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90년 진방일(陳邦一)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五十五年月日 陳邦一 乾隆五十五年月日 正祖 陳邦一 施命之寶(10.4×9.5)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90년에 정조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충무위부사용(忠武衛副司勇)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90년(정조 14)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충무위부사용(忠武衛副司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武兼仍資'란 방서가 있다. 잉자(仍資)는 유임을 의미한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主簿宅入納 洪薰谷樂浚【文穆公】 樂浚白。家們凶禍。先祖妣奄忽棄背。日月如流。遽經襄禮。痛若摧裂。廓然之慟。不目堪勝。特蒙慰問。哀戚之至。不任遠誠。仍審新元。靜履珍勝。區區何等。仰慰。宗末。家親衰境。遽遭巨創。氣力自多損傷。私悶何喩。歲律又飜。尤不勝悲慟。前秋獲承問札。滿紙辭意。實不堪當。顧此悲擾之中。所上專却。悶歎何言。末由面訴。徒增哽塞。今始修謝。謹奉狀上。不備謹狀。戊申二月二十日。宗末朞服人樂浚狀上。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30년 진계립(陳繼立)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兵曹 陳繼立 判書, 參判, 參議, 參知臣李<着名>, 正郎臣鄭<着名> 兵曹之印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30년 10월 병조에서 진계립을 여절교위·훈련원판관으로 임명하는 고신 1630년(인조 8) 10월 병조에서 진계립(陳繼立)을 여절교위·훈련원판관으로 임명하는 고신(告身)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47년 진무성(陳武晟) 추증교지(追贈敎旨) 1 고문서-교령류-고신 仁祖 陳武晟 施命之寶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47년 3월 6일에 인조가 진무성을 가선대부·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에 임명하는 추증교지 1647년(인조 25) 3월 6일에 인조가 진무성(陳武晟)을 가선대부·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에 임명하는 추증교지(追贈敎旨)이다. 연호 왼편에는 아들 진계립(陳繼立)이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 1등으로 책록되었기 때문에 아버지인 진무성을 추증해 준다는 사유를 적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정묘년 진병두(陳秉斗)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丁卯十二月日 豆原面 ▣▣(罪民) 陳秉斗 城主 丁卯十二月日 陳秉斗 興陽縣監 官[着押] 1顆(6.7×6.7)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정묘년에 진병두(陳秉斗)가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 정묘년 12월에 두원면(豆原面)에 사는 진병두(陳秉斗)가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6대조의 산소에 있는 소나무를 투작(偸斫)하는 일이 있어, 입지를 발급하여 투작(偸斫)하는 폐해가 없도록 청원하는 내용이다. 이에 동월 19일에 흥양현감이 입지를 성급하겠다고 제사(題辭)를 내렸다. 이 문서는 오른쪽 일부가 훼손된 상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5년 진달우(陳達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乙卯式 行府使 幼學 陳達佑 乙卯式 河東都護府 陳達佑 行府使[着押] 1顆(6.8×7.3),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55년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 1855년(철종 6)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우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1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51세이다. 