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92년 진방일(陳邦一)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五十七年正月日 陳邦一 乾隆五十七年正月日 正祖 陳邦一 施命之寶(10.0×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92년에 정조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로 임명한 고신(告身). 1792년(정조 16) 정월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로 임명한 문서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監司泰永【吏參】 遙憶從遊澗北樓。淸樽秀句好風流。若論湖海英豪士。應使夫君處上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徐監司鼎修【吏判】 玉立楓山降淑氣。洪崖百代舊名家。淸時槖征蓬廬閉。病枕支離北闕遐。往日封章懷白簡。衰年增秩泣黃麻。嗟嗟素蘊將何試。輓紼空山暮雨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陳後平爲禦侮將軍興陽監牧官者康熙五年七月初五日[施命之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광무년간 진상조(陳尙祚) 지계(地契) 고문서-증빙류-지계 경제-매매/교역-지계 光武年月日 陳尙祚 光武年月日 1897~1906 昆陽郡 陳尙祚 昆陽郡印(4.3×4.4), 昆陽郡守之印(2.5×2.5), 1顆(1.4×1.4), 1顆(2.5×1.8)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광무 연간에 곤양군(昆陽郡)에서 진상조(陳尙祚)에게 발급한 지계(地契) 서식. 광무 연간에 곤양군(昆陽郡)에서 진상조(陳尙祚)에게 발급한 지계(地契)의 서식이다. 지계는 대한제국기의 근대적 토지 소유권 증명부이다. 하지만 이 문서는 서식틀에는 진상조란 이름과 곤양군인(昆陽郡印)등 인장만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1년 진달우(陳達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咸豊十一年辛酉式 行府使 幼學 陳達佑 咸豊十一年辛酉式 河東都護府 陳達佑 行府使[着押] 1顆(7.3×7.0),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61년(철종 1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 1861년(철종 1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우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동촌(錢洞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7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57세이다. 