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42년 진만동(陳萬東)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七年十二月日 陳萬東 乾隆七年十二月日 英祖 陳萬東 施命之寶(10.2×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42년에 영조가 진만동(陳萬東)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로 임명한 고신(告身). 1742년(영조 18) 12월에 영조(英祖)가 진만동(陳萬東)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守門將仕滿例授'란 방서가 있다. 이는 진만동이 수군장 임기를 채웠기에 용양위부사과에 예수(例授)한다는 뜻이다. 문서 배면에 고신을 작성한 병조서리 이시양(李時兩)의 이름이 기재되었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9년 진달우(陳達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己酉式 行府使 幼學 陳達佑 己酉式 河東都護府 陳達佑 行府使[着押] 1顆(7.1×7.1),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49년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 1849년(헌종 15)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우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5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45세이다. 진달우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봉모(奉母) 윤씨(尹氏)가 있다. 양자(養子) 진원공(陳元公)과 며느리 조씨(趙氏)는 곤양(昆陽)으로 이거(移去)했다고 기재되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0년 진행조(陳幸祚)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표 光武四年二月日 慶尙南道 河東郡 陳幸祚 光武四年二月日 河東郡 陳幸祚 河東郡守之印(2.6×2.6), 河東郡印 略1/2顆(4.5×1.8)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900년(광무 4)에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 1900년(광무 4) 2월에 경상남도(慶尙南道)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이다. 진행조는 경상남도 하동군 마전면(馬田面) 전도동(錢島洞) 제16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0세이며, 본관은 여양(驪陽), 직업은 농업이다. 진행조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동거친속(同居親屬)으로 어머니 서씨(徐氏)와 처(妻) 박씨(朴氏)가 기재되었다. 이외에 가택 현황도 기입되었는데, 3칸 초가집에 거주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兵曹崇禎三年十月二十一日奉敎 司果陳繼立爲勵節校尉訓鍊院判官者軍功崇德三年 十月 日參議判書 參判 正郞臣鄭[着名]參知臣李[着名][兵曹之印]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55년 진후평(陳後平)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孝宗 陳後平 施命之寶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55년 정월에 효종이 진후평을 어모장군·행충무위부호군에 임명하는 고신 1655년(효종 6) 정월에 효종이 진후평(陳後平)을 어모장군·행충무위부호군에 임명하는 고신(告身)이다. 