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趙性家【月皐】 先師信筆黜虛奘。何等君家奕世徽。多載集中俱起敬。揄揚麟趾鳳毛輝。嶄角英材早入庠。師門期許出尋常。受業最先諸子列。河南門下呂原明。移孝爲忠於子見。丙寅倡義大男兒。揮戈却自橫經出。世誦師門贐別時。警敏之才超詣識。同門諸友孰能儔。至於師集琹成日。誠力雙殫賴子尤。鳳毛果是君家物。請看趨庭法拂儀。師門多少橫經列。父子摳衣子外誰。前哲曾多未邵齡。豈知六十了君生。小人君子天人異。無乃蒙莊覰理明。藏器待時君子道。肯將不遇發於歌。案有時書園竹樹。味於無味自生涯。貌與心同嚼無滓。翛然物外玉亭亭。一村花樹無他姓。羣從兟兟盡惠靈。嶺月湖雲三百里。託交久矣卅年餘。師門進退無年關。來往何嘗不過歟。洛駕春風蠅附驥。沛場秋月蟨須蛩。平生最恨居相遠。別必雙魚會雲龍。今我來斯君不見。海山千里斷絃悲。聞一亭邊松上鶴。翩然先我弔賓爲。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3년 이현승(李鉉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同治十二年癸酉式 行郡守 幼學鰥李馨弼改名鉉升 同治十二年癸酉式 靈光郡 李鉉升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7.3×7.3), 靈光郡戶口(흑색, 12.3×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73년(고종 10)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현승(李鉉升)의 준호구(準戶口). 1873년(고종 10)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현승(李鉉升)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현승은 영광군 마촌면(馬村面) 수침리(水砧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74세 경신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이현승은 이형필(李馨弼)이 개명한 이름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규순(李圭淳)이고, 며느리[婦]는 진산강씨(晋山姜氏)이며, 손자는 이민술(李民述), 손자며느리는 안정나씨(安定羅氏)이다. 가족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아들의 외조인 고만구(高萬九)의 직역과 이름이 작성되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川上齋。秋集 秋聲秋色滿楓林。客意迢迢深復深。萬里天晴橫塞雁。數間堂寂下山禽。桂花影老雲千疊。楊柳陰疏岸十尋。可喜芭蕉堦上雨。曉風時雜隔江砧。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李可隱先生【箕大】贈臺銜時慶宴韻 蓬萊北望五雲開。六品新銜出內臺。特地榮加黃壤邃。自天恩帶紫泥來。主人孝思悲風樹。佳客歡聲頌酒盃。小子秖今尤感悼。歸家此意共誰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蘆川書齋。次原韻 明月蘆川子所廬。安身隨分娛琴書。栽松護屋因馴鶴。筧竹灌池復種魚。花氣侵簾春畵永。山光入座曉窓虛。從今我亦非生客。朝暮神馳入巷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恠石 靑州奇品鬪千場。山海東來萬里長。我見其人如玉琢。世云此地似金剛。紅黃正合禪師供。龍鳳終當子弟藏。怳遇楚南狂道士。愧無詩句几氈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錦李【霞】學士赴定州序 國家建立。字牧之官。遍於郡縣。蓋所以使一世之賢俊。試之於治民。知所以治國平天下之道。而以待他日宰輔之用也。然法不素講。學不素明。奉上臨下之際。或爲科目之所局。或爲才能之所乏。是以。字牧之官。雖遍於郡縣。而莅於其位者。不過以趍時循俗爲事。至於治國平天下之道。則寂乎其未有聞也。豈國家設官置法之本意也哉。今吾錦霞令。天姿純粹。