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82년 기동교(奇東敎)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壬午四月日 全羅道儒生 進士 奇東敎 崔光愚 幼學 梁紀永 廟堂 壬午四月日 奇東敎 議政府堂上 전라남도 영광군 堂上[着押] 議政府印 3개(9.0×9.0)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17_001 1882년(고종 19) 4월에 전라도(全羅道) 유생(儒生) 진사(進士) 기동교(奇東敎) 등이 의정부당상(議政府堂上)에게 올린 상서(上書). 1882년에 全羅道 儒生 進士 奇東敎 등이 議政府堂上에게 올린 上書. 睡隱 姜沆의 행적과 역대 국왕의 褒賞 및 沙溪 金長生, 尤菴 宋時烈 등 선현의 表章을 나열하며, 강항의 저술인 『綱鑑會要』 및 『文選纂柱』, 『左氏精華』 등도 남아있다며 특별히 국왕에게 啓聞하여 天恩을 입을 수 있도록 요청함. *題辭(6월 7일): 이미 筵稟하여 褒贈하였다고 명함. *『承政院日記』 1882년(고종 19) 6월 5일 기사에 領議政 洪淳穆이 贈都承旨 姜沆을 吏曹判書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7년 강재호(姜載浩)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嘉慶十二年丁卯正月日 幼學 姜載浩 行郡守 嘉慶十二年丁卯正月日 姜載浩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靈光郡戶口(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807년(순조 7) 1월에 영광군에서 유학(幼學) 환부(鰥夫) 강재호(姜載浩, 5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807년에 영광군에서 幼學 鰥夫 姜載浩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二統 第四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9년 강재호(姜載浩)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乾隆五十四年己酉正月日 行郡守 幼學 姜載渭 改名 載浩 乾隆五十四年己酉正月日 靈光郡守 姜載浩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789년(정조 13) 1월에 영광군에서 유학(幼學) 강재호(姜載浩, 4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准戶口). 1789년에 영광군에서 幼學 姜載浩에게 발급한 준호구.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二統 第四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2년 기동교(奇東敎) 등 통문(通文) 2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壬午三月日 光州 進士 奇東敎 幼學 朴濟源 高翼鎭 嶺南 儒會所 僉座前 壬午三月日 奇東敎 嶺南 儒會所 광주광역시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44_001 1882년(고종 19) 3월에 광주(光州) 진사(進士) 기동교(奇東敎) 등이 영남유회소(嶺南儒會所)의 유림(儒林)들에게 보낸 통문(通文). 1882년 3월 일에 光州 進士 奇東敎 등 12명이 嶺南 儒會所의 儒林들에게 보낸 通文. 올해 봄에 全羅道 士林이 姜沆을 表彰하는 문제로 備邊司에 呈狀을 올려서 처분을 기다리고 있는데 湖南 儒林들도 의론을 함께 모아 달라고 요청하는 내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9년 이민술(李民述)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十五年八月日 學生 李民述 光緖十五年八月日 高宗 李民述 서울특별시 종로구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9년(고종 26)에 이민술(李民述)을 가선대부(嘉善大夫) 행(行) 이조참판(吏曹參判)으로 추증(追贈)한 교지(敎旨). 1889년(고종 26) 8월에 고종(高宗)이 이민술(李民述)을 가선대부(嘉善大夫) 행(行) 이조참판(吏曹參判)으로 추증(追贈)한 문서이다. 추증을 받게 된 경위를 알 수 없다. 인장도 누락되었으며 문서의 좌측 일부가 훼손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癸亥元日 節序堂堂意轉沈。鬚邊無奈雪霜侵。物情去日非今日。春事天心似我心。荊楚古風傳歲記。村田新樂採時吟。家人不識添年感。云醉屠蘇興不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月十七日。會于夢漢閣 此山盟得復祈天。先代經營古洞前。十世園林傳有法。百年香火祝無邊。銘龜老臥靑峯雨。駕燕飛隨綠草烟。小子登臨歌頌禱。重來癸亥斯筵。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臥松堂韻。寄柳兄 繞屋屈盤復倒臨。風霜雨雪翠森森。百年種德傳餘蔭。一樣長春結好衿。幾尺東西平首尾。渾身上下各陽陰。盤桓愛惜由來久。誰識臥龍此地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李南塘居觀錄 安樂窩邊千載月。箇中有衆識無人。如鎌如鏡紛虧滿。分付南塘到後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猥筆 孔子曰。人能弘道。非道弘人。張子曰。心能盡性。性不知檢其心。後之儒者。驟看皮面。以此爲機自爾。非有使之之證。然道固非弘人。而道自有弘之之妙。故人能弘之。道無其妙。人何自而弘之。朱子曰。主宰常定者。心也。發出不同者。性也。所謂弘道者。只是以主宰常定之本體妙用。檢其發出不同者而擴充之。極其盛。則至於參天地贊化育。是豈此心所乘之機之能自爾乎。蓋道體無爲。所謂無者。無其能然之力耳。其必然之妙。則乃其固有者也。如恭己正南面無爲。而九官十二牧。典禮典樂。掌兵掌糧。各隨其職。而禮樂征伐。自天子出。早已命之之由也。此所以爲至尊之實而萬物之主焉。故曰太極生兩儀。曰乾道變化。各正性命。曰太極動而生陽。靜而生陰。聖哲之千言萬語。皆以理爲主。而至於鳶飛魚躍。逝者如斯。直曰理之用。曰此道體也。而未嘗以氣言之也。後世禪家與陸氏。俱有認氣爲理之弊。故朱子解太極圖設動靜註。著所乘之機四字。明道器上下之分矣。栗谷先生偶發機自爾。非有使之之語。而轉轉至權信元一直。認理作氣。故蘆翁特著猥筆。解朱子動靜者所乘之機。以明主㒒先後之分。於是乎從上聖賢主理之眞詮。始明於世矣。夫栗谷之所解。解所乘無爲而機有爲也。故答牛溪書。有此機自爾之說。而以人能弘道斷之曰。若非氣發理乘一途。而理亦別有作用。則不可謂理無爲也。如此則氣專用事而似有可疑。然就攷全篇。則一節若理爲主而與蘆翁合。一節若氣爲主而與蘆翁離。一書之內。有若左右佩劍。而其實。下一節是就流行邊說。故有所云云。今之儒者。執言迷旨。誤認爲源頭。於是。理爲沒主張之物。而天下之大本遂舛。周平王之下堂見侯。漢獻帝之徒擁虛號。亦將次第事。蓋由不知無爲之中有必然之妙故也。乘然後謂之理。恐非朱子之本意。而待人弘之然後謂之道。則又非孔子之本意也。然則蘆翁所謂理無能然之力而有必然之妙十二字。明白的確。顚撲不破。實發前人之所未發。而大有功於聖門也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阡表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