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퇴계 으로 검색된 결과 119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9년 1월 초7일에 필사한 퇴계이선생권학가(退溪李先生勸學歌) 초(抄)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기록한 잡문 성명 미상의 필자가 퇴계 이황의 서간문과 언행록에서 부부간 및 학자의 도리에 관한 내용을 발췌하여 기록한 잡문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搜勝臺謹次退溪韻【安義】 搜勝常期看。看來果甚佳。洞深呼水闊。石露喚雲埋。舊价遺何恨。先賢寓好懷。休言人境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錦江亭次退溪先生韻【幷志】 亭在府東三里愍忠祠下錦障江絶壁上宣德戊申知郡事金復恒創建◌退溪李先生詩曰鵑啼山裂豈窮年蜀水名同非偶然明滅曉簷迎海旭飄蕭晩瓦掃秋烟碧潭楓動魚游錦靑壁雲生鶴踏氈更約道人携鐵笛爲來吹罷老龍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退溪李先生墓銘【先生自銘】 高峰奇大升【敍其後】生而大癡壯而多疾中何嗜學晩何叨爵學求猶邈爵辭猶嬰進行之蛤退藏之貞深慚國恩亶畏聖言有山嶷嶷有水源源婆娑初服脫略衆訕我懷伊阻我珮誰玩我思古人實獲我心寧知來世不獲今兮憂中有樂樂中有憂乘化歸盡復何求兮隆慶四年春退溪先生年七十再上箋乞致仕不許秋又申乞致仕不許十二月辛丑訃聞上震悼命贈領議政葬用議政禮遠近聞之無不齎咨嘆惜相與弔哭明年三月壬午葬家東搴芝山南支先生姓李氏諱滉字景浩嘗卜居退溪因以自號後構書堂陶山又號陶叟其先眞寶縣人六世祖碩起縣吏中司馬試贈密直使有子曰子修官至判典僕寺事討紅賊有功封松安君移居安東周村高祖諱云侯軍器副正贈司僕正妣淑人權氏曾祖諱禎善山都護府使贈戶曹參判妣貞夫人金氏祖諱繼陽成均進士贈吏曹判書移寓禮安居溫溪里妣貞夫人金氏考諱埴成均進士累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妣義城金氏順天朴氏俱贈貞敬夫人先生生未晬而孤小受學于叔父松齋公旣長劬書勵志益自刻苦嘉靖戊子進士甲午登第爲承文院副正字轉博士成均館典籍戶曹佐郞丁酉冬丁內艱服闋拜弘文修撰歷司諫院正言司憲府持平刑曹正郞弘文館副校理兼世子侍講院文學議政府檢詳轉舍人司憲府掌令成均館司藝兼侍講院弼善司諫院司諫成均館司成乞暇展墓明年甲辰春以弘文館校理召還除左弼善遷弘文館應敎典翰病免爲司甕院正復授典翰李芑啓請削官已而芑又請勿削授司僕寺正丙午春乞暇葬外舅以病見遞丁未秋授應敎被召旣至病免戊申正月出授丹陽郡換豊基己酉冬病辭徑歸被劾奪二階壬子夏拜校理承召還朝除司憲府執義改副應敎陞秩成均館大司成病免復爲大司成爲刑曹參議爲兵曹參議俱以病免爲僉知中樞府事乙卯春再告解職雇東歸拜僉知中樞拜弘文館副提學連被召命皆辭以病戊午秋上疏乞免收召御批不許入都謝恩拜大司成俄拜工曹參判累辭不許明年春乞暇歸鄕三上狀請免授同知中樞府事乙丑夏上章陳懇解官以居冬下旨特召復授同知中樞丙寅正月力疾登道陳狀乞骸道拜工曹判書又兼大提學遂力辭新命還家俟罪遞授知中樞府事丁卯春以詔使將至有召命六月入都會明宗昇遐今上嗣服拜禮曹判書辭不許以病免卽東歸十月有召命授知中樞旋以敎書促行具疏力辭戊辰正月拜議政府右贊成又具疏極陳難受之義又敎書促行上章懇辭遞爲判中樞府事七月詣闕謝辭上疏陳六條又獻聖學十圖拜大提學吏曹判書右贊成皆力辭不拜己巳三月上箚乞歸箚四上猶不已上知其不可留引見慰喩命馳驛護遣是月先生至家上章謝恩又乞致死初先生寢疾戒子寯曰我死該曺必循例請用禮葬汝須稱遺命陳疏固辭且勿用碑石只以小石題其前曰退陶晩隱眞城李君之墓略敍世系行實于後如家禮所云可也又曰此事若託人爲之如相知奇高峯必張皇無實之事以取笑於世故常欲自述其志先製銘文而因循未畢藏在亂藁中搜得用之可也寯旣受戒再上疏辭禮葬不得命遂不敢更辭墓道之表用遺戒刻其銘嗚呼先生