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捴府副捴管陳武晟 贈資憲大夫戶曹判書兼知義禁府事五衛都捴府都捴管者順治四年五月十五日宣武原從功臣一等 依承 傳追贈[施命之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院宇重建記【乙亥】 後孫愉鐸昔我先祖岳隱武烈公當麗季杜門自靖固守罔僕之義與圃牧諸先生志同道合聞其風者有可以立懦而廉頑允爲百世之師表屢傳而錦溪先生繼出遭遇宣廟早登上庠曁壬辰之燹倡義旅從權忠莊公屢立奇功丁酉再役與姜公睡隱同時被拘羈縶異域而終始不屈適因天使回便得入上國講道武夷書院中耆老宿儒咸與酬唱稱公以海東夫子陳情上達皇帝若曰惟爾忠如祥節如武亟命返鄕慰爾思親之情因賜馬護送達于本國自上召對宣醞甚加獎諭此其貞忠大節昭載金石炳若日星凡有彝性者孰不尊尙也哉往在正廟晟際建祠于錦里以岳隱錦溪兩先生祔饗春秋二丁多士趨蹌行俎豆之禮高宗戊辰不幸有大同毀撤之令靈光不能獨存由是焉士林失依歸之地只有遺墟短碑略記事實而已不待百年公議更發相舊址而祠宇重建雖九野寒威之中一線陽脈終焉不泯尤可驗矣嗚呼祠宇廢興實關世敎之汚隆曩時毀撤非本裔之不幸乃士林之不幸今日重建非本裔之幸亦士林之幸也錦岳不頹錦水不竭則兩先生貞忠大節將與之俱存幸與不幸其亦剩語也惟幸後來諸彦體念先生之志講服先生之義則祠宇之永存其在斯歟勉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又【癸巳】 宋在晟【恩津人號述菴】竊嘗聞先賢之論曰道學衰而節義亡節義亡而國隨之節義之關係人國家若是其大矣故茍有貞忠大節扶植綱常維持世道者則朝家褒揚士林俎豆百世崇報而有所興起焉若羅州之居平祠卽其一也祠則咸平魯氏三賢妥靈之所也始創于正宗己酉以岳隱公諱愼錦溪公諱認腏享而行奠菜矣見撤于高宗戊辰至壬午因朝令設壇行禮粤五十五年甲戌士林重建棟宇不幸被回祿于庚寅兵亂翌年冬復重創而又以冠嚴公諱鴻追配後三年繼建經義齋于祠下以爲講堂蓋取諸天之經地之義之義也於是乎祠貌備具而尙闕記實之文齋任李翊相羅承昱本孫屬玟杓正根來請于余辭不獲爲之說曰夫祠宇之設不徒以襟紳躋蹌揖讓尊俎而已必也尊其人慕其德學其道而效其行然則凡入此祠而行其禮者只習於儀節乎抑別有所事乎不待贅言而諸君子必能辨之矣嗚呼岳隱公道同圃牧義秉春秋當鼎革之際獻靖勝朝固守罔僕之義以是爲家傳心法故錦溪生長其門克承厥義師事栗谷李文成公門當龍蛇之亂身爲賊俘而全節於虎口遇天使而立帝庭皇上褒祥忠武節入武夷而講道學華士稱海東夫子還本朝而陳復雪宣祖許古社稷臣聞二公之風者固令人有高山景行之思況冠巖公以﨣﨣武勇從遼東伯金公同樹大節於深河之役克扶尊攘之義者尤合抗大難則祀之之義也噫若三公眞可謂有是祖有是孫而家聲不墜矣是豈但三公諸後承之私自尊仰實有關於世道故畢竟有縟儀之擧迄今屢掇而屢復也此果非所謂朝家與士林共爲褒揚崇奉者耶然則今諸君子恒乎居經義齋而講服乎三公之貞忠大節爲平生尊仰勉慕之地則居平之義庶可得而又以使後來之居處是齋升降是祠者知所本末從節義而尤可向上平居而常從事乎經傳之中則安知倡明道學者不生出於是祠耶夫如是則是祠也大爲國家之耿光亦愚陋之所顒望而深祝者也諸君子勉旃勉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居平祠位置圖 居平祠位置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岳隱先生行狀 