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冠巖先生行略 先生姓魯諱鴻宇汝信號冠巖咸平人岳隱先生九代孫也明宗辛酉生身長八尺餘體大過圍廣顙方頤面如斗髭髯若神怒則磔磔如戟勇力絶倫韜略精熟見者皆以魯將軍稱三十二歲宣祖壬辰以權元帥慄薦除桃浦萬户公卽整理船具急赴李忠武陣五月二日露梁之戰大捷錄原從二等勳增秩至訓練副正庚子登武科除臨淄僉使尋辭歸田里光海戊午與金將軍應河同鄕壯士卞德馹赴於中朝請兵渡鴨綠江入遼及深河之役射殺甚多俄而矢盡劒亦折竟與金卞兩將軍同死己未三月四日也尤庵宋先生書金將軍廟碑曰將軍之一死可以明天下之大義立天下之大經享居平祠金谷祠鶴山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癸未筵啓 癸未五月初八日領議政洪淳穆所啓故水使魯認當龍蛇之役以都元帥權慄參畵屢立奇功而竟被俘獲入日本抗義不屈潛身逃海達于天朝神皇有詔曰爾忠如祥爾節如武及賜還本國宣廟有敎曰得全素節皎然本心又敎曰古有社稷臣今爾近之以若危忠卓節荷寵於中華振耀於本邦者有如是焉而朝家報施之典尙今未遑數百年公議不能無齎鬱臣意則超贈正卿施以節惠俾樹風聲恐好故敢此仰達矣上曰依爲之五月十四日政以特旨贈資憲大夫兵曹判書兼知義禁府事訓諫院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諸賢記述 萬里封候己投班定遠筆九重獻策又乘宗太尉風非小丈夫所爲乃奇男子之事庶見上雪申包之恥重酬子胥之讎南越王頭必懸漢北闕下西平公業再出吾東方人狼星恒拱斗魁鯨波永淸鰈海卽今陽鳥熇熇飛鳶跕跕樓船將軍下瀨無恙豫州刺使擊楫如何【出姜睡隱沆文集〇公在瓮津時以復雪之策貽書睡隱以啓答之】魯君公識困而在下無所知名歲丁酉被俘倭窟脫身而浮于海泊于浙江作字道姓名縣人聞于布政使傳命詣京師時徐斯文匡嶽見登倡明道學于淅于閩于廣之間從而師者咸華于武夷朱晦菴書院講習其業徐見公識所爲文哀其言而壯其志遂廩養之乃齒諸學者徒公識與其徒論辨小學家禮無不詳曉其義意旣又說盡吾東方自檀君以來歷代事蹟政敎風俗甚博學者嘆曰先生海東夫子曁其東也相與贐以言序其事而張之吁亦侈矣噫公識居其鄕則不合而詘去其鄕則合而伸此豈非命也歟今返其鄕土得一官顚頓狼狽又甚矣乃觀於以俘見也顧何如哉余於是乎不能無感於不合而詘者贈以辭而伸其意辭曰志固有隔千里而相會得於天者同此心惟如好惡之不背乃可以發於情而莫之禁是惟唱之而無和君故貿貿乎半世其奚爲一朝適異鄕人亦不知其誰聞一言而若驚與討論皇王學者信吾道之東矣服雄辯之森森若鋒鋩豈邇遐之有間諒知遇之不常惟抱關之非時子又胡爲遑遑余擊節而沈吟撫世道而悲傷苟非吾之所欲軒冕不足爲榮光緊太牢之前陳非鶢鶋之攸享趙希逸【木川人號竹陰】壬辰之亂魯君公識被虜入日本久不得返遇中原淅江人林震虩因與相熟其人愍公心事壯公節義謀脫還百計遂自日本逃至福建省魯公頗能文善筆處處聞朝鮮士子從日本逃來待之甚勤引與遊觀諸處逶迤入武夷山第五曲有朱子書院院中學徒數百餘院長每日率諸生講學行禮學規甚嚴晨起擊鼓諸生分庭相揖歌關睢三章登堂聽講日晚乃罷夕又相揖歌鹿鳴三章日以爲業令公同參講席幾數月臨別諸生各爲歌詩以贈之且云朝鮮以爲中原尙陸子【象山】實不然陸學間有尙者如此處專崇朱晦菴之學須以所見歸語朝鮮云其他廬山瀑布金山寺西湖林逋所居無不縱觀過魯拜周孔聖廟入北京發還亦可謂極天下之壯觀焉 柳成龍【豊山队號西崖官領相】湖南魯生袖一帖遊京師遍示士友間蓋其先祖錦溪公嘗陷於倭寇從間道走中華華士大夫作詩文以送先生粧成一帖者也夫天之生民豈有間於華夷之分而朱夫子齒夷狄於人與禽獸間者以風氣習敎移其性也我國自殷太師東來文物彬彬而逮聖朝名儒輩出吾道東矣至我宣廟朝敎化之深普洽洋溢幾乎家諭而人說公生于是時以學行薦剡位不過六品當國家板蕩之日兵敗陷虜能抗義不屈脫身虎狼窟竄跡雲海途艱關萬死偶到朱子故地見禮讓俗聞絃歌聲犁然有契樂留連若終身焉其尊德樂道之意實不愧賢風遺化誰謂公一節也【以下略】 