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崖執事入納 李羲寅【吏參】 無日不風。令人愁亂。不審動止若何。仰溯區區。日前羅洲所來朝紙。則典籍末望。執事受點矣。本邑朝紙俄來。而首擬爲之。未知孰是。訝惑甚矣今則待京報之外。無他邑矣。玆以委報。尊照如何。連有馹召之敎。而尙無消息。極可悵憫。記下姑安。無足奉聞。姑不備謹狀。卽日記下。羲寅拜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崖宗氏執事回納 洪松澗秀輔【貞翼公】 或一面而人濶。或近到而末逢。悵歎則一也。伏惟新晴。起居毖勝。區區慰溯。族末。初爲便養。寤寐一麾。西畢竟撞着。此罕古罔措之時。邑事民憂。一口難盡。若不盡劉斯民。決知終䧟大窘。方以五日。京兆自處。無可言者。來此荞蒼之地。所當卽爲通問修好。以續昨年花樹之勝事。而但所遇之時不同。目下所遭。只是盡興飢氓相詰。夜與鄕員諸究。眞所謂鼻眼莫開。寢啖不甘。實難暇及於惇叙之勝槩。故尙此泄泄。想以爲訝矣。似聞未赴任之時。有一二宗人。因事來此。虛待經還云。雖甚驚悵。而今年異於他年。京鄕間。貧知窮交。不可勝數。故城悶之禁。加意申嚴。此實非爲僉宗而爾也。中心則自不能無歉然者也。幸諒之如何。秋末欲一鞭馳。往烏山齊。會叙穩計。明年畢賑後。則亦當奉邀。續好此意。行一一轉告于羅南各宅如何。不能各幅。玆告于左右。幸可諒之也。餘忽擾不備。謝禮。壬午七月晦。宗末秀輔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進士宅入納 洪今是堂義榮【孝憲公】 義榮等白。賢閤奄忽違世。承訃驚愕。不能已已。伏惟伉儷義重。悲慟沈痛。何可堪勝。仲春漸暖。不審服履何似。伏惟深自寬抑。以慰遠誠。義榮等。京鄕路殊。末由趍慰。其於憂想。無任遠誠。謹奉狀。代惟惟鑑察。不備謹狀。甲戌二月二十日。宗末義榮大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宋載文 詩書滿室墨華香。紫誥頻繁吟病床。淸望爭稱蘇內翰。貪居猶是杜茅堂。傳家卓行源無盡。耀世高名歸未藏。萬事春姿驚夢落。花寒雨淚淋浪。長卿四壁鄴候箱。種子讀書有肖郞。白玉樓成文以述。須公神筆揭虹梁。春遊何日小車行。愴憶當時吾祖迎。地下倘如陽界上。也應先訪枉丹旌。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陳後平爲禦侮將軍行忠武衛副護軍者習讀官仍資順治十二年 正月 日[施命之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訓鍊院正陳武晟 武科乙科第十五人及第出身者萬曆二十七年八月初三日[科擧之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임자년 진성래(陳聖來)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壬子十二月日 豆原面 ▣…▣ 陳聖來 城主 壬子十二月日 陳聖來 興陽縣監 官[着押] 1顆(6.7×6.5)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임자년에 진성래(陳聖來)가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 임자년 12월에 두원면(豆原面)에 사는 진성래(陳聖來)가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지난번 집터[家基] 거래 문제로 문기를 남겼는데, 이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임인석(林仁石)을 잡아 집터 값의 남은 돈 11냥을 추급(推給)하도록 하고, 환미(還米) 2석을 무납(貿納)하도록 청원하는 내용이다. 이에 동월 초1일에 흥양현감이 제사(題辭)를 내렸다. 