房貴溫【南陽人修撰】先生諱愼初諱哲字遂初號岳隱姓魯貫咸豊其始祖諱啓系出中國爲箕朝敷敎司徒食采於甲比【麗朝改曰江華】後世諱忠國入仕唐爲中郞將與卞尙書源盧翰林塢閔將軍叔洪尙書悅李太守釁呂司徒元董中郞燁爲八學士還仕于東帝命也麗朝有諱穆門下侍中勳封咸豊咸豊君是生諱夢弼官至殿中內給事是生銀靑光祿大夫諱仁厚登中朝制科賜紫金魚袋禮部尙書尙書是生平章事諱貫道封咸豊君諡文安公於先生爲曾王考也祖諱彰文典客令密直司事考諱汝姫寶文閣直提學贈同樞密院副使元至元丙子先生生於松京可助里氣宇卓犖志節淸高年甫七歲從提學公受史記至伊尹放太甲問曰臣可以放君乎提學公答曰有伊尹之志則可矣曰伊尹之志何如曰忠而已後日至夷齊叩馬而諫曰如此人可謂忠矣提學公由是心自奇之曰後日衛國保社者必此兒乎八九歲善屬文辭十二三能通經史十七八遂成鴻儒隱廣州別庄篤於事親以禮終喪從遊當時聞人李遁村李牧隱鄭圃隱吉治隱朴漁隱閔農隱金樹隱田埜【缺】諸賢爲道義師友每論經理忘餐達宵書示與國同休戚之說諸公曰國家板蕩之良臣匪子而誰逮恭愍王初以蔭拜監務歷遷正尹上護軍持心剛直與事無欺同朝皆重之及八年己亥紅巾賊沙劉關陷義州長驅陷西京大駕赴安東民心騷擾先生與我太祖及安侍中遇慶等同出奮擊太祖曰願諸君先登擊之於是整諸軍擊斬沙劉關斬首百餘級獲帶甲千餘太祖乘横雲鶻躍而踰城馬不驚跣衆皆以爲神遂平賊徒策一等勳十二年壬寅金鏞之亂又與黃贊成裳及我太祖收復京城策一等勳戊午與【缺】勸行洪武年號戊辰攻遼之日貽書將軍崔瑩明尊攘之義及太祖龍興與四十同志隱寶鳳山下掛冠杜門澡身浴井自號歸隱時金判書冲漢被竄於南原先生聞之寄詩有義距新王使忠全舊國臣【缺】吾歸底處却羨逐遐濱之句而乃決意遁歸歸咸豊采邑改名曰愼愼終如始之義又號以岳隱不忘松岳之意月朔登村後岳望哭松京四拜而下人名其岳曰月望岳及卒訃聞朝廷贈諡武烈剛强直理曰武執德進業曰烈【缺】鳴呼當時漁隱歸隱之徒鳳山四十餘人於今或不詳其爲誰而嘗見野史遺牒則歸隱是岳隱而亦四十中一也竊有興感于中者久矣謹按遺集益得其詳而觀【缺】閔農隱朴漁隱金樹隱田埜隱諸賢贈和往復之詩若書其志節炳如日星而藏在巾衍尙未刊行豈非仁人志士之所恨也哉嘗遺誡諸子曰汝事新國當如我事麗以故其長子諱成顔行縣監侍從咸吉道竟卒未還仲子諱希顔進士早卒季子諱有顔翰林翰林子諱得平舍人以文章名其耳孫若而人多不瑣錄若其六世孫諱懷明淸脩士也女歸于余余故習聞先生之風者不勝高山景行之慕略敍如此云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錦溪先生神道碑銘竝序 祭酒任憲晦【豊川人號鼓山】在昔穆陵龍蛇之役有一奇男子爲賊所俘間關顚沛萬死一生而孤忠大節聞於天下後世者錦溪魯公其人也於乎壯哉公天性剛果氣宇倜儻少學于羅參奉恒先問程朱之學羅公亟稱詡從金南塘遊師事栗谷李先生文章學業爲世所推年十七中萬曆壬午進士乙酉除別提當壬辰亂權元帥慄素知公膽略貽書招之公承父命赴陣幸州宜寧之戰屢立奇功丁酉公適歸家賊欲害公雙親公翼蔽乞全賊感其誠捨之而去聞天將楊元被圍於南原輕騎往覘道遇賊單槍奮擊會大霧四塞爲流矢所中頓絶方甦賊因之束縛以入日本欲自裁亦不可得抗聲奮罵七日不食猶凛凛有生氣賊異之不敢害翌年與同俘輩乘小艇夜逃旋被執賊露刃㤼降公少不變色但曰速殺我速殺我賊亦知其終不可屈而止公潛懷沼吳之志詳探賊情虛實山川險夷時有天朝間諜使林震虩至決謀同舟得到閩中徐宗師匡嶽一見而奇之薦入武夷書院與諸生講論小學家禮心經諸生咸曰先生海東夫子因軍門上催歸原情疏有云欲陳賊情於本朝修復雪之策上以洗廟社之恥繼以收雙親白骨於雨雪草莽之中言激甚激烈皇帝詔曰爾忠如祥爾節如武苦渡鯨波欲叫天閽其命貴得緊貴得緊使軍門都爺護送北京公途過魯昌平鄕拜孔聖廟己亥秋至京師皇帝又下詔稱之命兵部賜馬一匹使員外郞史汝梅護送渡鴨綠江旣還國宣祖大王特賜召對下敎曰爾自日本至中華而生還得全素節皎然本心天監所燭給馹還鄕公父母皆已沒於戊戌至是始聞之哀不欲生追服廬墓壬寅服闋除冰庫別提以將薦登勸武科除宣傳官又除所江節制甲辰與李統使慶濬擊破餘倭於唐浦有勝戰圖丙午上敎曰魯認持身淸勤每欲復讎抗陳奇策古有社稷之臣今爾近之陞資通政除水原府使丁未除黃海水使有去思碑時仁弘張甚欲奪公天賜馬公不許仁弘銜之枳塞甚力以致左遷群山公見光海政亂知時事無可爲病歸終老于羅州錦里天啓