鄭存中【東萊人】吾先祖月沙文忠公戊戌辨誣奏文章之盛聞于華夷錦溪魯公認漂海到杭淅浙中人士皆誦其文曰此朝鮮李某之文可以知家傳而戶習也晚秀自學語時聞其事景慕魯公若孔李之世好公之後孫守國以公周還錄二册皇明遺韻一帖踵門請識其後晚秀竊念士生昇平之世安坐飮啄未嘗見疆域金革之虞者固幸耳若其蟄居一隅井蛙而垤蟻老死足不離階庭名不出鄕黨則於爲人乎何有公於龍蛇之難以藐然一書生杖劒從權元帥奮厲忠義參贊籌畵躬冒白刃左右殲賊何其勇也全節於豺虎之叢脫身於鯨鯢之濤一帆萬里間關鎖尾葆我衣冠返我京國何其智也歷覽泉漳文明之鄕訪同安之古縣拜考亭之遺祠與匡嶽宗師鹿院諸儒攝齊升堂講大學心經之書揖讓討論秩然若滄洲之丈席鵝湖之講會而篤行邃學高譚雄藻使中州諸君子樂與唱酬咸知東方禮義之邦竟之名徹天門至蒙萬曆皇帝忠如祥節如武之褒我宣廟古社稷臣之敎煌煌華袞百世不朽遭遇何其盛也秉樹何其偉也於是乎公之平生本末眞可謂忠孝雙全之天下奇男子其亦不虛生於世也夫詩云四國有王郇伯勞之嘆今之不如昔也以吾東萬折朝海之誠復見皇明遺韻於九州陸沈之日其寶翫而表章奚啻殷彝周鼎之爲三代法物而已哉晚秀旣感家世舊誼且不勝風泉之思謹揚扢如右云爾 李晚秀【延安人諡文獻判書號屐翁】以余觀夫魯錦溪始末殆天下之一人耳萬曆壬辰倭奴犯寇傾覆我邦家公於是時書生杖劒折衝尊俎郤縠之詩書也累然俘囚靡改素操鍾儀之南冠也鯨濤冒險志在雪復陸秀夫之崖海也流離瑣尾講學于考亭之鄕季札之觀樂也葆我衣冠拜手于天子之庭蘇武之生還也自日本而閩越而江淅自江浙而上都以至東還水陸萬里歷覽無際又似子長之壯遊也以藐然身而集千古人之衆美豈非所謂天下之一人耶且夫忠文山而節北海邀惠于大邦之君如彼其盛許以古社稷臣亦粤有聖祖褒訓宜其東還之日論功上賞待以不次而竟扼於仁弘胸中石畵鬱鬱無所於施此爲忠志之士所慨此爲後世子孫所悲也鳴呼悲夫其後孫守國懼先蹟之就泯恐文獻之無徵爰輯其舊藏皇詔二道聖敎二則曁閩中陳秋濤儀以下十有五人詩文眞跡粧褫爲一册錦溪所自爲周還錄幷櫝而背負歷謁賢公卿立言之君子乞詩若文以表章之者有年其志吁亦勤矣往者丁丑守國以屐園太史之命屬余一言久未有復越六年壬午余乃進守國而言曰卷道之天詔煌煌王言穆穆有足以不朽公於天下萬世何待乎賢公卿立言之君子子可歸休矣 申緯【東陽人】今天下爲虜二百年衣冠文物掃地盡矣獨閩越之士往往講明孔朱之術服習禮敎蓋有古先賢之風云況皇明盛際崇儒重道表章培植之餘哉萬曆間魯公認沒于倭潛浮海入閩中與其學士大夫周旋乎庠塾之間辦難乎經禮之文以明我國家治敎作成之美使其敬而進之不敢鄙夷之於其歸也爲詩序以讚嘆推詡爲豪傑士余於是帖知魯公之賢而又未嘗不慨然有西歸之悲也遂書此以遺其後孫守國若其俘還始末則天子嘉之曰祥忠武節宣廟獎之以殆古社稷臣覽是書者庶不待吾言之贅也李始源【延安人官吏判諡文簡】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諡狀略 金尙鉉【光山人吏判】以上略公慷慨有忠孝至誠在日本在中州却魚曰不知君親安危何忍食此漳州將軍稱嘆之別進蔬果製贈白衣冠徐布政使倡學於武夷書院以公薦入與秀才倪士和謝兆伸等講大學倪曰止於至善者修身爲本之命脈也修身爲本者止於至善之竅門也公曰大學之道只是止於至善在何處着落在修身爲本上見講心經公曰以工夫論之精一乃誠正修而厥中乃止善謝秀才曰足下明心學主敬之體可謂海東夫子矣嗚呼公卽眇然東方一書生耳脫虎口而上達于天庭血誠疾呼全節歸國志存復雪斯己凛凛乎動人至若躡蒼崖碧澗之地以探道奥趨笙簧金石之堂以觀遺風豈身係偏邦者所曾得有哉公之事行晦而不彰者久矣今上二十年癸未領議政洪公淳穆白于上請貤正卿施節惠俾樹風聲上可之乃贈資憲大夫兵曹判書公論于是不泯矣謹採公之遺文及諸公記述以諗太常氏謹狀【詳見文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松溪陳公享祀事蹟序(1) 松溪陳公諱武晟自少勇力絶人義氣超凡見者咸推爲非常器 宣朝壬亂奮義盡忠惟其所到連戰連勝自 上引見之寵加以崇品之 贈丁卯之亂以龜城府使兼防禦使壽七十三卒其後多士發議有俎豆之儀噫何其盛也但距世稍遙間經離亂遺跡湮滅而存者不盈其半可勝歎哉惟其享祀之曰校院各處之狀尙有存者歷歷如見當日事卽今之寶玩也后孫贊範庚華恐久而易泯欲印刷廣布之又欲使於子孫者時時寓目是擧也尊賢爲先之誠心篤志備無盡矣安得無一言以相之乎故忘拙書此歲癸丑十月上澣全義李道衡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梁僉知 錦城山北三綱門。繼述家聲屬後昆。長使行人相指㸃。從知名與此山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南候【廷顯】 金城雪月照丹旌。無使公歸遽此行。淸白家傳循吏蹟。凄凉巷哭衆民情。閣梅春返傷心句。壇杏秋深墮淚觥。啼鳥不知今日恨。魚堂依舊聽詩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吳臨履齋【泰圭】 錦城山下道林村。生老堂中德業門。共說後人承敎訓。早看夫子積基根。但留芬馥芝蘭砌。永隔儀形草樹原。少輩今無參拜地。