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直指南來 繡衣到處宿田家。髮短梳長肯數爬。歲去柴村餘種秫。春來何縣欲栽花。盃傳契濶吾儒技。嘯罷風流太守姱。然後公和能直指。九重烟月報新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請河西先生。從祀聖廟。與太學諸儒書。 云云。夫太學。首善之地。而公議之所本也。苟有大賢君子。倡吾東幾絶之學。而終不得躋配於聖廡。則士林之抑欝。已無可言。而太學之公論。果安在哉。玆於去春。以河西金先生從享事。有所通諭。而恭俟報答。終孤企望。豈意尊賢尙德之所。反爲有言不酬之歸乎。竊念海東。自殷師化逖。聖學不明。遠至我中明之際。治敎隆盛。群賢輩出。莫不以洛閩爲準。則惟於道器危微之說。尙多聽瑩者。而先生。旣兼其天賦之美。獨超乎事物之表。淸明溫粹。脑次灑落。而深自見得大意。不失其正。積之以窮理主敬之功。任之以繼往開來之學。則其踐履之篤。造詣之深。實爲一時諸賢之所推許。而其於情意之發。則獨先照於幾微。事物之應。則必揆度於義理。善利公私之分。邪正是非之幾。惟恐不明。而益致其謹。出處之道。進退之義。惟恐有失。而尤堅其操 則。以一心而㴠三才造化之妙。以一身而任萬世綱常之重者。終有所不可誣者。而後學之被其引接者。如襲春風面覩慶雲也。凡有所感稱則一於詩。發而不激。切而不迫。樂而不至於淫。慮而不至於傷。有風雅之趣。兼騷選之味。而皆所以理性情。而㴠道德也。至於扶世敎而明人彝。闡邃學而牖斯人。則若昏衢之照日月。而迷路之揭指南也。然則先生之道德之純美。文章之典雅。出處之正大。若是其嵬卓。而於誌文墓碣。昭載其萬一。則此豈管見之所敢窺測。而說道也哉。嗚呼先生。得不傳之學於聖遠言湮之後。而淸風大節。聳動震耀。使之廉頑而立懦。則雖爲之百世師可也。而世之尊賢之誠。人少尙德之論。上下數百載之間。訖未聞叫閽躋廡之請。則士林之爲耻。有不足言。而實無以報先生倡明絶學之功也。先生之降吾東。可謂不遲。而先生之配聖祠。獨後於諸賢。則環吾東數千里。其可謂尊道德乎。嗚呼我東先正之配食聖廡者。不止一二。而以若先生之功存斯文。道光邦國。式至今日。尙闕躋配。則豈有道同德均。而崇報之典。若是相舛耶。生等。生於先生之鄕。其遺風餘韻。猶在人心怳若親承而薰炙之。則其所矜式而尊慕之者。雖百世而有不可諼焉。去春之通諭于僉君子者。禀由此也。而尙未見所答之如何。則生等之心。不能惑而。其在相敬之道。亦不無慨然者也。玆以更告。代願僉君子。趁此回示。以爲封章請享之地。幸甚。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叙舊四十韻。奉圼南坡先去。擢第歸鄕。洪俊榮【進士】 衆人交太薄。此老氣英豪。俛首同歸俗。着心自占高。慨然憑巨筆。陋矣盡兒曹。劉董休專美。枚乘未褒。羅胷森劒甲。拓步壯城壕。縱有廉頗勇。空憐李廣勞。倦遊悲短髮。眛識憶垂髦。分派承先悳。忘年感異遭。文章增剝琢。氣味入蒸陶。根稿緣斤劉。井渾爲米掬。世情如浸紙。吾誼不容刀。景響眞相隨。形骸亦遠逃。江湖多歲月。天地一尊醪。詩縣初停轂。榮洲晉昔泛舠。茆廬經寄宿。竹藪轉遊敖。野畝荒交草。山厨冷食芼。行人腸苦乏。老嫂首頻搔。松翠仍圍座。花紅却典袍。三杯傾宇宙。一笑對蓬蒿。孺子饑貧秕。伯倫醉啜糟。賢良開射策。經濟在揮毫。披靡爭環堵。喧騰湧逝濤。晨風驚鷙擊。叢薄聽態嘷。老去猶堪戰。時來大獲鏖。夢占樓下菜。手撲殿前幍。造化均排布。人生謾灼熬。詩雖窮定國。天不勝唐皐。錩鐰吾齎淚。珍奇子拔韜。瑞雲浮雉尾。輕飀順鴻毛。金榜名才耀。華啣寵又叨。三朝桃馬逸。四月栗留嘈。曾已忘溫飽。郊何枉喜忉。來時攀浦柳。歸日結庭桃。桑椊開顔色。萱艸動號咷。欲效承恩重。先須立脚牢。晨昏同逐逐。雲雨摠滔滔。但覔安排做。寧爲寵辱挑。意長還錯莫。酒盡覺迷眊。山雍城南宅。天開漢水艚。歸鴻何杳杳。悵望入雲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子敏詞兄。榮歸。奉此以塵行槖。白南湖淑和 仙卽初返月中遊。玉笛聲飛海樹秋。白首寒儒逢泰運。高官無宜爲身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呈石崖令丈。奉贐榮歸之行。【二首】丁溪居儀明 三日看花三日遊。玉堂佳士始逢秋。忠良事業公家世。名利關頭愼所求。湖左三場擅。長安十上書。一花簪晩歲。溫飽竟何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金都筆麟釆 牢落天姿迥出人。初年夷險詎敢陳。文章卓絶群才右。孝友仍成本性眞。病席馹召屢未赴。平生玉蘊少未伸。書樓塵沒誰能掃。克肖咸稱所後身。支離一病竟難醫。春盡騷壇杜字悲。爲問泉臺文酒伴。風流李白去相隨。筮仕吾遊北。南湖久別君。今朝違紼。揮淚寄孤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承旨義浩【禮判正憲】 聲價蔚然振士風。洪崖遺範石崖翁。桂蓮榜上文章擅。詩禮家中友愛隆。楓枕鳴懷違素蘊。筍班除墨降宸哀。靑山有力收豪傑。七耋光陰劫夢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奇進士學敬【校理】 早登蓮榜晩占桂。