진달우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봉모(奉母) 윤씨(尹氏)가 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重建上樑文【甲戌三創】 李炳壽【陽城人號謙山】述夫忠賢必生顯祖之後懿門戶之再昌公議實出多士之中儼祠宇之重建爰卜舊址載圖新營竊惟岳隱魯先生麗季忠臣咸豊華族地閥若是烜爀屢世連蒙光祿平章之啣天姿亦其超凡幼時已論伊尹伯夷之操討紅巾金鏞之諸賊勳業已隆與遁村圃隱而爲交道義相合秉執春秋大旨切責崔瑩攻遼之兵功可日月爭光贊叶恭讓回鑾之慶逮我太祖御宇縱曰天命有所歸卓彼罔僕杜門惟知臣節莫能變我安適歸矣返故鄕而懷舊都君不可諼兮登彼山而望松岳贈諡武烈庶慰夜臺未昧之靈以表忠貞庸示朝家不刊之典乃若錦溪先生故家肖裔遭遇宣廟之昌辰少年才華早膺上庠之嵬選嗟逢龍蛇之亂與姜睡隱同時被俘唾罵犬羊之群似蘇中郞異域全節泣三年之瘴霧久滯邊陲隨萬里之星槎幸到上國在蠻徼而羈絏纍然楚囚越吟遇鴻碩而遊從今也鄒絃魯誦武夷書院共撰修身齊家之圖福建軍門幾灑思親戀國之淚諸儒講學推詡至有夫子之名稱孤臣催歸陳情獲蒙皇帝之褒獎賜馬護送莫非聖主之尊禮殊恩贐詩餞行皆是華人之哲匠巨手生還鰈域得全丹腔炯如之心召對螭庭特荷素節皎然之命忠烈如彼其偉燁宜百世之不祧士紀緣何而摧沮遽中歲之撤院幸玆儒論峻發賢宇營成上祖下孫合一堂之躋享後生諸子聳四方之瞻聆芝有根醴有源家世克趾先美竹如苞松如茂匠師各輸厥功玆掇兒郞之短謠擬諸張老之善頌東鳴鳳山顚瑞靄融千仞德輝那復見英靈不昧滿腔忠西鐵城壁立杳難躋金湯失守緣何事往刦回思意轉悽南古幕江深碧染藍單袷新成風詠好諸生正値暮春三北京國迢迢瞻斗極武節祥忠登袞褒千秋師範爲矜式上昭臨日月人皆仰崇禎年號特書頭大義煌煌於不忘下檻前溪水淙淙瀉錦絃獨抱弄淸徽古調峨洋知者寡伏願上梁之後溪山增輝基礎永鞏二丁釋菜無替尊德尙賢之儀諸子絃歌勿惰課忠責孝之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重建上樑文【癸巳四創】 後孫玟杓述夫大賢必當百世祀虔奉薦苾之俎尊吾道何嘗一日亡重建講學之黌舍基礎因舊觀瞻聳新恭惟岳隱錦溪冠巖三先生實是德學文章節義一般揆十世家法尙其類人稱是祖是孫一字直訣有攸當疇論或生或死所以灑淸風於六合懦其立頑其廉遂乃請祀典於九重王曰允士曰得肆倣後廟前堂之制爰立尙賢造士之方春秋丁之牢腊牲腥左籩右豆遵奉令甲二三子之蛾述鳥習圓冠方領對揚昌辰蓋自毀撤之攸同遽見瞻依之失所復誰得門而入德徒切則近獸之歎後自設壇而擧儀厪免爾愛羊之訓何幸公論之駿發居然祠宇之翬飛聖朝之邦典益昭肅肅也秩秩也叔世之士趨克正濟濟焉蹌蹌焉己而世變之乖常於焉凶烽之肆虐堂序廂廡先被燬燼火不滅於半旬神宮位版幷入燒爛哭何止於三日燹燐浪藉猶酷嬴炎之焚樵牧縱横便同漢薪之刈士林爲之嗟惜裔苗亦其憤冤與謀數年載劃四創多士釋經而敦事何患時絀擧嬴群工按圖而輸能始信事半功倍龜墨食舊吉宛然人欲天從鳳曆筮辰良似是鬼瞰神助於是川嶽動色草樹增輝淙淙者流回狂瀾於頹倒巖巖者峙呈淑氣於眺望院竹猗猗貫長春於摇落後廟栢凛凛存生意於焚斮餘聊揚六偉之詞恭奮三寸之管兒郞偉抛梁東月望岳箕城東哭且拜自獻靖十隱名煥大東兒郞偉抛梁西錦溪水錦城西夫子歸來濯纓盛稱同古關西兒郞偉抛梁南天冠山截彼南大樹下招招魂皇帝誄送城南兒郞偉抛梁北水折東星拱北讀麟經明此義蓬萊五雲洛北兒郞偉抛梁上功德是爲太上萬千齡報祀禮三先生一堂上兒郞偉抛梁下一陽藏在地下此理循環不泯肯堂搆千秋下伏願上樑之後奎星降彩錦嶽毓靈莘莘襟纓各盡己分內事孜孜墳典俱爲吾道中人克勤於灌鬯焫蕭守鹿洞之遺法學益博於明道正誼遵鵝湖之餘規將四海而準諸豈一邦之化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講會儀節 享祀禮畢設講席于中堂立講長以主之【明經行義衆推服者爲之】擇有文行者一人爲司講一人爲直月一人爲執禮一人爲讀法〇講會日早朝議長率有司及直日及執禮及讀法及諸先生行相揖禮【會中以齒德但尊者爲東西班首諸生中但以習禮者爲東西曹司】執禮立於阼階上讀法立於西階上東向讀朱子白鹿洞規約次讀藍田呂氏鄕約乃升堂就講講長坐北壁下堂中南向【講長有故未參則虛其位】聽講坐西壁下與齋任相對【齋任卽直日執禮讀法】諸生皆南行北向西上以齒序立直日詣書案前抽栍示當講者堂講者再拜講訖又再拜而出講畢講長與聽講之應抗禮者交相揖諸生向講長再拜講長答一拜又向聽講再拜聽講答一拜諸生交相揖乃退【升降講長及齋任由東時諸生由西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相揖禮笏記 