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柳承旨匡天 文酒團圓風味溫。楣間賡律尙餘痕。蓮香桂籍騷壇步。栢府銀臺聖世恩。達亦窮居愁白鬢。身隨病送謝紅氛。蒼茫落月天涯淚。題送哀詞酹子魂。文章聲價早蜚英。鵬海摶風見晩成。一病江湖齎志氣。淸班和誥但虛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金進士學淳【吏判文簡】 淸朝得一老臣賢。歸卧田園樂暮年。雁塔功名成白首。鯉庭詩禮保靑氊。士稱石崖榮啣煥。師在溪湖學問傳。忠孝家聲昆季幷。琢磨世誼友朋聯。春深陋巷貪何歎。風凜高門慶自綿。葵藿貞忱今杜老。鶴鸞淸響古坡仙。茂陵接隔吟佳病。香社雲空失好緣。何處靑山理玉骨。遙天哭立涕漣漣。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90년 진방일(陳邦一)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五十五年六月日 陳邦一 乾隆五十五年六月日 正祖 陳邦一 施命之寶(10.4×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90년에 정조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충무위부사맹(忠武衛副司猛)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90년(정조 14) 6월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충무위부사맹(忠武衛副司猛)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武兼仍資'란 방서가 있다. 잉자(仍資)는 유임을 의미한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坡先生將命者入納 洪致榮【正言】 昨冬憂擾。是生來初經者。拜別之際。未暇從容叙懷。便使間濶。書候亦闕。悵仰之懷。徒自耿耿。卽於人來。伏承抵舍叔書。憑審淸和軆候。連護萬相。歡愧交至。不容于心。書出已多日。不審近間。諸節更何如。族弟前冬。兒慽何忍。更提神擾魂驚殆同亂後。餘生。絶意翰墨間久矣。春初。始收拾前工。讀唐宋古文若干篇。近欲開做而似聞。執事不以年高而志衰。孜孜鉛槧。寸陰是惜。齒添業退。如我懶散者。能不爲愧耶。縱欲致身席末。少立懦志。而顧不可得。爲恨大矣。山川敻絶。書使甚稀。時或逢便。或値忙急。或因無紙。有意未果者數矣。情之厚薄。固不在書牘之頻濶。弟則未嘗以爲嫌。而執事。則有與弟意相反。還切歉悚。此後母論便忙紙無。欲做古人葉上題詩之規。相傳平安二字。未知執事。亦能如此否。弟之所經管者。常在陞庠。而前年旣無味過了。今年則欲加意著述。而草紙之難得。執事亦所熟知者。弟素不習筆於扇紙。少可莊拙。紙品之潔白長廣。無有如尊庄所製。而旣無邑宰求得之路。雖持重價。遍披紙廛。絶無此等扇紙。百爾思量。不得已。玆仰告矣。今當造扇時。或有可得之道否。不過十張。則可以用之。如有得之者。趁初秋付送信裭否。徒恃無間。有此仰煩。想必俯諒而一哂也。餘非一筆可旣。略此上白。不備。伏惟下察。謹拜上候狀。乙未四月念三日。族弟致榮拜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坡先生下執事入納 洪俊榮【進士】 歸卧詩山。雙翠餘濕。猶恨一路之成岐也。卽伏承兼狀下札。慰何如之。況審靜候萬重。向在金陵時。承見和什感荷。第綠行忙。未克致謝。伏不勝歉歎。族弟遊覽。月出道岬吟詠甚富竊欲亟得仰可於大匠眼下而尙未正寫當竢後。便仰呈矣。楚辭旣承丁寧之敎。而尙稽下示。訝菀華從速投惠焉。餘不備。伏惟下照。庚子四月念日。族弟俊榮拜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承旨宅傳納 柳歸樂窩匡天【承旨】 離索之歎。居然十餘星霜。悠悠日月。耿耿懷想。郞惟兄調履何似。一病支離。豈料斯人也而有斯疾也。然天之窮尤吾人。未必不出於動忍增益之意。百鍊之剛玉汝之成。竊爲兄奉賀。兄其自寬善攝。母負區區之望也。山居。猥有窩扁。賡和滿楣。此間。可無兄一言。幸賜俯次。使草堂生色如何。地邇人遐。奉穩無梯。徒增瞻悵。謹拜狀上。弟匡天拜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宋相璟 南鄕卧致銀臺職。滿腹經綸未克伸。恨切花階吟病客。時違漢闕拾遺臣。爺孃地下欣迎日。妻子人間哭送辰。一片丹旌嗟莫挽。石崖山月爲誰新。人今行則古。能子又能兄。孝友平生事。靑山一夢驚。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8년 진달우(陳達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戊午式 行府使 幼學 陳達佑 戊午式 河東都護府 陳達佑 行府使[着押] 1顆(7.4×7.0),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58년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 1858년(철종 9)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우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4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54세이다. 