방서에 기록된 '習讀官 仍資'는 진후평이 습독관(習讀官)일 당시 부여받은 어모장군의 품계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의미이다. 습독관은 정해진 녹봉이 없었으므로 체아록(遞兒祿)을 지급받는 부호군에 임명하여 생활을 유지하게 해준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興陽縣幼學柳芝榮·朴八炫·申彦模等 謹齋沐上書于繡衣閤下 伏以褒忠獎節 朝家之盛典 建祠立廟 士林之公議 幸際 閤下按斧南下 仰體 仁天莫不觀感 於尙忠義振斯文之新政 則竊有興起之心者 於忠臣烈士之蹟 尤有想焉 夫本縣故判書松溪陳公諱武晟 純孝貞忠 一身兼備 炳若日星 昭不可掩 著於 國史 載於邑誌 不必疊床 而略擧其槩 泣血三年 啜粥廬墓 不脫衰經 子職盡矣 壬丁之變 再度起義 水陸俱捷 臣節極矣欽仰敬服 靡不擊節稱賞 而昔我先聖朝 以眞將軍號 特爲許獎 至於執手 而興歎不已 於此數者 可知其忠孝之卓然 爲世表矣 名載勳錄 加 贈顯秩 至今影幀 昭揭于麟閣 蹟其豊功偉烈 設享 賜額 必不後於諸賢也 是以嶺湖通章齊發 以本縣杖屨之鄕 建祠於龍岡 特一象賢祠 尙未蒙 贈諡賜額之恩 春秋腏享 芬苾難繼 此豈 昭代欠典 亶由子孫孤劣耳 又有異蹟之播於世者 公之當日所持七星釼 在於祀孫家 與新磨一般 光射斗牛 而往往天陰 雨濕之夜 則匣自動而吼不已 釼豈有神 公必有靈 向日本孫幼學陳秉斗·出身陳達聖之以松溪事績仰瀆也 急於易名 只擧龍蛇日記 不及文籍等語 故至承忠節旣如此卓異 尙未蒙易名之典 可謂士林之抑鬱 而文籍都無一張之粘連 未知其曲折 褒揚之道 益採公議 事之 題音也 爲士林者 其在秉彝 不忍泯默 通章軸與行蹟冊 玆敢粘連 褁足奔訴於繡斧之下 伏惟 閤下 還 朝復 命之日 以松溪行蹟冊 登諸 睿覽 亟下 贈諡賜額之典 一以樹百世之風 一以慰多士之望 不勝祈懇之至 謹冒昧以陳繡衣閤下 藻鑑戊辰六月 日 幼學丁斗成 柳浚錫 申纘模 宋煉 宋鎭珏 宋欽悅 柳正普 宋源 柳新錫 李鎬榮 丁日采 金斗聖 李成浩 鄭啓鉉 申俊模 宋台煉 李興基 宋夔浩 宋柱一暗行御史[着押][二馬牌](題辭)復 命之日 收公議 啓 聞向事 十四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經義齋柱聯詩句 前日事元太王皮幣 今日歸明夫子春秋祥忠武節皇帝若曰 古社稷臣大哉王言唐浦奏捷宣祖賜券深河隕星神皇降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重建上樑文【戊辰再創】 高時翰【長興人】鄕社有祭先賢重崇報之儀學宮建祠後生明修葺之義邈矣德表之尙想猗歟舊宇之維新恭維錦溪魯先生才器則玉質金章操守則銀山鐵壁適値倭酋之禍難不讓於蘇中郞孤衷獲奉魯儒之唱酬見許以朱夫子淵學旣承皇朝之褒贈臣子之大義益彰雖遭姦佞之斥擠士林之欽仰尤切歲寒知有松柏忠孝元非二致焉德器成以圭璋文武兼得雙全耳仰吾師於百世式覩立懦廉頑之風循僉議於一鄕詎無衆賢崇德之道顧玆舞鶴之遺墟實同白鹿之徽謨鑿深井而獲泉猶公神無往不在也儼喬泰而想像惟錦里偏得其重乎肆闢輪奐之一區用寓衿紳之永慕冠帶混幷之所絃誦彬彬春秋享奠之規籩豆苾苾嗟秉彝之罔墜遡流風而永懷不幸氣數之否衰乃有回祿之災禍噫彼聚講之堂于隨灰燼而滅湮巋然妥靈之室庭幸神鬼之呵護伊江山點綴之相物色失輝矧杖屢遊賞之墟感慨隨矚若不修創而重建無以揭虔而昭誠人神與之合謀爰究爰度土木因以營作載堂載基規矩授之於良辰仍舊礎而完爾經綸成之以不日起新檐而煥如旅楹有閒增古制之赫敞群工畢奏庶斯文之菀繽躋躋蹌蹌佇見禮成而儀備幽幽秩秩方知松茂而竹苞顧念師其道則尊其人是乃知之眞而好之篤宜使名存而實副盍亦屋修而學成得有依歸曷不竭吾於砥礪尙其陟降終當惠我以光明廟號尊嚴如爭日月之炳烺院貌淸肅怳若星斗之崢嶸謹述兒郞之拙詞敢效張老之善頌東龍岡朝日上晴空遙看錦水朝宗海流峙千年名不窮西灘上遺墟草色萋正氣堂堂誰繼者魯連明月畵梁捿南月出山光截彼巖精采至今留草木錦官城外柏森森北宸極垣中遙夜色霜雪不能移節操聊將牲酒享靡忒上昭森星日入瞻望頭邊如復洋洋在到此令人志益壯下誰得熊魚知取捨依舊山川靑只麼墓前秋色生疏檟伏願上樑之後典型不替風韻長存明薦蘋繁尤勉修飭之貞節式瞻棟宇永肩宗仰之誠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書籍總目 錦溪公贈職敎旨 二皇明遺韻復寫版 一皇明遺韻刻板 一〇岳隱集 一錦溪集 上下景賢祠誌 四育英齋默庵合稿 一韓國儒林大金 一韓國名賢遺蹟大觀 一羅州郡人物誌 一晚悔斗南合稿 一咸平郡史 一錦湌文化論叢 一咸平魯氏世譜 一石泉遺稿 一星州世譜 一默齋遺稿 一訥幸齋集 上下竹泉遺稿 一湖南誌氏族考 三院宇錄 一竹林書院誌 一韓國人의族譜 一全南大觀 一咸平魯氏文獻錄 一咸平魯氏派譜務安派 一大韓忠義孝烈錄 一鶴山祠誌 一壺亭遺稿 一大東氏族考 三觀潤齋遺稿 三溪山淵源錄 一愼齋漫錄 一松厓遺稿 一景賢書院誌 一悠南遺橋 