向風怊悵淚傾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蘆沙先生挽四首 林泉從此減春輝。怊悵函筵空設幃。門下小生垂白髮。茫然痛哭更安歸。二月凰山草色晴。攀輀多士送先生。泉臺應見吾先子。珍重何辭慰故情。澹對軒前瑞石尊。雲飛雨散正黃昏。先生心跡知何處。平野茫茫月一痕。丘珍兒女善歌謠。爭唱先生逍遙辭。爾輩那知斯道慟。興盡歸去是何時。莫將此曲傳樂府。空作千秋墮淚詞。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9년 이복필(李馥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光緖五年己卯式 行郡守 進士 鰥 李馥弼 光緖五年己卯式 靈光郡 李馥弼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0×7.1), 靈光郡戶口(흑색, 12.5×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79년(고종 16)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복필(李馥弼)의 준호구(準戶口). 1879년(고종 16)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진사(進士) 이복필(李馥弼)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복필은 영광군 마촌면(馬村面) 용동리(舂洞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80세 경신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규순(李圭淳)이다. 아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아들의 외조인 고만구(高萬九)의 직역과 이름이 작성되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복필은 1870~1873년 준호구에는 이현승(李鉉升)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曺毅坤【東塢】 白首東門有幾人。如今半是北邙塵。愧余久纏淸漳水。宿草佳城又一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仝 自少飭躬老益堅。風流儒雅孰能先。蘆沙函丈許高弟。至德大君有後賢。西夷膽破揮戈日。南國詞嗚上舎年。吾黨更無依仰地。秋城寒雨淚潜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강찬수(姜燦秀)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光緖八年壬午式 幼學 姜燦秀 行郡守 光緖八年壬午式 姜燦秀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靈光郡戶口(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882년(고종 19)에 유학(幼學) 강찬수(姜燦秀, 32세)가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1882년에 幼學 姜燦秀가 靈光郡守에게 제출한 戶口單子.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一統 第一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772년 예조(禮曹) 첩(帖) 고문서-첩관통보류-첩 정치/행정-명령-첩 乾隆三十七年十月三日 禮曹 宣陵靖陵官員 乾隆三十七年十月三日 禮曹 宣陵靖陵官員 서울특별시 종로구 堂上[着押] 禮曹之印 7개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2년(영조 48) 10월 3일에 예조(禮曹)가 선릉정릉(宣陵靖陵) 관원(官員)에게 보낸 첩(帖). 