盛德大業卓冠吾東者當世之人亦旣知之矣後之學者觀於先生所論著將必有感發黙契焉者而銘中所敍尤足以想其微意也迂愚無狀蒙先生獎勵成就不啻如父母天地之恩而山頹樑壞無所依歸竊念遺戒之言雖不敢違而所以揭阡詔後者亦不可泯其跡敢記其大槪而爲之辭曰先生幼而端序長益涵揉中歲以後絶意外慕專精講究洞朗微妙充積發越人莫能測而方且謙虛卑遜若無所有蓋其日新上達有不能已者至於出處去就相時度義務求吾心之所安而終亦無所詘焉其所論著反覆紆餘光明俊偉粹然一出於正揆諸孔孟程朱之言其不合者寡矣亦可謂建諸天地而不悖質諸鬼神而無疑也嗚呼至哉先生再娶先娶金海許氏進士瓚之女生二男後娶安東權氏奉事礩之女俱贈貞敬夫人子寯奉化縣監寀早世孫男三人曰安道辛酉生員曰純道曰詠道女二人長適士人朴欐側室子一人曰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雨中賞蓮韻別尹士推【退溪門人】 打玉聲來醉後聞紅房靑盖雨紛紜華筵錦濕香傳夢羅綺粧成影拂雲陳跡已爲前歲事他鄕難得舊僚君重重欲瀉離懷苦其奈朱儒我不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그가 지은 연시조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에 대한 발문으로, 《퇴계집(退溪集)》 권43에 수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浮石寺見仙飛花次古人遺韻【世謂退溪詩非是】 兩樹仙花在寺門。僧言錫杖揷爲根。杖頭雖有漕溪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酉谷靑巖亭敬次退溪先生韻【靑巖亭沖齋權先生撥所構】 靑巖亭扁起余衷人去高名不落空形勝莫求三島外煙霞自足一區中淘漁耕稼皆前業節義文章是素風幾欲停車終未遂只今遺恨更無窮境逢塵外自平寬孤嶼淸池碧玉環大老國將龜筮視小亭人作畵圖看瓊林瑤草春長在竹屋松扉夜不關莫道九原埋直氣保邦餘烈帖如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간찰 내용의 일부를 필사한 사본 퇴계 선생이 1558년 율곡의 질의에 답한 간찰 내용 일부를 필사한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知足翁嘉顯【尹樂浩】誦退溪呈尹安東詩。因命和之。謹忘拙構呈。 魯門千載有朱程。斯道中天復煥明。嗟我冥行猶擿埴。羨公高蹈儘豪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朴世采撰】謹按河西登科在朝亦嘗出入於慕齋之門而受學焉慕齋以天命圖出示學者而語之云則河西亦當叅見而一代學者孰不與之講論乎然未聞有立言而傳於後世之高峰始有立言爲後世之大定案矣高峰始與李一齋論太極圖河西亦參論故上退溪書中盡說河西所見而以河西生時未及歸一爲恨其傷痛惻怛之意溢於言外若其有疑無處告訴等語自是君子謙虛之例談也至於四七之辨河西若有參論之語則亦當如太極之說而盡告於退溪矣豈有隱諱之理乎且河西之沒在於庚申正月退高四七往復始於庚申八月河西集曰高峰與退溪爲四七理氣之辨每就先生論難精究而往復焉語無倫脊無可證案此所謂妄鑿垣墻而植蓬蒿者也後賢之祖述其言無乃未之深考歟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퇴계언행록초(退溪言行錄抄)는 이덕홍(李德弘)의 편지에 대한 답장글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退溪先生改以今名。】 搜勝䑓前愁送汀。葛川居士舊門庭。名庄南闡增奇絶。元氣東流問峙停。有月同來皆王壘。無塵端坐小蓬溟。郍時坦路安陵下。

상세정보
저자 :
李滉 著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1198
/6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