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地是瀛州冠海東先生去後遺淸風文章道學先明德事業功名後啓蒙祝賀賓迎朝日下奉安禮畢午天中斗翁院宇是何晩俎豆衆論僉口同 後學玉川趙成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大明聲敎惟吾東卓彼先生文獻風德義名聲人所仰詩書遺業世傳蒙雲樹玉果落成日春露秋霜追慕中善承後裕今如在無人不識兩賢同 後學全州李丙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文明禮肅海之東敎化遠振尤斗風百世芳名看歷史兩賢要訣啓群蒙講論鄕里治平裡進退湖堂憂樂中俗士恒嘆當世事先生道德有誰同 後學瀛州李鍾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巍然建廟邑之東瞻仰先生舊日風誠服晦尤承緖大精通心近啓人蒙輿情每切追慕地感化余歸浩蕩中從此魯陽鄒魯似崇儒尙德一鄕同 後學瀛州李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誰陟西山踏海東斗翁節義振英風文章烈烈志惟聖德誼諄諄敎只蒙竹林畫閣靈安裡楓菊佳辰士會中自此玄巖新改色眼前景光古今同 後學瀛州李時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一堂建築海山東復是吾鄕古魯風道脈曾深繼往聖事功尤闡啓來蒙金聲玉色難形外瑞日祥雲變態中願祝斯文霜露會年年香火便相同 後學瀛州李仁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天出後朱佑我東魯陽百世又淸風專心幷享雖云晩盛德猶尊是發蒙伊洛波分楚水上斗山峯秀蓮華中吾道將南從可卜前啓後紹恐無同 後學星州李敎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瀛山七寶隔西東魯院惟淸大老風君子安貧輕富貴文章出世啓群蒙數間精舍建坮上重疊雲甍聳谷中占得小春辛亥日奉安禮式二賢同 後學彦陽金昞元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5년 이곤(李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五年乙酉式 行郡守 幼學 李坤 道光五年乙酉式 靈光郡 李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7×7.8), 靈光郡戶口(흑색, 12.3×4.0)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25년(순조 25)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곤(李坤)의 준호구(準戶口). 1825년(순조 25)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곤(李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8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6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51세 을미생이며,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이곤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으며, 이곤의 경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당필(李唐弼), 며느리[婦]는 고씨(高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곤은 1831년 이후의 문서에서 이이곤(李以坤)으로 기재된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83년 강문회(姜文會)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未二月日 彿甲面化民 姜文會 姜漣秀 姜仁秀 姜馹秀 姜燦秀 城主 癸未二月日 姜文會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16_001 1883년(고종 20) 2월에 화민(化民) 강문회(姜文會)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 올린 상서(上書). 1883년에 化民 姜文會 등이 靈光郡守에게 올린 上書. 이전에 睡隱 姜沆 後孫家의 烟還 雜役을 蠲除하였는데, 이번에 面內에서 減役을 삭감할 때에 후손가가 감역의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니 지금 禮曹 立案과 이전에 올린 소장을 올리니 상세히 살펴보시고 분간해 주길 요청함. *題辭(14일, 兩面 杜首, 面任, 洞首): 賢儒의 祀孫이 雜役에 徵出되었으니 탄식하지 않을 수 없다. 반드시 邑例가 있고 또한 面例가 있으니 이미 있는 例에 따라 시행하도록 명함.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一亭復題 幾歲無端學附攀。不如筮遯舊廬還。畫圖自作微微靄。屛障因成遠遠山。此地莫分南北社。小軒曾設數三間。旗亭故事君休說。春色猶能到玉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謾吟 安貧白屋心常拙。廣濟蒼生計自疏。苦海何多危浪急。無人觧脫漏船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逢三川諸益。遊亭上 郊亭氣候忽晴陰。代謝炎凉復轉湥。無計可消衰雪鬢。有誰能熱死灰心。詩如楊厄還逢閏。曲罷芝歌起整襟。漢閣慈庵知不遠。黃花佳節更相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僖錫【南坡】 逈立鷄羣海鶴姿。淸揚白晳映當時。孝思早著靑衫錦。義氣先登赤羽旗。篤信師門無犯隱。切偲朋榻絶瑕疵。人生到此蔑遺恨。茀祿綿綿永錫兒。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