1772년에 禮曹가 宣陵靖陵官員에게 보낸 帖. 禮曹에서 陵所에 移植할 樹木인 橡實(상수리나무 열매) 5斗式을 수납하도록 宣陵靖陵官員에게 명함. *宣陵靖陵官員은 1772년 7월에 宣陵參奉에 임명된 姜載潤임.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6년 이이곤(李以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十六年丙午式 行郡守 幼學 鰥 李以坤 道光二十六年丙午式 靈光郡 李以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2×7.2), 靈光郡戶口(흑색, 12.3×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46년(헌종 12)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 1846년(헌종 12)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13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7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형필(李馨弼)에서 개명한 이승필(李升弼)과 이현필(李鉉弼), 며느리[婦]는 장택고씨(長澤高氏)와 전주이씨(全州李氏), 손자는 이인순(李寅淳)과 이우순(李友淳)이며, 손자며느리는 진주강씨(晋州姜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이곤은 1825년과 1828년 준호구에 이곤(李坤)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2년 강항(姜沆)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추증교지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八年六月日 贈 通政大夫承政院都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藝文館直提學知製敎尙瑞院正 行 通訓大夫刑曹佐郞 姜沆 光緖八年六月日 高宗 姜沆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08_001 1882년(고종 19)에 고종(高宗)이 강항(姜沆)을 자헌대부(資憲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 겸(兼) 지경연의금부사(知經筵義禁府事) 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지춘추관성균관사(知春秋館成均館事)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 시강원좌빈객(侍講院左賓客)으로 추증한 추증교지(追贈敎旨). 1882년에 高宗이 姜沆을 資憲大夫 吏曹判書 兼知經筵義禁府事 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 知春秋館成均館事 五衛都摠府都摠管侍講院左賓容으로 추증한 追贈敎旨. *姜沆이 資憲大夫 吏曹判書 兼 知經筵義禁府事 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 知春秋館成均館事 五衛都摠府都摠管侍講院左賓容으로 추증됨. *傍書: 忠節卓異超贈正卿事承傳 *상태: 문서 우측 일부 오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三山屹立海之東道脈長長太古風資性沈潛從聖學疑難力辨啓群蒙春秋歷歷韓邦外日月昭昭魯院中受命當年已三百被華草木至今同 後學義城金周洛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