慈愛嚴正。其於修己治人之道。講之已熟。妙年登第。出入筵中。今也受命於朝。將赴任定州。馳書告我以行期。顧我五窮所縻。遠在千里之外者。旣不能望皀蓋而奉別。且以薄薄石田躬耕之身。但知春及而有事。夏至而耘耔。秋到畝熟。常患十口之計活。一盂之未充。此外焉知有他事。然則將曷語以送錦霞乎。奉公臨民。當以禮讓廉潔爲先。而禮讓者。吾先大君貽厥謨之家法也。廉潔者。錦霞之承襲尙書公家庭之訓。而亦平生律己之最切工夫也。何待愚淺之言而有所加勉哉。處於近民之地。而展其素抱之才。試其所講之學。顧不在於治國平天下之道乎。吾嘗聞漢朝循吏。多入爲公卿。將見賦歸之日。必遺愛於定之民。而且有望於遠大之期也。惜乎。昔日同渡臨津。扣舷賦詩。遊覽西京。連床共枕。不知幾日夜。而曾不一語及此。何也。旣無愚淺之言有所加勉。則以從上聖賢見成說話。告之曰。治國平天下之本。逆推其工夫。則實由於正心誠意上做去。而誠意工夫。又在無自欺三字。錦霞其亦知之。或賴此而寄千里相思之意否。是爲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義契案序 歲丙寅秋。沁都忽被洋擾。至於城陷。八域騷攘。倡義之關。赴義之通。或者政府。或自宗府。其敎文略曰。自古國家之一治一亂。卽天地否泰之理也。噫。彼犬羊之徒。敢生獗。謂我無備。跳踉至此。凡有含生之類。思所以剿滅之道。而矧惟我璿派諸宗。尤當自別。今當有事之日。苟無向義之心。則瞻彼太廟祖宗之靈。豈可曰予有後乎。吾輩承此哀痛懇惻之敎。不覺膽掉。發通列郡。約日會于九巖。願赴者。書盟帖。有志而碍於事故。亦錄之。使之辦衣糧器械。隨後陸續。直走完營。飛檄一省。以示義不可坐視國難。而激其忠憤。馳到宗府。喜見復城之報。國家萬億年無疆之休。斯可驗矣。罄槖中所儲二百金。納于巡撫營。以助軍需。卽旋馬首。第念此擧。本以馬革裏還爲誓。而弓不撘箭。鞘不露刃。而使醜類逃其餘種。不能無介於寤寐之間。歸修一契。名以同義。不忘同死生之義也。竊觀夫世之人。或有契。而以其平日所相知者。不問親疏。一日書名於紙上。動稱哀慶相問。患難相救。道義相尙。斯固善矣。然以其預約。未見允蹈實踐者也。甚者以其殖貨興利。爭訟隨至。至於仇讐者。多矣。古來緩急相須慷慨然諾者何嘗先有約而行之乎吾輩旣許以死生矣。又同往死地矣。又同生還矣。生非爲榮。詎忘死義哉。義兵有所徵。故略擧宗府通諭。以相勗焉。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七言絶句【一百八十三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謁渼湖先生歸路 靑春欲暮訪雲樓。【渼湖。時居嶽雲樓】江水淸冷漾白鷗。可惜風烟人更別。櫂謳如訴百年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吟【三首】 絶粒鳴珂揔不能。半庭霜菊也堪朋。朝吟暮掇仍成癖。何似書牎告剪燈。操筆題詩豈曰能。閑居爲是有佳朋。眞工更向書帷勉。朝對明牎夜点燈。覔句邇來讀未能。且將鉛槧謝詩朋。眞工自有潜心處。一部書經半夜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拜武城書院。【在泰仁。享文昌侯。孤雲崔先生致遠】 伽倻峯前古縣西。孤雲去後鳥空啼。文章百代留餘氣。明月淸風護碧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憶長安諸友 今年秋似昔年冬。獨對寒松戀德容。回首雲山腸欲。裂長安何處更相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別。金同年正禮 洛陽年少好多文。貞玉幽蘭可念君。一榻周旋同刻鵠。此行還是上靑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석애선생문집(石崖先生文集) 6卷 3冊 石崖先生文集 石崖先生文集 고서-집부-별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문집 표점영인 石崖先生文集 [1964] 洪鳳周 石版本 3 有界 11行24字 한자 上下向2葉花紋魚尾 남평 도래 풍산홍씨 석애문중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홍봉주(洪鳳周:1725∼1796)의 시문집. 6권 3책의 석인본으로 1904년 5대손인 홍복희(洪復熹)·홍석희(洪錫熹)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