이 문서는 오른쪽 일부가 훼손된 상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2년 진달우(陳達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壬子式 行府使 幼學 陳達佑 壬子式 河東都護府 陳達佑 行府使[着押] 1顆(6.8×6.7),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52년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 1852년(철종 3)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우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8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48세이다. 진달우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봉모(奉母) 윤씨(尹氏)가 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8년 진상조(陳尙祚)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표 隆熙二年一月日 慶尙南道 昆陽郡 陳尙祚 隆熙二年一月日 昆陽郡 陳尙祚 河東郡守之印(2.5×2.5), 河東郡印 略1/2顆(4.1×2.5)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908년(융희 2)에 곤양군(昆陽郡)에서 발급한 진상조(陳尙祚)의 호적표(戶籍表). 1908년(융희 2) 1월에 경상남도(慶尙南道) 곤양군(昆陽郡)에서 발급한 진상조(陳尙祚)의 호적표(戶籍表)이다. 진상조는 경상남도 곤양군 남면(南面) 서면리(西面里) 영천동(永川洞)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5세이며, 본관은 여양(驪陽), 직업은 농업이다. 진상조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이름을 기재하였다. 동거친속(同居親屬)으로 시모(侍母) 서씨(徐氏)와 처(妻) 민씨(閔氏), 아들 진연홍(陳連洪), 진모득(陳模得), 진갑록(陳甲祿) 등이 기재되었다. 고용된 사람으로 여 1명이 있으며, 이외에 가택 현황도 기입되었는데 4칸 초가집에 거주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院上備置總目 祠誌 一祭官錄 一經理簿 一備品台帳 一任員錄 一時到記 一重要書類綴 一祠印 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器物及諸具 一祭具部邊【竹製三】 豆【木製三】 爵【木製九】 坫【木製九】 牲俎【木製三】 簠【木製三】 簋【木製三】幣筐【竹製三】 燭台【鍮製三雙】 香盒【鍮製三】 香爐【鍮製三】 香案【三】 尊【三】 祝板【木製三】黑團領【十一】襲 黑帶【十一】 儒巾【十四枚】諸具部書籍櫃一 祭器櫃一 衣欌一 캐비넷一草席七 衾三 毛褥一 褥用카펫트二硯箱一 算盤一 四人盤一 二人盤三長盤六 食器四十五 羹器十 接匙百燒酒盞三十 濁酒盞二十 竹器四土地部土地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大司憲公墓碣銘幷序 直閣延安李義國李文簡公蒼石先生嘗撰家牒陳世德旣詳且實百世瞭然余讀而敬之曰述先裕後之道當如是復何患乎文獻竊欲傚之而未遑焉日月澗先生九世孫相教氏以其先世大憲公及府尹公家狀屬余曰大憲先祖而正統戊午卒于慶州任所以其年返葬于尙州洛東無量洞其時墓隧衆設靡不備具而歷年旣久剝落析泐議方改竪願吾子銘之余踧踖曰以余無文蔑識何敢當是役且在五百年後曷以明五百年前前修德業耶曰此狀辭本之從先祖文簡公所撰家牒註宜可徵也義不敢終辭略撮狀中大節序之如左謹按公諱垠初諱致其先興陽人在麗中葉有諱彦林生員爲鼻祖自是再傳而諱陽升當契丹亂爲金就礪裨將破賊于長興驛殉于渭州事載麗史又四傳至諱吉以文進奉常大夫通禮門副使封興陽君子孫因貫焉子諱舒原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卽公考也妣貞敬夫人文化柳氏公生有異質補以文學弱冠中生員洪武戊辰冬魁文科歷躡清級所居稱職如玉在珮動輒有響階自承訓至資憲諫職則自左司諫至都憲官職則自知製 教至同春秋外寄則自慶州府尹至豊海道觀察使黜陟使此公之歷官也 太宗乙酉歲旱蝗 上進群臣問闕失公奏曰災不虗生必有所召之由害未易消亦有可除之道要在修德 聖躳昭假於天心因歷擧時政得失辭其剴切 上嘉納之當建文永樂之際國家草創朝儀多闕海?