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砥江。寄贈李友馨福 鷗背晴沙掩晩風。水光烟色㧾詩工。地連遠峀亘天外。江枕孤城出峽中。强理絲綸向釣叟。更將鋤略問田翁。十年南北身將老。鏡裡衰容已謝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漢舘思歸 携友辭親入漢城。此行先被故人輕。去來佻巧看眉睫。言動周旋覔面情。不是功名招遠客。奈何奔走惱餘生。秋風政爲歸心發。蟋蟀聲中片夢驚。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晦窩得車字。贈宋重叔。 花外何人引小車。晦廬還是樂窩如。客少猶憐山色近。地幽偏覺世情疎。床書日永漫兒課。國樹風徽仕鳥居。歸期更結瀛洲老。瑤草南天四月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朴丈道善韻 每羡東皐卜築新。臈梅霜菊臥高人。遐心任使親朋絶。窮道胡然去就頻。樵汲一區宜卒歲。箪瓢千古尙餘春。山翁已結分華約。更賀芳隣出俗塵。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宗簿寺直中。次李時晦【爆】韻。【時晦號。農隱。文科。官國朝寶鑑校正卽。】 襟期虛負小山幽。潦倒風塵歲不留。雙舃願隨鳬化地。一帆聊樹鴈歸秋。故人南嶽偕棲約。明日東園乍別愁。惆悵異鄕還送客。滿城雲樹倚高樓。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用鄭提調一祥韻。贈李時晦。 嘯歌長卿卧東皐。芳歲佳期恨未遭。禁苑和鳴皆白鳥。直廬覊夢一靑袍。秋風欲吹南湖迴。夜雨初晴北極高。同病開懷知早晩。杜陵員外更憐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宗簿寺直中。次唐人韻。 淸詩難寫酒難寬。搖落襟懷似歲寒。明月虛牎心獨挈。靑山舊臺夢頻看。少時曾題柱。暮道閑情此倚欄。不識功名何物是。弟兄垂白各天端。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晩偶成 韶華衮衮若流空。桃李花飛莫怨風。壯髮還愁臨鏡白。長衰顔獨幸對樽紅。世情閱歷炎凉裡。身計商量去就中。昨夜南郊時雨過。悠然閑夢野人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友人【姓名欠】 料外承拜惠狀。就審淸和。尊履珍重。仰慰仰慰。近事太不幸耳。業欲以一書。略效蕙歎之忱。兼付忠告之義。而紛紛之際。不能無戒心。以俟面晤之日久矣。忽奉來敎。萬萬惶感。惜乎。以高明之見。亦有此移乙之怒耶。凡人有疑。心到而跡不見。則詳探細究。待其手脚畢露然後。絶之猶未晩也。以尊我平昔之誼。初不問情實之如何。而卒乍之間。加之以辱先之罪。示之以相絶之意。如此道理。殊不知其穩當也。滿紙說話。寧可分疏。自歸呶呶之科耶。與足下遊幾年耶。期待之情。不啻親戚。而以此書觀之始知足下之所存於中者矣。眞所謂人固未易知。知人亦未易也。奈何奈何。絶之一字。敢不依戒。第恐有亡金卽之慙耳。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跋 五世祖考石崖先生德業文章。鳴一代之盛。擧才行。擢嵬科。遇知於正祖。方成魚水之會。遽謝病歸。馹召頻繁。而未赴。輸囷經綸。惟囊封而陳。正祖。嘉納優批。褒賞者累。爲正廟名臣。其爲學之要。居家之節。事君之懇。形於文辭。而傳焉者。不爲不多。中經欝攸。擧歸散佚。本生考石川公。蒐輯編次。方謀入梓。未果而歿。舍弟錫憙。尤加搜剔。得其所未傳者多。合而成書。庸圖壽傳。嗚呼先生。學問德業。上爲君知。後有諸賢之撰述。小子何敢疊牀焉。惟夙夜兢惕。母負堂構之責。小子之畢生事也。甲辰孟秋節。五世家孫復憙謹識。君子。先德行而後文章。文章。固君子之餘事也。然其能窮理盡性。蘊之爲德行。非惟才之力。學文之功。居多焉。且一言一行之能有述於後。非文辭。莫可形容。文爲載道之器。關重於身之前後。有如是焉。故有德者。必有文傳焉。我先子石崖先生。以渼上賢徒。爲正廟名臣。其德行之形於文章者。不可不傳也。高王考南崖先生。未卽刋布而早世。于先子沒後五年。歲月浸久。經亂見佚者多。先君子石川公深致慨然。盡注平生精力。收輯序次。尙未鑱梨。飮恨而歸。不肖謹述先志。搜於淵源各家。得略干篇。合而手寫石印。嗚呼。周甲之年。神耗眼眵。畵不能精。且多訛舛。可爲慨歎。其可曰。對揚我先子遺謨。曁我先考遺志乎。