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이황 으로 검색된 결과 164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李滉 著, 李象靖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朱熹(宋) 著 ; 李滉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朱熹(宋) 著 ; 李滉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朱熹(宋) 著 ; 李滉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朱熹(宋) 著 ; 李滉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경부

상세정보
저자 :
朱熹(宋) 著 ; 李滉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朱熹(宋) 著 ; 李滉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朱熹(宋) 著 ; 李滉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朱熹(宋) 著 ; 李滉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朱熹(宋) 著 ; 李滉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朱熹(宋) 著 ; 李滉(朝鮮)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자부

상세정보
저자 :
朱熹 撰, 李滉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이황(李滉,1501~1570)의 자(字)는 경호(景浩)이며, 호(號)는 퇴계(退溪), 퇴도(退陶), 도수(陶叟), 시호(諡號)는 문순(文純), 본관은 진성(眞城)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李滉)의 경학문(警學文)을 베껴놓은 글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학실훈언(學室訓言)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경학문(警學文)을 베껴놓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賦也] 朝日淸佳, 庭樹陰綠.何來黃鳥, 破此寂寞.聞爾好音, 我懷有感, 遂賦黃鳥二章.嗟爾黃鳥, 笙簧百囀.哀我民生, 溝壑幾轉, 樂子之風流燕晏.賦也.嗟爾黃鳥, 遍身金衣.哀我民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政院啓【乙巳】 啓曰芑請罷李滉李天啓權勿李湛丁熿等金䃴則已削奪官爵今滉等何以爲之【芑以李滉等與金䃴一類云故取稟】傳曰竝削奪官爵【見明宗大王實錄卷之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臣等伏以雪人之冤出於公稱己之冤由於私出於公者猶不得伸由於私者豈易自明然在先王朝之事雖未蒙快從在殿下時之事豈遂默默自納於不測之誅乎國朝儒先道統相承炳如日星學者倚墻窺庭得其門者葢寡以臣等爲擯斥李彦迪者是論者自汙其口也昧之於君父之前可乎臣等本意初欲伸救成渾而成渾之所就正者莫近於李滉李滉之所尊尙者李彦迪則擯斥之云雖兒童走卒豈信其然乎論人善惡必於其倫朱季友著書直毁濂洛關閩之說是大段無狀底人聲罪杖之其罰猶輕論者以臣等方諸季友而有甚焉殿下遑遑罔極之中汎允其請臣等未知死所也盧守愼才識高明親承提誨於李彦迪而稱之曰三韓心學惟先生有之其挽李滉詞曰淵源宋賢四統緖國儒三因押三字爲句不悉數而無嫌臣等因撰四句爲對窘於剩而姑闕其於大賢誠不足爲加損故也嗚呼是未必殿下之意而迫於職競之人聖明之下誰敢有復言者乎臣等晩生南服竊聞崔永慶被鞠之日非無至親篤友坐視其死而無敢有爭之者事定後嶺南儒生始抗章以枉殺山人歸獄於成渾鄭澈此二人者豈誠殺永慶乎實永慶自不能少待爾只以未救其死爲殺則與至親篤友爲一間耳況成渾初不干獄事者乎咸稱其冤不亦宜乎臣等不自量力當國家危亂之際竝生爲伸救之計則臣等之罪也聖人嚴賞罰功罪之實好生之德常貫乎其中又必曰罪疑惟輕功疑惟重臣等所望於殿下者非特爲臣等計也欲殿下以淸明純粹之資立鑑空衡平之體無偏無黨王道蕩蕩民自以不冤伏願殿下察納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조광조(趙光祖), 이황(李滉), 이이(李珥), 김장생(金長生), 송시열(宋時烈) 등 조선시대 오현(五賢)의 문집에서 명문(名文)을 발췌하여 편집한 책자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而況一束腒鱅。一首德禽。兼帶東陵古苽。古人有物薄情厚之語。而況物不薄乎。顧此空疎。無以爲擎奉竪拂之道。是可愧哉。臨別不勝寂寥。揮汗蚯蚓。

상세정보
1643
/83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