍)를 지어 강학하던 곳이다. 그는 무이산(武夷山) 계곡을 아홉 개로 나누어 무이구곡(武夷九曲)이라 명명하고 이곳에 살면서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지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홍장 덕여【우흡】에 대한 만사 輓洪丈德汝【佑洽】 오산이 우뚝하고 침계가 둘렀으니 (鰲山屹屹枕溪環)아, 우리 현인 떠나서 돌아오지 않네 (嗟我賢人去不還)지난날 자주 찾아뵌 정의가 있는데 (伊昔源源趨拜誼)어느 곳에서 다시 뵐 수 있을까 (未知何處更承顔) 鰲山屹屹枕溪環。嗟我賢人去不還。伊昔源源趍拜誼。未知何處更承顔。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복천110) 영신에 투숙하다 宿福川永新 준비 끝에 이제야 복천 유람을 하니 (經營始得福川遊)좋은 땅 가려 사는 주인옹에게 하례하네 (爲賀主翁擇地留)흰 구름은 한 곳의 도원 속에 떠있고 (白雲一處桃源裏)밝은 달은 삼경에 서석산 머리에 비치네 (明月三更瑞石頭)산은 명승지를 감싸 빙 둘러 우뚝 솟았고 (山護名區環壁立)물은 아름다운 기운을 거두어 굽이돌아 흐르네 (水收佳氣折旋流)거주하는 사람은 기억하겠는가 (寄語居人能記否)자주 서로 따르는 것 이번 가을부터 하리란 걸 (頻頻從逐自今秋) 經營始得福川遊。爲賀主翁擇地留。白雲一處桃源裏。明月三更瑞石頭。山護名區環壁立。水收佳氣折旋流。寄語居人能記否。頻頻從逐自今秋。 복천(福川) 현재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同福)에 있는 내이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