竊發戎務叢沓公長貳薇垣遇事敢言捧簡栢署執法不撓佩符月城盡保障之責攬轡海西有澄清之志此公之偉績也爲文章也格力自天閎麗深淳一時詞命岀於其手有補於彌綸者甚多此載蒼翁牒註愚伏鄭先生跋蒼翁家稱公忠於奉公立齋翁序其譜牒亦曰公有茂才異行敬齋河先生公同朝道義交也贈公詩深許文章德業之盛公之一生可以徵信矣嗚呼公之才猷忠悃旣如此而尙不克大展布只盡瘁方方面而止惜哉配貞夫人平山韓氏判書哲沖之女祔公墓酉坐原銘曰入贊謨猷出而保障王之藎也懋功毓德天報不舛永錫胤也有若月蒼百世宗仰道所存也我銘樂石以告來許無愧言也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84년 송원(宋源)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상서 宋源 暗行御史 暗行御史<押> 馬牌 3顆(원형)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4년 11월에 흥양현 유학 송원 등이 암행어사에게 올린 상서 1884년(고종 21) 11월에 흥양현 유학 송원(宋源) 등이 암행어사에게 올린 상서(上書)이다. 주요 내용은 '1868년 류지영(柳芝榮) 등 상서(上書)'와 같다. 상서에 대해 암행어사는 충절과 탁행 두 가지를 온전하게 행한 진무성의 탁월한 행적을 흠탄하고 칭송하지 않을 수 없으니, 마땅히 그 아름다움을 칭찬하는 도리가 있을 것이라는 처결을 내렸다. 암행어사의 처결은 11월 29일에 이루어졌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興陽縣幼學宋源·申章模·柳新錫等 謹齋沐上書于繡衣閤下 伏以事親至孝者 旌而閭之 事 君盡忠者 諡而額之 故漢之獜閣 唐之烟閣 圖畫揭號 良由於褒忠獎節之本也 何者 本縣故判書松溪陳公諱武晟純孝貞忠 一身兼備 豊功偉烈 一 國無雙 是以著於 國史 載於邑誌 而有耳者聞知 有口者欽歎也 昔我先聖朝 以眞將軍號 特賜顯秩 昭載勳錄 至今影幀 留藏於本孫之家廟 可知其忠孝之卓然 而尙未蒙褒揚之名者 亶由於子孫殘劣耳 論其陳公死節之時 以同功一體 厚蒙 國典 而獨未及公者 何也 以海濱之遐遠耶 以其苗裔之殘微耶 久冤待雪 撥蔽雲而覩靑天 積功得露 照覆盆而見白日 伏願閤下 宣詢南邊費隱之事 埋沒之蹟 採而褒之 不暇 還朝 復 命之日 以松溪陳公事實行蹟 亟 啓睿覽之下 以爲贈 諡賜額 一以遂本孫之願 一以慰多士之望 謹冒威仰陳繡衣閤下 藻鑑甲申十一月 日 朴龍錫 丁學性 宋旻玉 朴喆鉉 宋稷浩 柳鐘周 宋喆浩 宋獜燮 申燦休 柳沃根 丁應秀 等暗行御史[着押][二馬牌](題辭)兩全卓越之蹟 不勝欽誦萬萬 終當有褒美之道向事 十九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良敬公洛濱李先生 學襲于庭名著于世縉紳章甫注心景仰解符南歸兩邑歌哭令聞登徹 宸翰遄降特蒙清白世濟其美澤民濟物功存社稷勝覧稱性廉淡勁直晩歲優遊築室洛濱講論不弛道存德隆旣享文院今奉錦祠 神其佑之永世歆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牧使李先生 超邁之資卓異之操忠孝雙全各盡其分四佳佔?道義相善濟州赴任皆有贈詩燕山昏朝獨乃起然退歸鄕里沒世無悶此非明哲烏能乃爾一鄕士林追慕攸同敬陳俎豆侑以永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晦軒李先生 生而頴悟從師佔?學得眞詮爰及相交寒暄一蠧擢入文科歴二曹郞外除四邑原從勳號昏朝失政直諌下納見幾而退杜門自靖講學不倦奬勵後進百世之下儒林追慕籩豆是將永世是享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