錫憙謹識。石崖先生文集卷之六【題跋】終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3년 진만주(陳萬朱)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三十八年二月日 陳萬朱 乾隆三十八年二月日 英祖 陳萬朱 施命之寶(10.0×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73년에 영조가 진만주(陳萬朱)를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임명한 고신(告身). 1773년(영조 49) 2월에 영조(英祖)가 진만주(陳萬朱)를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좌측에 '年八十六特爲加資事承傳'란 방서가 있다. 이는 진만주의 나이가 86세이므로 특별히 가자(加資)한다는 의미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酬南坡見贈。【三首】洪紫陰樂命【文淸公】 湖海漫留魚鳥盟。風塵浪作白頭生。不帷十載對賢聖。上供偏親寄釣耕。志結風雲高步地。詩多遲暮不平鳴。胷中未遣難銷氣。故自顚往外法程。從君已結金蘭盟。可莫榮枯變死生。有志攀龍光竹帛。那思將鹿混樵耕。文章何但一時伏。聲價正須百代鳴。折桂何論時早晩。白頭高步向雲程。天地與君有大盟。百年判不作虛生。但使進擎丹極日。不怨去作白頭耕。以玆落落鯤鵬志。肯效區區斥鷃鳴。終應快展靑雲上。活氣扶搖九萬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子敏榮歸不可無志喜。病中聊吟奉別。同上 倜儻吾宗士。文章倒一時。有花餘宿淚。攀桂展衰眉。長笛烏山山路。恩袍錦水湄。莫言能事畢。自有歲寒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族兄南坡先生。擢第歸鄕。不可無志喜。臨發走艸六絶。奉呈行幰。洪致榮【文科正言】 江上秋蓮晩自開。功成百戰鬢毛皚。始知窮達由前定。況復文章夙抱才。看花三日馬蹄高。嘶向桑原氣更豪。長笛一聲歸去路。垂楊芳草暎靑袍。懷書十上欲何營。擬就榮名慰母情。忽忽餘生風樹恨。那堪簪笏泣先塋。移孝爲忠自一門。好將孺慕答君恩。除非榮辱關心力。白首寧憂世路奔。十年交誼見吾宗。憶在齠齔負笈從。自此文園衣鉢托。平生詞賦愧允庸。長歌短詠勸深觥。不似前年渡灞行。別後幾回看月滿。歸鞭好伴雁南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宋相林 多文蓄德貪何傷。遠播馨香重一邦。雁塔名高同李賀。龍池筆落獻長楊。淸時擬濟經綸策。晩歲還吟疚病床。忍見重泉理玉樹。春風花鳥助悲涼。德業文章一世鳴。好官不足爲公榮。公歸有子傳書籍。福履他時可得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崔福鉉 忍記當年吾祖言。先生德器世稀存。廟堂不幸喪良佐。鄕井無依乏達尊。執雉古情文擧宅。登龍喜色李膺門。家聲孝友傳賢嗣。哭盡吾私慰九原。鄕隣化德霑如雨。學子開疑撥若雲。今日斯翁何處得。可憐天不眷斯文。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46년 진만동(陳萬東)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十一年九月日 陳萬東 乾隆十一年九月日 英祖 陳萬東 施命之寶(10.0×9.5)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46년에 영조가 진만동(陳萬東)을 어모장군(禦侮將軍) 행(行) 충무위부사용(忠武衛副司勇)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46년(영조 22) 9월에 영조(英祖)가 진만동(陳萬東)을 어모장군(禦侮將軍) 행(行) 충무위부사용(忠武衛副司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守門將仍資'란 방서가 있다. 잉자(仍資)는 유임을 의미한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