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경기도 으로 검색된 결과 104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순강원(順康園) 선조의 후궁으로 원종(元宗)의 생모인 인빈(仁嬪) 김씨(金氏)의 무덤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에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대황교(大皇橋)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대황교동에 있는 삼남지방과 한양을 연결하던 다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소사(素沙) 주막 경기도 평택시 소사동 소사마을에 있었던 객점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용주사(龍珠寺) 조계종의 절로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화산에 위치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창릉(昌陵) 예종(睿宗)과 그의 계비 한씨의 능으로, 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용두리(龍頭里)에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만월대(滿月臺) 경기도 개성시 송악산(松嶽山)에 있는 고려 시대의 궁궐터이다. 919년(태조2) 정월에 태조가 송악산 남쪽 기슭에 도읍을 정하고 궁궐을 창건한 이래 1361년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伏惟春和履道貞吉向風馳義日益勤至恩荷簡心位躋巡宣南土之民聞先生之攬轡擧欣欣然相告曰詩之甘棠歌詠文王之化者幸於身親見之榮壽之區區獻賀實不後於輿戴愚婦之下也然十里不同風百里不同俗此去長安三百餘里豈吾先生坐聞而盡識其痼弊哉居其土者熟於親見謹以便宜妄陳數條焉竊惟湖南國家之府庫也土沃而野闊産粟甚多以其利於農而使勤力其業則家給國足海東之雍卽其地也閒者比年不登賦斂無節民倦弛農釋耒而歸於末利入戶而至於呼庚所謂沃土之土不材者非耶伏願留意勸農焉士者國之元氣元氣不振國隨而亡方今士流悠泛度了習於詞章昧於講理忠孝之風掃地無遺而從流求譽者不可勝數請使諸生講論倫理善者師之惡者懲之使入孝出恭則士氣復振矣伏願留意勸學焉自道之不明也邪誕妖妄之說競起塗人耳目此昔程夫子慨然子斯文者而方今遺俗頹敗異說多端名之曰水陸又曰安居由羅至光連衽成帷出乎此入乎彼則所謂士名者豈不寒心哉竊聞下車之初卽移淫祠于山下榮壽於此切有惑焉不絶其根源但移其祠愚民安知反本而絶彼哉昔仁傑之巡河南盡毁淫祠而人心歸正道輔之佐寧州以笏擊蛇而邪說息焉今者不毁而移之實非所望且於海印寺有詩曰須煩鬼呵護免使後王勤見之者孰不瞿瞿乎切惟欲絶佛氏之源而力不能則愛民之心爲如何而今淫祠之毁與不毁只在一令之如何何待餘人之手足哉蓋佛氏始於漢明興於武皇是猶苗之有莠粟之有粃剪之而後可全五穀之美鳴乎周公沒而聖人之道不行孟子死而聖人之學不傳以其道不行而學不傳故異端害正者紛紜間世末流尤甚當今之世非先生闢之而伊誰也況莅玆南土闢之之功可謂施之一方而措諸天下之秋也今之佛氏古之楊墨今日先生古之孟子旣以可闢之道操此可闢之柄豈可謙謙自退曰吾何敢當乎伏願留意息邪焉凡此數條已在照鑑之中豈待榮壽之妄陳贅說然事父之下敢以布聞幷留意以副遠誠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李慶齊 鄭濟大 閔鎭咸 金龍瑞 尹 俔李{艹+郘} 趙台一 金益炡 金萬坪 李世命宋活源 李光胄 洪疇敍 李秀東 朴致道朴就正 愼齊尹 具爾爀 俞必都 金震楷鄭彦燮 卞熙夏 楊世衡 申命耉 金元錫京畿道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四 騷人來寫景幾度展雲孫卜得三淸地號堪二樂村山顔含久靜溪舌語長喧豈獨耽淸景尋眞妙入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 正軒申泰岳【平山人京畿道楊州】斯文高潔世餘功慕仰垣墻敬鞠躬夕愛梧桐將上月朝吟楊柳徐生風千尋學海今天下五百王春暮雨中玉果雲林如許者平山家大遠無窮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更幾度講磨也耶。詠歸亭。暮春之日。新秋之月。遙想幾人。淚沾臆也耶。又曰欲勝已者親。無如改過之不吝。則只自存意於寡過之地。嗚呼。此雖兄自謙之語。而其求道之實心。推可知也。於泰之無似者。如是許心。

상세정보
저자 :
서상춘(徐相春,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서상춘(徐相春, 編)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太祖策勳被禍於芳碩之亂世宗朝追伸三世而自湄監察 莊陵遜位遯于首陽山全節世稱西山先生是生軒號西坡司果於公高祖也曾祖繼先平壤判官祖琬司直考順長蔭司憲府監察妣南陽房氏正言貴溫女有壼範 中宗二十二年丁亥二月一日生公于京畿道楊州之自作里生而岐嶷慧竇夙啓七歲受讀周興嗣千字文至容止若思言辭安定有默契於心自謂曰止而後能定輕佻浮薄則何事能定耶從事于涵養之工自此始寡言笑愼步履年及成童儼然有長者風儀探索經傳不知不措造詣精而踐履篤孝根于天怡愉承順務以悅志親若使之以事莅之以敬洞洞屬屬如執玉奉盈其罹外艱哀毀動人擇吉而葬于坡州居廬終制至乙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宦海沈名五十春故山猿鶴友相親了無平地風波起蘿屋三間老一身老去心懷淡若秋何曾客帳夢封侯却嫌雄劍匣中吼白日生風山鬼愁野老蕭然物外身胸中太極大家春到門誰敢題凡鳥江上靑山是主賓雨晴門外落花多求友時聞伐木歌莫道山中無一事朝來補屋自牽蘿淵魚躍藻鳥遷喬之子尋芳興更饒但得有時仍有酒人間何處不逍遙曳履商歌野【缺】情逍遙何處羨莊生黃精十畝雲千頃幾度呼龍月下耕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文靖公雪齋先生諱可臣墓山圖 【京畿道漣川郡旺澄面基谷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號松廈】 密陽人 潭陽郡大德面上葛里奇共度 【生丙辰 號養正】 幸州人 光州市北區中興一洞七二의三奇敏度 【生辛酉 號靑谷】 幸州人 長城郡北下面大興里盧錫官 【生癸酉 號素庵】 光州人 京畿道高陽市德陽區紙杻洞山一五九李基泰

상세정보
104
/6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