謝病南歸絶䆠遊。才識皆稱廊廟器。文章未試帝王猷。銀臺經幄風雲遠。金闕蓬萊日月悠。卓犖淸標何處覩。哀些唱斷暮江頭。愛物仁親有至行。先君許以讀書人。江湖憂國沈疴重。聖主待賢寵命新。東峽共看滄海月。西京同醉杏花春。中年文會運如夢。悵望南雲淚滿巾。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인년 윤필대(尹弼大)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庚寅十二月十八日 殷烈書院 院任 尹弼大 鄕校 庚寅十二月十八日 尹弼大 鄕校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경인년에 윤필대(尹弼大) 등 7인이 향교(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경인년 12월 18일에 은열서원(殷烈書院) 원임(院任) 윤필대(尹弼大), 정광팔(鄭匡八), 성정하(成鼎夏), 류연(柳曣), 조의식(趙義植), 장세황(張世璜), 박동정(朴東貞) 등이 향교(鄕校)에 보낸 통문이다. 송계(松溪) 진무성(陳武晟)의 충절과 업적 등을 널리 기리기 위한 내용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86년 진방일(陳邦一) 은사장(恩賜狀) 고문서-교령류-은사문 국왕/왕실-교령-은사문 丙午四月日 守門將 陳邦一 丙午四月日 正祖 陳邦一 奉使之印(7.3×7.3)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86년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에게 밴댕이[蘇魚]를 하사한 문서. 1786년(정조 10) 4월에 정조(正祖)가 수문장(守門將) 진방일(陳邦一)에게 밴댕이[蘇魚] 2급(級)을 하사하면서 내린 문서이다. 봉사지인(奉使之印)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1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辛卯式 行府使 通德郞 陳宗輝 辛卯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府使[着押] 1顆(7.3×7.1),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31년(순조 31)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 1831년(순조 31)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8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57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17년 김석지(金碩砥) 분재기(分財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경제-상속/증여-분재기 康熙伍拾陸年丁酉二月初六日 財主 自筆 三寸叔 金碩砥 生姪 陳萬東 康熙伍拾陸年丁酉二月初六日 金碩砥 陳萬東 金碩砥[着名]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68_001 1717년(숙종 43)에 김석지(金碩砥)가 생질(生姪) 진만동(陳萬東)에게 재산의 일부를 주기 위해 작성한 허여문기(許與文記). 1717년(숙종 43) 2월 6일에 삼촌(三寸) 김석지(金碩砥)가 생질(生姪) 진만동(陳萬東)에게 자신의 재산 일부를 주기 위해 작성한 문서이다. 김석지가 문서를 작성했으며, 제위로 분급받은 것이기 때문에 조카 진만동에게 노비를 허급(許給)한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여양진씨직첩(驪陽陳氏職帖)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여양진씨(驪陽陳氏) 가문에 관한 기록. 고흥지역에 세거해 온 여양진씨(驪陽陳氏) 가문에 관한 기록을 절첩 형식으로 필사한 첩이다. 내용은 통정대부(通政大夫) 구성도호부사(龜城都護府使) 구성진병마첨절제사(龜城鎭兵馬僉節制使) 겸(兼) 방어사(防禦使) 증 자헌대부(贈資憲大夫) 호조판서(戶曹判書) 겸(兼)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摠管) 진무성(陳武晟)의 행장(行狀)과 가훈 9조(家訓九條)로 구성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