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竹溪李公 智略過人勇力絶倫早年武科禁府都事龍蛇之亂扈駕龍灣多有奇蹟忠武李公嘉其勇略許以先鋒鞠躬盡瘁大捷累啓扶安社稷宣武原勳一鄕縉紳公議齊同式陳采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院任 院長一人 掌議一人 色掌一人 別有司二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官 初獻官 亞獻官 終獻官 判陳 執禮 大祝掌饌 司尊 奉香 奉爐 奉爵 奠爵 謁者贊引 贊唱 諸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備置書類目錄 任員錄 駿奔錄 焚香錄 奉審錄 經理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建物 祠宇三間【南向居平祠三大學揭板前楣】神門三間【南向】經義齋四間【三大字揭板前楣】外門三間【在南】庫直舍四間【在外門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地名沿革 羅州本百濟發羅郡【一云通義】新羅改錦山郡【一云錦城】高麗太祖改今名成宗十四年置節度使號鎭海郡隸海陽道顯宗九年陞爲牧朝鮮因之仁祖二十二年降爲錦城縣孝宗五年還陞二年又降顯宗五年還陞爲牧高宗三十三年陞爲觀察府翌年改爲郡古蹟云居平部曲在會津縣東距羅州四十里西距咸平二十里舊羅州居平面東衙村今文平面東院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建置事實 我正廟戊申後孫駕前上言春曹筵稟館學發通全羅道內多士創建于居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春秋享祀祝文 後學密城朴仁圭 維年號幾年歲次干支幾月干支朔幾日干支後學某敢昭告于文正公尤菴宋先生伏以洙閩正脈宇宙大義集群儒成萬世仰止玆値【春秋】丁恭陳明祀以斗南朴公配尙饗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陳設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相揖禮儀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座目 執禮 讀法 東班首 諸生 曹司 西班首 諸生 曹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笏記 執禮設師席于堂上畫圖于階下執禮讀法東西階上相向立執禮抗聲讀笏記【無師盧位而爲之】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以次詣初立位東西行序立○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曹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以次至再立位東西行序立○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曹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以次至進立位東西行序立○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曹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向師席拱揖○師席移座答揖○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曹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以次至初立位東西行序立○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曹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以次至再立位東西行序立○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曹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相向揖○東西曹司各詣班首前拱揖○班首答揖○曹司退復位○東西班首各率諸生曹司從繩折旋而行以次至階前東西行序立○讀法抗聲讀規約【朱子白鹿院規五敎之目爲學之序修身之要處事之要接物之要又藍田吕氏鄕約】東西班首諸生曹司同聽規約訖略俯如揖○東西班首諸生曹司立於阼階下北上序立執禮讀法降自西階分庭向師席拱揖○師席擧手答揖○執禮讀法於西階下東向北上序立與班首諸生曹司相向揖○揖畢升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讀法 朱子白鹿洞院規父子有親君臣有義夫婦有別長幼有序朋友有信右五敎之目博學之審問之愼思之明辯之篤行之右爲學之序言忠信行篤敬懲忿窒慾遷善改過右修身之要正其義不謀其利明其道不計其功右處事之要己所不欲勿施於人行有不得反求諸己右接物之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藍田呂氏鄕約【增損鄕約】 德業相勸過失相規禮俗相交患難相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湖南第一古沙東惟有玄巖太古風道學如山名百世詩書藏壁啓群蒙魯陽翼翼三山下炬火明明五夜中千載德成消息好維持用力勸相同 後學金海金在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魯院高名振海東瀛州今日更淸風堂堂大義名千古歷歷微辭誘萬蒙炬火三更開洞口黃花九月滿庭中扶綱正俗知何處興化斯文歲歲同 後學保安扈己萬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을묘년 이종걸(李宗杰)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乙卯二月日 幼學李宗杰 等 28人 巡相閤下 乙卯二月日 1770년대 후반 李宗杰 全羅道觀察使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1顆(8.0×8.3)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묘년에 유학(幼學) 이종걸(李宗杰) 등이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상서(上書). 을묘년 2월에 유학(幼學) 이종걸(李宗杰) 등 28인이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게 정려(旌閭)를 청원하기 위해 올린 상서(上書)이다. 영광군 변산(卞山)에 살았던 효자 이대영(李大塋)과 그 제수(弟嫂) 효부 박씨(朴氏)의 효행을 칭송하면서 그들을 위해 정려를 세우기를 요청했다. 이미 작년 11월에 영광군수에 청원을 했고 제사를 받았으나 일의 처리가 잘 안 되어서 유림의 뜻을 합해 관찰사에게 다시 청원한 것이다. 이에 전라도관찰사는 동월 14일에 읍(邑)의 보고를 기다린 후에 헤아려 처리하겠다고 제사(題辭)를 내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