一咸平魯氏大同譜【丙寅刊】 八卷榮江祠誌 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行望瘞禮 祝奉幣及祝文就燎所 謁者引初獻官就燎所北向立 祝焚幣帛及祝文 謁者引初獻官復位獻官及諸生皆再拜 鞠躬 拜 興 拜 興平身 謁者進初獻官之左白禮畢 獻官以下出謁者還入與祝及諸執事俱復階間拜位再拜出祝闔櫝 掌饌率其屬掇饌 闔戶以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居平祠全圖 居平祠全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陳設圖 陳設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目錄 目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建置沿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冠巖先生墓表 尹鳳九【坡平人號屛溪官判書諡文憲】春秋之義莫大於尊周亦天理中一事今於君臣之義能盡性分之所當爲則自可合於天理雖不讀一部春秋而尊周之義固自在矣嗚呼故訓鍊副正冠巖魯公諱鴻非所謂其人者耶昔我神宗皇帝萬曆四十六年戊午建虜大寇帝下詔徵兵本朝金將軍應河以宣川郡守領左營兵將赴時公棄官居天冠山下曾爲金將軍所知至是檄召之公與同鄕壯士卞德馹卽日辦行裝將發有一子尙幼攀衣啼號公抱而置之曰汝其好長也慷慨語家人曰大丈夫今有此塞外之行幸得死所萬里遼薊裹革是分兒子輩無作別離狀妻孥莫敢仰視立飮酒三大椀遂上馬不顧而行比至從金將軍隸副元帥己未二月二十一日渡江入遼及深河之戰公與德馹左右金將軍不離次所射殺甚衆俄而矢盡劒亦折將軍曰公等皆去公曰豈有獨生之理乎遂與之同死實三月四日也有一卒伏於亂屍中潛見其始終生還本國爲語湖南人曰深河大樹下積屍中長髯身大面髯半白者卽魯將軍屍也嗚呼偉哉公之死也華陽宋先生書金將軍廟碑曰將軍之一死可以明天下之大義立天下之大經爲春秋尊周攘夷之義也深河大樹眞公之死所終能與金將軍爲春秋尊周之人則正所謂盡君臣性分之理不讀春秋書而自合尊周之義者也公豈不偉且奇哉公字汝信號冠巖咸豊人始祖諱穆麗朝封咸豊君其後有賜紫金魚袋仁厚修文殿學士貫道累世冠冕我朝有顔翰林得平舍人以文章名世公考諱平國官軍資監正公以嘉靖辛酉生身長八尺餘體大過圍廣顙方頤面如斗髭髯若神怒則磔磔如戟勇力絶倫韜略精熟見皆以魯將軍稱當壬辰倭寇以武蔭末班選壯士與兵使黃進水使魏大器等皆力戰斬獲輒居最都元帥以公習知海路形便啓請鎭南桃浦公卽整理船具急赴李忠武期會適潮退船膠衆不得曳下公遂負船推之船疾如矢賊船已漲海公且戰且行李公見而壯之極稱獎焉及夫五月二日露梁之戰公爲先鋒大捷後錄原從二等勳敍功增秩至訓鍊副正始登庚子武科公性亢直老而益硬與世寡合公亦無進取意晚爲臨淄鎭僉使則歎曰折腰向鄕里小兒吾亦恥之遂謝病歸冠山舊居時或射獵山澤間每以霸陵亭李將軍自況後以遺衣依矢復禮葬于長興佛聳山東坐坎之原淑人魏氏祔焉淑人父德弘祖進士鯤淑人享年九十餘說當時事歷歷子孫嘗錄以爲家乘子一變一變三子時聖禧聖師聖二女爲金汝漢張雲翼妻弼周弼宗時聖出弼昌弼宣弼武禧聖出弼謇師聖出皆好義氣善騎射不墜公偉丈夫風公之忠義貫金石儀度出倫類天固有意生者公終守志死事義光尊周公可謂不負天所生之意也然生而君上不知其何狀歿而忠節不見其褒錄何天之生之者厚而報施者薄也抑天下勢而已豈天定亦不能勝人而然耶傳所謂天地之大而猶有所憾者非耶弼謇子天政從於溪上一日以公狀示余請余公墓文余感慨而書之如此俾刻于石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長城景賢祠諸賢名帖 鄭夢周 吉 再 金 澍 鄭 樞 崔 瀁 田貴生 南乙珍 林先味申德鄰 曺義生 都 膺 成 溥 鄭 熙 李思之 金冲漢 金自粹李明誠 張安世 鞠 襦 鄭 地 金自進 金承吉 河自宗 金若恒趙 狷 閔安富 金震陽 文益漸 李釋之 范世東 趙 瑜 李 行孟 裕 申包翅 金若時 宋 寅 孟希道 陶東明 裵尙志 邊 肅安 省 李種學 潘福海 李遂生 閔 愉 林 卓 曺希直 鄭 溫郭 樞 趙鐵山 金士廉 蔡王澤 宋 郊 崔七夕 車原覜 韓哲冲金五行 徐 甄 李孟藝 李 初 具 鴻 朴世英 趙承肅 金 濟李 穡 李崇仁 成思齊 田祖生 朴宜中 白 莊 朴 翊 禹玄寶元天錫 程 廣 高天祥 高天祐 姜淮仲 朴 寧 徐仲輔 趙安卿朴 諶 李 致 趙 珙 魯 愼 金臺卿 曺大運 田祿生 柳 藩洪 魯 裵文祐 沈元符 崔安雨 高臣傅 許 徵 金英庇 孔 俯曺由道 崔文漢 許 邕 孔 㒚 田子壽 全 信 廉興邦 李 集申 晏 廉致中 車安卿 金光致 全五倫 安從約 朴 忱 蔡貴河閔普文 金承露 李攀桂 孟好性 許 錦 宣允祉 李養中 殷華尹盧俊恭 徐 輔 許 麒 朱興得 裵乙瑞 金振門 金光敍 全新民曺信忠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