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〇以次詣初立位東西行序立〇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〇班首答揖〇曹司退復位〇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〇以次至再立位東西行序立〇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〇班首答揖〇曹司退復位〇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〇以次至進立位東西行序立〇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〇班首答揖〇曹司退復位〇東西班首諸生曹司向師席拱揖〇師席移座答揖〇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〇班首答揖〇曹司退復位〇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周旋而行〇以次至初立位東西行序立〇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〇班首答揖〇曹司退復位〇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〇以次至再立位東西行序立〇東西曹司詣班首前拱揖〇班首答揖〇曹司退復位〇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相向揖〇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〇班首答揖〇曹司退復位〇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〇以次至進立位〇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〇班首答揖〇曹司退復位〇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〇以次至階前東西行序立〇讀法抗聲讀白鹿洞規藍田鄕約〇東西班首諸生曹司同聽規約訖執禮讀法立於西階下東西班首諸生曹司立於作階下相向揖升堂就講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祠壇顚末 本祠始享錦溪先生故稱錦溪祠粤二十年純祖戊辰入於鬱攸卽爲復舊此再創歷七年甲戌以士論躋享錦溪九代祖武烈公岳隱先生因地名改稱居平祠高宗戊辰不免大同毀撤壬午以朝令設壇享祀旋有復設綸音力屈未遑至甲戌多士與後孫始得復設此三創矣不幸庚寅動亂又被劫燹燒燼辛卯冬僅成神宇因仍戰亂至癸巳建講堂曰經義齋此四創於是追配岳隱先生九代孫冠巖先生從士論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杜門洞書院諸賢名帖 朴門壽 曺義生 成思齊 申翼之 申 瑀 高天祥 李 瓊 申 珣玄繼生 金冲漢 李 致 李 裕 郭 樞 高天祐 蔡貴河 李孟芸趙安鄕 朴 諶 范世東 元 宣 申 鑑 金若時 陶東明 李明誠李遂生 裵尙志 李椎仁 崔文漢 許 徵 鄭夢周 林先味 孟好性曺大運 申 彝 鞠 穤 沈元符 徐仲輔 申 淇 閔安富 田貴生具 鴻 宋 寅 全五倫 朴 忱 邊 肅 徐 輔 朴 寧 申 晏趙承肅 成 渒 林 卓 李 午 卞 贇 蔡玉澤 李湯休 李崇仁李種學 金震陽 孫 登 魯 愼 車原頫 洪 魯 李 穡 崔添老孔 㒚 張安世 李 邕 崔 瀁 崔有江 趙 稅 金士廉 孫孝貞李 璘 崔 邇 玉斯溫 鄭 熙 尹忠輔 申包趐 李陽昭 金 澍閔 愉 金 細 申 雅 田子壽 申德隣 李春啓 宋 郊 宣允祉李 蓨 申得淸 金自粹 河 檠 李 初 吉 再 崔允德 都 膺李中仁 南乙珍 孟希道 趙 明 朴德公 文益漸 申 祐 李 沃朴天翊 趙 瑜 許 麟 徐 甄 崔 原 元天錫 羅天瑞 田祖生趙 琪 洪 載 孟 裕 梁 祐 金 瀹 閔由誼 閔普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錦溪先生被俘同苦錄 魯 認 羅州人 白受繪 梁山人 朴汝楫 咸陽人 姜士俊 晉州人鄭昌世 晉州人 河大仁 晉州人 金興達 淸風人 金興邁 淸風人全時習 泰安人 姜 濬 靈光人 姜 渙 靈光人 姜 沆 靈光人姜 瀣 靈光人 金禹鼎 東萊人 徐景春 務安人 姜天樞 河東人李 曄 全羅虞侯 奇孝順 興陽驛卒 徐國伊 務安鄕吏 鄭東之密陽正兵 風石伊 京畿私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判官李公 猗歟我公勇力蓋世早擢武科雲山郡守清兵之亂累捷北關連臨深河血戰四日重䧟敵圍矢盡槍折一片丹忠仰天痛哭一死之外無以報國投身河中竟立殉節士林齊誠蘋藻精潔凛凜之靈永世陟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鰲川李先生 於休先生學優行篤當世推重嘉靖癸卯司馬主簿光海政亂見幾勇退丙子胡亂忠激義憤遂與同志倡義赴亂完山聞和投槍痛哭然而含憤隱身自靖白首講論啓迪後蒙學者咸曰鰲川先生一鄕多士敢薦俎豆非私于公清德是享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贈參判李公 忠勲繼世清白傳家龍蛇倭亂從忠武幕多樹戰功露梁大捷竟至殉節一判熊魚大義堂堂鐡卷錄勲贈職兵判百世赫然聞風感慕秉彝攸同敢薦苾芬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