진달우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원공(陳元公), 진두성(陳斗星)이다. 어머니 윤씨(尹氏)는 사망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671년 진후평(陳後平) 삼형제(三兄弟) 분재기(分財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경제-상속/증여-분재기 康熙拾年辛亥十二月貳拾肆日 長兄 前行訓鍊院判官 後平 等 3人 康熙拾年辛亥十二月貳拾肆日 陳後平 後平[着名], 後寔[着名], 後蕃[着名], 朴璘[着名], 田興業[着名], 朴東植[着名]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68_001 1671년(현종 12)에 진후평(陳後平)과 그 형제들이 재산분할을 위해 작성한 화회문기(和會文記). 1671년(현종 12) 11월 24일에 진후평(陳後平)과 그 형제들이 재산분할을 위해 작성한 문서이다. 재산을 나누는 대상은 큰형 전 행훈련원판관(行訓鍊院判官) 진후평과 동생 진후식(陳後寔), 막내동생 진후번(陳後蕃)이다. 문서의 오른쪽에는 재산을 분할하게 된 내용이 기재되어있고, 왼쪽에는 승중위(承重位)부터 분할한 재산의 몫을 정리하였다. 하지만 문서가 큰형에 대한 기록까지 남은 것으로 보아 문서의 일부가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 이 문서를 작성할 당시 유학(幼學) 박인(朴璘)이 증보(證保)로 참여하였고, 사과(司果) 전흥업(田興業)은 증인, 유학 박동식(朴東植)은 필집(筆執)으로 참여했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66년 진후평(陳後平)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顯宗 陳後平 施命之寶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66년 7월 5일에 현종이 진후평을 어모장군·흥양감목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1666년(현종 7) 7월 5일에 현종이 진후평(陳後平)을 어모장군·흥양감목관으로 임명하는 고신(告身)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上樑文【神室陜雜腐蝕重建丁卯七月初四日】 夫天地之間山川以寒暑風雪有變態之理況樓臺亭榭豈無頹廢之事耶伏惟居平祠惟我先祖三府君之俎豆所也前建構之祠年久而或有衰壞之危險而春秋奠獻之禮陟降進退之儀實有難量之事以后晜在憂久矣肄以門會僉辭歸一方故啓占龜灼涓吉年月日乃招良工試才授事責者毀缺舊室更新建於舊基前礎而上宇下棟階礎鞏固重新復完規模壯大軒窓明潔輪焉奐焉缺月復圓蝕日反暉永傳吾世德輝煌而奉神龕於新室乃穩乃安春菲秋黍禋祀豊殷士儒着袍笏子孫獻牲酒誠敬英靈孰不景仰哉建構之事乃可期而建成敢構端引俾助擧樑兒郞偉抛樑東錦嶽嗟峨壁立東重峰峛崺如屛繞巖石層層自不同兒郞偉抛樑西古幕淸江水回西洞天點取淸閒地芳草萋萋一帶溪兒郞偉抛樑南忠孝由來言在南貞節義魂埋物不祥風瑞日照淸潭兒郞偉抛樑北瞻望京華遙隔北歸隱寶鳳操身浴高節炳暉如日星兒郞偉抛樑上畵棟高臺人仰上大義三忠孰不恭慕先倬節皆同欽兒郞偉抛樑下龍頭鳳角龜臨下松竹蒼靑繞後園追陪三祖列神位伏願上樑之后?階鞏固與山岳不同文武不墜克盡鞠躬籩豆馨香永傳後世守先蔭之德不替休矣盛矣歲在丁卯秋七月初旬日後孫炳燦謹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岳隱先生奉安文 邃學偉烈丕闡家邦昭義炳節確守心腔蔭補麗季屢策元功圖麟之壁食采于豊志同圃翁勸奉明標書斥崔瑩請罷遼師罔僕聖朝西遁澡身見幾遐擧萉跡耕山松山改名自戀舊國農隱望京人號其峰念舊易名寵宥獨多慕德建議誕祀如何巋然錦溪公裔之祠于以躋享踐豆潔粢人情允叶神道攸同俾礪後世有光于宗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錦溪先生奉安文 李宏宅【咸平人】天挺賢豪東國之紀允文允武展也君子頑廉懦立龍騰鳳翥忠孝德行爲世所與早事斯文聞道羅公以蔭補官不得大揚歲値龍蛇時年二十七往見權帥式務乃察搏戰畿北倭奴大挫累度奏捷期於圖閣乘時破賊不幸見俘幽囚迫脅備經崎嶇蘇羝文樓一心靡渝白冠素食君親長號於忠於孝斯其至矣吾無閒然卓卓如彼及至武夷祗謁程朱華士敬服許以眞儒又拜皇廷神考稱賞賜馬歸國恩遇廣蕩宣廟敬欽大加褒寵授之都護許以神勇包胥慟哭天惟矜恤睡隱生還人多齕齕奸臣枳塞末路險巘撫念往跡可勝涕洟黃壤之間積冤難平百世之下公議乃行殘裔叫閽章甫齊聲爰立賢祠于錦之西溪山如古桑榟依迷杖屨遺痕完如平日神道豈遠人情攸悅黍稷馨香罇罍淨潔自今享之其永無斁尙冀昭格啓祐來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相揖禮圖 相揖禮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講席圖 講席圖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