壬戌五月四日卒距其生嘉靖丙寅壽五十七葬于本州离屢谷面雉足村案山艮坐之原後多士建祠東衙村與公先祖武烈公同享公諱認字公識錦溪自號也鼻祖啓有商扶風人從箕子東來受封江華連三世掌敎至諱忠國入仕唐還歸新羅至諱穆高麗侍中封咸豊君仍以爲籍至諱愼上護軍佐我太祖再錄一等勳是爲武烈公公九世祖也曾祖諱自貞進士祖諱行權縣監考諱師曾贈吏曹參議妣淑夫人全州李氏配淑夫人濟州梁氏參奉琛之女墓祔雙封公忠孝根天在倭時饋以魚不食曰不知君親存歿何忍食此旣渡海猶不進珍饌華人義之曰朝鮮素稱文獻果然矣別進蔬果更製白衣冠而與之公常以不終養爲至恨築錦溪亭于墓下爲畢命松楸之計每遇夫日服素過哀躬執烹飪不委婢使曰人子於終身之喪不敢不自盡公與睡隱姜公沆同時被俘及歸以復雪策致書睡隱其答有南越王頭必懸漢北闕下西平公業再出吾東方人之語其期待綦重可知也公之在閩徐宗師贈白金及明宗錄院中諸賢各以歌詩送別命之曰皇明遺韻公詩文警絶爲華人所稱賞有集一卷刊行于世噫公早罹漆齒之難幾死殊域晚遭奸臣之詆罔展素蘊何其不幸也然呈身上都旣被皇朝之褒生還故國荐蒙聖主之嘉且公不過偏邦一士耳乃能躡孔朱之遺墟盡天下之壯觀與中國士大夫講聖賢之書使人益信我東之爲小中華又何其幸也幸不幸蓋有數存焉而公之英靈亦應幸其幸不以不幸爲恨於土中也公後孫聲鐸【改石璟鐸】奘鐸等來乞牲石之文氣義激昂託名爲榮不辭而爲之銘銘曰祥忠武節皇帝若曰古社稷臣大哉王言撮以爲銘炳炳萬齡過此墓者疇不式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斗南朴先生遺稿序 完山崔秉心 華陽宋子之門名賢達士彬彬出焉斗南朴先生以學問德行亦嗚一世今未三百年而遺文留墨散落殆盡可勝嘆哉然一臠而知全鼎一羽而知全鳳則以存者考之亦可見其學問之精踐履之篤矣以立敬爲本窮理爲先精通心近二書明於太極性命之蘊眞靈道器之分而性情心三詠及心說一篇尙傅於世矣至於引接後進則惟日不倦必使玩索義理而體之於身心焉其門人以四端理七情氣之說對擧而難之遂力辨云四端發於理者理無不善故也七情發於氣者氣有善惡故也其義不過如是非謂理先發氣先發耳無形無爲而爲主者理有形有爲而爲器者氣此雖石潭之訓而卽朱夫子之意太極雖爲陰陽之主而反爲陰陽所運用此雖師門之說而卽朱夫子之旨聖人起不能易君輩但當遵而勿失無或別生意見也先生學益進志益高華陽大書安貧守志靜裡乾坤八字而贈之以褒其賢及其歿也輓之曰洛建之書世等閑嗟君來讀水雲間如今卄載成陳跡一望南天涕自潛以寓痛惜之意亦可知矣後之觀此稿者必有同余之感者矣今後孫仁圭在源盡心收拾將付剞劂來謁弁文仁圭從余多年誼不得辭然病㞃幾隕神精喪漠艱呼數語而歸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刱建通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古阜鄕校通文【丙申】 儒生金甲載吳海謙等【五十二人】 右文爲通諭事斗南朴先生卽華陽宋子門人也其學問有淵源踐履有規矩心事正大固可爲後學之師表矣先生以立敬爲本窮理爲先整飭衣帶對越終日動靜無間表裏交修經禮史文以至歷代理亂人品高下無不就斯論斯尤長於春秋嘗言數萬文數千指大義只在尊周且精通心近二書闡明性理之奧矣至於引接後進則惟日不倦必使玩索義理而體之於身心焉其門人以四端理七情氣之說對擧而難之遂力辨云四端發於理者理無不善故也七情發於氣者氣有善惡故也其義不過如是非謂理先發氣先發耳無形無爲而爲有形有爲之主者理有形有爲而爲無形無爲之器者氣此雖石潭之訓而卽朱夫子之意太極雖爲陰陽之主而反爲陰陽所運用此雖師門之說而卽朱夫子之旨聖人起不能易君輩但當遵而勿失無或別生意見也先生志益堅道益高宋子曰樂善好義鮮與倫比又曰爲聖爲賢何所不可又大書安貧守志靜裡乾坤八字而贈之以褒其賢嗚乎先生守潭華相傳宗旨而牖後學者大矣此果不爲百世之表準歟噫有盛德必百世祀若先生者非其人耶井邑實宋子受命之地亦朴先生講學之所也其遺風餘韻至今尙在而溪山草木亦含光華則建築院宇奉安宋子以朴先生配享不亦宜乎故鄙等不量{氵+翦}劣玆敢布告伏願僉君子齊聲贊揚以至於有成之地千萬幸甚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全州鄕校答通【丙申】 