진달우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두성(陳斗星), 며느리는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680년 진후평(陳後平) 처(妻) 정씨(鄭氏) 분재기(分財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경제-상속/증여-분재기 康熙拾玖年庚申二月十三日 元財主 故 禦侮將軍 行訓鍊院判官 陳後平 妻 鄭氏 子女 等 康熙拾玖年庚申二月十三日 鄭氏 子女 等 後寔[着名], 後蕃[着名], 宋時亨[着名] 1顆(4.4×4.2)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68_001 1680년(숙종 6)에 진후평(陳後平) 처(妻) 정씨(鄭氏)가 자녀들에게 재산을 상속하기 위해 작성한 분재기(分財記). 1680년(숙종 6) 2월 13일에 진후평(陳後平) 처(妻) 정씨(鄭氏)가 자녀들에게 재산을 상속하기 위해 작성한 문서이다. 정씨는 자신이 연로하여 병을 얻어 죽을 수 있으니 노비와 전답을 자녀들에게 균등하게 나누겠다고 재산 상속의 사유를 기재하였다. 이 문서는 족자에 배접 된 상태이다. 이 문서를 작성할 당시 가옹(家翁)인 동생 유학(幼學) 진후식(陳後寔)과 진후번(陳後蕃)이 증인으로 참여하였고, 송시형(宋時亨)이 필집(筆執)으로 참여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濟州牧使公行狀 公忠道都事豊山柳疇睦公諱壽生姓李氏字?當喬桐主酗虐退歸興陽以終墓在尙州之東無量洞先兆左申坐表石毀於壬燹其所記有無不可知世益遠事蹟沉沒莫有能尋逐者十三代孫興基裒集其雜岀於邑誌家乘及文簡公蒼石先生家牒四佳徐文正公佔?金文簡公先生贈公遺詩可據爲殁信者草出遺事一通使其族弟敬基姪子貞奎北走七百餘里屬疇睦爲撰次之役於是乎公之事行庶幾有徵矣李氏出興陽自高麗生員諱彦林始是爲公十世祖八世祖諱陽升衛尉將軍高宗時破契丹立功竟殉節於渭州大顯高祖諱吉文科封興陽君曾祖諱舒原文科入本朝官左贊成祖諱垠文壯元官大司憲考諱堰蔭進官全州府尹 光廟賜手書褒清白士林爲建祠享之商山誌曰公以武擧官濟州牧赴州時佔畢齋送之以詩詩見本集是則公之以武科進可知也家乘曰公爲通政大夫昌原府使晉州濟州牧使燕山朝退居興陽與四佳佔畢相善前後赴官皆有贈詩是則公之通政以前之歷官不傳可知也文簡公家牒曰濟牧與畢齋相善赴濟時有贈之詩二老者當世之鉅匠而儒宗也其亢少可不拘言孰如二老而公之取端於二老二老之推重於公亦豈無所見而然哉今其詩有曰忠孝一生雙美具滿城冠蓋送君行則其多少盡分於君臣父子之間而一時諸名勝之遞筩酬唱以侑其樂可見也有曰聚落半隨龍虎集溪山眞似羽人居則其静制間御而古之所謂吏隠可見也以其超邁之姿卓異之操出而供世誰之不如而値廢主駭機將萌則獨乃超然遠引晦跡荒海沒齒而無悶此豈非明哲者耶苟非精義入神其何以辨之早而退之勇也是可以爲狀而傳諸久遠矣謹就說粗加整齊如此丙辰移葬于豊陽博士洞丙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事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晦軒公事蹟 公諱之証字恩卿號晦軒興陽人生而穎悟早登佔畢齋金先生門力行學文登文科歷禮刑曹正郞陞司憲府掌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06년 진필한(陳弼漢) 처(妻) 류씨(柳氏) 분재기(分財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陳弼漢 妻 柳氏 陳萬壁 等 4名 陳弼漢 妻 柳氏<右掌>, 陳佑漢<着名>, 柳之淵<着名>, 陳重漢<着名>, 陳相漢<着名>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06년 3월 23일에 진필한 처 류씨가 가족에게 재산을 나눠준다는 내용의 분재기 1706년(숙종 32) 3월 23일에 진필한(陳弼漢) 처(妻) 류씨(柳氏)가 가족에게 재산을 나눠준다는 내용의 분재기(分財記)이다. 