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華陽春秋振海東斯鄕尤得古儒風旣營院宇多嚴敬爰築講堂擊懦蒙大星曾落楚山上炬火爰明五夜中恭憶先師當日事昭然千載泰斗同 後學礪山宋洙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尤翁大義冠吾東斗老遠承閩洛風卓行出群宜有享化被不褊盡云蒙兩丁香火千秋外百丈楷標一國中山水高長是誰在魯陽精彩古今同 後學達城裵安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翼然祠宇起瀛東後學彬彬道德風尤老春秋名一國斗翁遺業啓群蒙士林揖讓起居上牲幣肅行陞降中但願年年多士會儼然此事一齊同 後學慶州金宗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院宇巍然在海東追思尤斗兩賢風曾學師門聞大道晩居林下啓群蒙炬火孔明魯院裡大星隕落楚山中遠方士友會此地但願年年享祀同 後學密城朴昌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天挻兩賢佑我東至今猶振洛閩風愛讀心經期往聖發明道妙啓群蒙五夜炬明斯院裡巳年星落楚天中四方多士如雲集千載師生享祀同 後學密城朴彦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翼然魯院在山東尤斗相傳閩洛風一時雖有大星落千載豈無深澤蒙絃誦不絶瀛城下斯道將明萬國中惟願諸儒盡誠力師生享祀年年同 後學密城朴太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紫陽正脈在吾東叔世猶存太古風曾隱林泉求古道發明心近啓群蒙一星忽隕楚山上大義孔明槿域中但願精禋永不廢諸儒歲歲誠心同 後學密城朴祥圭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강영회(姜榮會)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貳拾參年癸卯月日 幼學 姜榮▣ 行郡守 道光貳拾參年癸卯月日 姜榮會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戶口(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843년에 유학(幼學) 강영회(姜榮會, 51세)가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1843년에 幼學 姜榮會가 靈光郡守에게 제출한 戶口單子. *주소: ▣▣▣ 雲堤里 第一統 第一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43년 강영회(姜榮會)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癸卯四月十六日 晉山後人 姜榮會 癸卯四月十六日 姜榮會 李彭運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3년(헌종 9) 4월 16일에 강영회(姜榮會)가 아들 강영만(姜永滿)의 혼사(婚事)로 이팽운(李彭運)에게 보낸 혼서(婚書). 1843년 4월 16일에 晉山姜氏 姜榮會(1792~1857)가 아들 姜永滿(1824~1877)의 婚事로 咸豊李氏 李彭運에게 보낸 婚書.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주요경혈도(主要經穴圖) 고문서-치부기록류-병록 곡성 이천서씨 서민수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臍中부터 目窓까지 15개의 주요 經穴을 표시한 主要經穴圖. *고서 ID18 『卜筮正宗精解』의 딸림자료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2년 이대영(李大榮)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秊壬午式 行郡守 鰥夫 幼學 李大榮 道光二秊壬午式 靈光郡 李大榮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7.2×7.2), 靈光郡戶口(흑색, 12.3×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22년(순조 22)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대영(李大榮)의 준호구(準戶口). 1822년(순조 22)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대영(李大榮)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대영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동고개리(東古介里) 제1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9세 갑술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은(李垠), 며느리[婦]는 김씨(金氏), 솔손(率孫)은 이은필(李殷弼), 손자며느리는 류씨(柳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冬夜。分社相酬。二首 殘曆無多坐守園。梅魂初返伴詩魂。延賓燦爛優儲畫。愛月經營小闢軒。臭入芝蘭醺一氣。歌成花樹喜同源。早知此會更深罷。分付奚奴不掩門。寒蟲忽覺有陽和。除却琴樽復嘯歌。松巢鶴夢三山遠。桃樹鷄催五更多。燈檠花衰臨月影。硯池水滴動文波。分社傳筒忙健㒒。案頭籌數問如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暮春卽事 雛禽乳燕弄暉晴。日日成吟費課程。午醉有餘兼夜醉。郊行不厭復山行。怡然處世方逃世。强欲無名是市名。怊悵餞春鍾罷後。殘花飄絮摠關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佳山壽筵韻 竹柏深深日候新主翁精舎臥閑身。淸樽爭獻榠欞句。華甲重回己巳春詩禮百年傳古宅。芝蘭十世結芳隣。石生善禱無他語甘老明時作逸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寒食後 吾生端合老鄕居。春事西疇及理鉏。數畝桑麻全活計。一床醫藥有方書。遊蜂多事探新藥。巢燕如期訪舊廬。欲煑鵑花鵑夜語。山中消息問於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觀佛菴。贈李樂裕序。蘆沙先生 隣近一守宰。以文鑑自負。見某人所述。嗤其不建大將旗。此說如何。天下原濕墳衍若是廣也。生齒若是稠也。或田連堤封。而或籬不旋馬。或千人誰諾。而或應門無僮。若是者何也。昔年樂裕先大人向我道如此。吾心知此公見我疏於時。悶我果於自信。爲此風切也。信口對云文字奇正無定形。必若守宰之言。是有井陘出。無夏陽渡可乎。昔人有甘澹泊者。非惡豊喜約。分定故也。相視一笑而止。是時方七月。餘熱猶熾。相携入招。提卽此菴也。吾與樂裕見。歲不下三四。此地相逢。別有感也。方爾先大人與我劇談於此也。安能自知棄我而先。又安能知痼病之友。與其胤子重作招提之遊也。抑又有深感者。吾聞之。楚遊者妻子必有所託。懼其凍餒也。況行有遠於楚者。事有大於凍餒者乎。爾先大人雖不能自知遠行。形諸言語。有託於我。而以平生相與之心推之。其託自在也。萬一樂裕不能爲克家之子。則吾豈容不曰時予之辜乎。何幸樂裕能自琢磨澡潔。鄕黨服其義。朋友稱其信。早年上庠。其文華也。倡宗赴難。其氣節也。朝暮厚夜相逢。吾知爾先大人必無餘憾於堂構之無人矣。然則後死者今日之幸。非爲樂裕幸。乃所以自幸也。樂裕嘗語余曰。觀人。當觀其趨向而已矣。然趨向之云。以之驗人可也。自驗止於此則或疏矣。自驗又當照管其造詣。蓋心燕而北鄕。心越而南鄕者。趨向也。師行三十里。吉行五十里。造詣也。趨向之不變。在於進進不已。自恃趨向之正。而或忽於造詣。則少焉心懶意闌。回頭而易向。恐未可知。樂裕以爲何如。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