儒生全中權李道衡等【四十人】 右回通事斗南朴先生沒數百年後而古阜儒林始發建院之議嗚呼其晩矣蓋先生華陽宋夫子門徒之傑然於南服者也先生以重厚之資持守甚確辭氣從容其爲學也立敬爲本窮理爲先動靜無間表裏交修經禮史文天序天秩以至歷代之理亂人品之高下無不就斯論斯尤邃於易學精於春秋大義心經近思之書誦不離喉太極性命之源靡不究極其性情心三詠又心說敬說可謂發明朱宋之大指也宋子嘗曰樂善好義鮮與倫比又曰心經今已精熟爲聖爲賢何所不可宋子之寄托於先生者儘大矣先生之歿輓之曰洛建之書世等閑嗟君來讀水雲間如今卄載成陳跡一望南天涕自潛噫先生學問之高明踐履之篤實實南服之士之從古今希覯而建院妥靈之論寥寥數百年間噫古今縫掖之士公議之攸存顧安在哉況井邑一區宋子受命之地亦朴先生講學之所則過者豈不咨嗟乎亟擧建院共享兩先生則爲世道爲斯文幸甚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羅州鄕校答通【戊戌】 儒生吳大善李鍾奭等【五十一人】 右回通事華陽宋子講春秋大義以明天理正人心爲究竟法及門諸賢多濟濟彬彬斗南朴先生亦其一也其學也居敬窮理其德也眞知實踐耳經禮子史歷代理亂莫不就斯論斯尤長於春秋嘗曰數萬文數千指大義只在尊周心近二書純熟如己言太極性命之蘊道器眞靈之分皆自胸中流出不但傳古人已成之言而已也嘗答四七之問曰栗翁吾邦聖人朱子後一人後學但遵守其議不可妄生異議也先生知道之難行固守東岡確乎有不可拔之志華陽褒以安貧守志靜裏乾坤及其歿也以詩輓之曰洛建之書世等閑嗟君來讀水雲間如今卄載成陳跡一望南天涕自潛可想其痛惜之至而于以見先生之賢矣富春之釣臺猶有嚴子陵之廟惟是井邑則宋子之受命處亦朴先生之講學地而建院之議發於二百載之後嗚乎其晩矣而可見公議之不泯矣亟擧遵奉永爲士林矜式之地則斯文幸甚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4년 민치현(閔致賢)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甲申三月日 光州鄕校 京任 閔致賢 鄭志榮 宋智默 李漢植 靈光鄕校 甲申三月日 閔致賢 靈光鄕校 광주광역시 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44_001 1884년(고종 21) 3월에 광주향교(光州鄕校)의 민치현(閔致賢) 등이 영광향교(靈光鄕校) 유림(儒林)에게 보낸 통문(通文) 1884년 3월 일에 光州鄕校의 閔致賢 등 4명이 靈光鄕校 儒林에게 보낸 通文. 睡隱 姜沆 후손들의 제반 烟役 雜役을 이미 조정에서 감하도록 하였으니 영광 유림은 靈光郡守에게 연역을 감해 달라고 요청하고, 이러한 사실을 全羅道 儒林에게 널리 알려달라고 요청하는 내용.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902년 이규순(李奎淳) 관고(官誥) 고문서-교령류-관고 정치/행정-임면-관고 光武六年十一月八日 李奎淳 光武六年十一月八日 高宗 李奎淳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1.0×11.0)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2년(광무 6)에 이규순(李奎淳)을 정삼품(正三品)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격시킨 관고(官誥). 