분재의 이유는 자신이 일찍이 남편을 잃고 슬하에 딸 둘밖에 없었으며, 이밖에 남편이 전처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오랜 기간 동안 거두어 길러왔는데, 아들딸이 모두 혼인하게 되니 어머니로서 재산을 나누어 주는 것이 당연하다고 하였다. 이에 자신의 재산과 남편이 남긴 전민(田民)을 공평하게 나누어 준다는 내용이다. 분재대상자는 아들 만벽(萬璧), 맏사위 신한지(申漢榰), 둘째 사위 박창우(朴昌祐), 남편의 첩 애영(愛英)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康熙)四十五年丙戌三月二十三日 子女等處區處明文右爲許與事 母亦早年失天 只有二女息而與其家翁前妻子一男等 積年收養男婚女嫁 而母亦財主分衿 法不當是乎矣 與家翁同姓四寸兄 猶同門長是乎等以 矣邊奴婢及家夫祖先▣▣田民等 幷爲平均分衿爲去乎 此後若有子孫者 違命是去等 依法告官正罪事一 祭位承重條 內看屯姜龍立連伏上邊羊字畓四㐊每五夜味五斗落只 周員請字田李旕同連伏西邊四斗落只婢月善四所生奴哲奉年十三 婢玉之一所生婢五正年九戊寅生印一 子萬璧衿 豆貳道家前羊字鄭明周連伏下邊畓三斗落只 望洞畓代內埋作坪景字畓二㐊每三夜味一斗五升落只 邑內鳳凰山代畓船倉浦金迪連伏南邊使字畓二斗落只 驛坪▣▣畓金忠念連伏上邊四㐊每三斗落只 院基高介念字 婢▣▣連伏田六斗落只 靑龍染字上下兩庫幷七斗落只 三所谷請字姜四龍連伏南邊田一斗五落只 羊字代田七斗落只 同員南邊升田及瓦家八有 宗子孫次次傳給爲齊 婢月善二所生婢月眞年二十 戒善二所生奴乭奉年四十一 印一 長女婿申漢榰衿 豆貳道立岩回難字朴益仅連伏上邊畓七夜味八斗落只 芝梁谷垂字鄭代連伏下邊畓三斗落只 豆壹道驛坪愛字吳介孫連伏下邊畓二㐊每四夜味二斗落只 礪岩回可字畓二斗落只院基高介念字奴惡金連▣(作)下邊田七斗落只念林登柒字同人連伏田一斗五升落只 上洞請字鄭民連伏田北邊二斗落只婢月善一所生婢月上年二十三 婢仅葉二所生奴進乞年十一身推年 玆三歲養生仍于 隨己身許與事婢月善四十八 印次女婿朴昌祐衿 豆貳道立岩回橋上難字申啓立連伏西邊畓二㐊每七夜味四斗落只 盤松亭量字畓金玉任連伏上邊五斗落只 外看屯賢字崔文洁連伏上邊二斗落只 家前井下裵正興連伏孫字畓二斗落只 念林登柒字畓山龍連伏二斗落只 同員柒字朴貴賢連伏南邊田六斗落只 祭堂下請字田兩庫幷三斗落只東邊羔字田三斗落只 婢月善三所生婢月心年十二 奴哲金良妻所生奴秋仁年二十 婢玉上一所生奴方冬年三十三印一 家翁賤畜女愛英衿 豆貳道外埋作坪徐弼己連伏下邊景字田一夜味四斗落只 船倉浦使字田 高孝江連伏下邊七斗落只 婢禮化二所生婢玉良年二十四 奴婢不足仍于 祭位條一口乙 姑爲許與事印元財主 故出身陳弼漢妻 柳氏[右掌]證 家翁同姓四寸兄 出身 陳佑漢[着名]證 家翁妹夫 出身 柳之淵[着名]家翁同姓四寸弟 幼學 陳重漢[着名]筆 家翁同姓四寸兄 前宣 傳官 陳相漢[着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遺事 先生早從文元公學文元公旣卒先生以所事文元公者事文敬公盡得其所藏文成公所著聖學輯要石潭日記等書及其遺稿未及刊行他人所未睹者皆有所傳授故先生學問規模言論風旨粹然一出於正而卒得石潭之嫡傳【見門人所記下同】李草廬嘗稱尤菴曰始與此翁同學未見其大勝於我者及至中年以後此翁德學日就月將不可進及此翁所執每在第一義故所成就卓然矣先生年滿耄耋雖未善飯氣甚壯肅亦小疾病每曰吾今日猶如此者以其有少時愼色之功也先生夜寢輒去褥問請其故先生泫然曰昔我父母貧甚無衾豈有褥乎時先生年己大耋矣大舜終身之慕雖不敢知而先生亦可謂庶幾也乙亥先生爲大君師傅卽 孝廟潛邸時也舊例王子與師傅以賓主之禮分坐東西璧而師傅就王子之席以敎至是先生坐西璧不起曰師無往敎之禮 孝廟遂就西壁坐請學旣退 孝廟至甥館谿谷張相國問曰宋師傳何如 孝廟爲言尊師道嚴禮貌之事谿谷曰朝廷遴選此人本爲此也及 孝廟初服先生累徵不起而 孝廟必欲召置經筵授以天官之長者蓋自舊學甘盤之時已知其才學足以擔當天下事也捕盜吏夜逐犯禁人入於寅平君大門之內 天怒震動命罷大將李浣仍拿當該將吏於禁府臺諫論執尤激 上怒事將不測先生白 上曰王子公主之宮其尊無比而捕盜部將至微至賤之人也能用其將令不知王宮之尊大將能畏國法不貸宮奴之犯禁者可知國有紀綱此實可喜而非可怒也昔者程子之母氏直一婦人也兩程幼時有敎曰不患不伸當患不屈兩程之畢竟成就賴此一言之敎今殿下之子其尊無對所當患其不能屈何患其不伸於人乎 上喜曰予因一鄭齊賢事得聞可貴之言卽於筵中 命收李浣及捕盜將吏罷拿之命曾拜尤翁於新門外旅舍日己昏黑不辨某某人在座尤翁方倚枕而臥亦不能辨其時適有日變座中一後生曰先生雖以日變爲深憂而或者以爲日變則天下共之非我所可獨憂此言似然矣尤翁奮然起坐曰子欲爲安石不足畏之說乎語時眼光如電唇齒顔色皆分明而至於所被之靑色薦衣座中諸人之爲某某皆可辨可見間氣人精神自與凡人異也庚申逆獄驪陽【閔維重】以判金吾謁見歷擧文案言始壽辭窮情得狀尤翁力爲救解曰渠其全然誣罔乎恐猶有活理驪陽退謂人曰有是哉大老之迂也仁恕則過夫庚申罹刑辟者何莫非欲害尤翁者至於始壽臣强之說其爲設計端爲嫁禍山林而及其論獄乃不念舊惡而深求其生如此是乃尤翁之仁也【見三淵集】先生在華陽忽有急喚門童者謂是退憂金公伻人而以 主上患痘持書急來先生忙問證候輕重於來人手自裂坼書封而雙淚隨下蓋以 上春秋鼎盛證候甚重也覽書訖卽取穿上衣步出山門而分付家人使之治行時日已向夕風雪甚惡而先生單騎疾行門下諸人相與嗟嘆曰君臣之間如此然後方可謂盡性盡倫也【見門人所記】己巳耽羅之行先生年已八十三矣風濤雪浪接天無地而一片孤舶出沒海中性命造次而先生終無一毫幾微見於辭色穩臥舟中手執太極圖說沈潛玩味謂其弟時燾氏曰吾今日益覺太極圖之理也及其後命之下行至中道氣力如絲一日忽呼從者使取肇碩來大書三賢閭三字以表其先閭而其字畫筆力無異常時【見門人所記】己巳冬機張縣項串浦民相與執手而嘆曰朝廷枉殺宋政丞國事可知從此吾輩浦民亦不得聊生矣傍有一人曰宋政丞雖死浦民何故不得保存耶答曰宋政丞立朝時外方贈遺不行於朝廷今之宰相自前當權則方外贈遺盛行吾輩尤不能支堪安得不歎恨乎此未泯公議不獨在於己卯之皮匠老嫗也【見門人所記】昔者畏齋李相公【端夏】謂余曰君知我先生乎到幾分地位余曰豈敢容易論說畏齋曰至大字未及化字君須以平日行事商量也近或思之畏齋亦善看得大人氣像矣【見遂菴語錄下同】老先生見禍不屈之大勇臨機深識之遠慮是何許規模何許力量正所謂智周萬物而純一無僞之大人也淸愼春諸先生皆以大明復讎爲大義而尤翁則又加一節以爲春秋大義夷狄而不得入於中國禽獸而不得倫於人類爲第一義爲明復讐爲第二義問高天濶海蚕絲牛毛尤菴亦可當之否曰所謂絲毛處則雖未知其與朱子畢竟如何至於高濶處則不敢知孰爲優劣也嚴正規模剛毅氣像置身於利害禍福之外束世於禮義廉恥之中【見三淵集下同】朱子之訓有關於世道而爲尤翁平生所執守者其大綱有四焉曰距詖淫以承三聖也曰崇節義以尊東周也曰嚴懲討以扶倫紀也曰惡鄕原以反正經也四義之行建天地而懸日星靜菴栗谷乃間世天資間世才識尤翁又間世精神間世力量道學之名世道之責豈人人所可當者也【見李芝湖選集】己巳尤翁將陳疏也先師諫止而不聽疏旣成尤翁顧謂先師曰欲爲儒者其事至難矣其意蓋爲欲盡儒者之責若計死生禍福則不能也此其爲至難也【見南塘集下同】異日東國之大義聞於天下百世之下爲萬邦視法者惟尤翁是賴矣國朝儒賢輩出而光明正大心事如靑天白日則未有盛於靜菴尤菴二先生者也【見陶菴集下同】尤菴以明天理正人心爲己責閑先聖之道闢異端之說實孟朱後一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特地玄巖在海東講修書院動良風彬彬縉士嘉言法濟濟肖孫嚴訓蒙遺蔭臻臻傳世上德望昭昭闡鄕中此時勝事天應感只願綱常萬世同 後學全州李元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尤老大名垂海東斗翁從學必生風安貧守志先生寫樂道爲賢曾訓蒙忠節貫天大界上絃誦動地玄巖中魯陽院宇新精灑師第年年祭祀同 後學全州崔圭禧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