1902년(광무 6) 11월 8일에 고종이 이규순(李奎淳)을 정3품(正三品)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격시킨 문서. 연호의 좌측에 '耆社時士庶年八十人覃 恩加資事奉勅'이라는 방서가 기재되었다. 이는 고종의 칙명으로 왕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가는 때에 이를 기념하여 80세가 되는 사람에게 품계를 내린 것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40년 강혁조(姜赫祖) 단자(單子)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庚申七月日 化民 姜赫祖 城主 庚申七月日 姜赫祖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5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13_001 1740년(영조 16) 7월에 화민(化民) 강혁조(姜赫祖)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단자(單子). 1740년에 化民 姜赫祖이 靈光郡守에게 올린 單子. 靈光 愽山과 雲提는 先山 宗垈로 박산의 西麓은 姑母의 산소와 睡隱 姜沆의 別室墓가 있는데, 乙卯年(1735, 영조 11)에 누군가 밤을 틈타 亭子 위에 偸標하였고 이후 여러 차례 呈訴하였으나 나이가 어려 法庭에 설 수 없어 지금 다시 정소하니 偸標를 掘移해 주길 요청함. *題辭(24일): 偸標人이 누구인지 찾은 후에 推問하여 處置하라고 명함.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이은(李垠)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十年庚子式 行郡守 幼學 李垠 道光二十年庚子式 靈光郡 李垠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2×7.2), 靈光郡戶口(흑색, 12.3×3.6)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40년(헌종 6)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은(李垠)의 준호구(準戶口). 1840년(헌종 6)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은(李垠)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은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동고개리(東古介里) 제1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4세 정유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51세 경술생이며, 본관은 분성(盆城)이다. 이은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