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47년 진만동(陳萬東)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十二年年五月日 陳萬東 乾隆十二年年五月日 英祖 陳萬東 施命之寶(10.0×9.8)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47년에 영조가 진만동(陳萬東)을 어모장군(禦侮將軍) 행(行)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로 임명한 고신(告身). 1747년(영조 23) 5월에 영조(英祖)가 진만동(陳萬東)을 어모장군(禦侮將軍) 행(行)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로 임명한 문서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89년 진방일(陳邦一)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五十四年月日 陳邦一 乾隆五十四年月日 正祖 陳邦一 施命之寶(10.1×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89년에 정조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충무위부사정(忠武衛副司正)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89년(정조 13)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충무위부사정(忠武衛副司正)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武兼仍資'란 방서가 있다. 잉자(仍資)는 유임을 의미한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掌令宅入納 鄭判書大容 伏惟仲夏。起居淸勝。區區仰慰。大容。賑政埀畢。歸思益切。他何仰聞。餘不備。伏惟下照。謹候狀。癸丑五月初一日。慶尙監司鄭大容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都事宅卽傳 柳快堂謐【府使】 積祖勢也。有時瞻仰。曷有其極。伏惟近熱。調候益勝。仰慰且溯。栢府新通。公議可見。爲之奉賀不已。以執事風稜。何有於是職。而勉君德。勵世俗。責任亦大。果不負朝野之相望否。方拭目而竢耳。間不無邪議。故隨處力言之。當言及於胤君矣。記下奉親粗遣。而種種憂冗。殆無展眉時。悶憐何狀。胤君雖日同城。不得源源。疑攄可悵。適有邑便。故不備狀儀。庚戌四月念。眷下柳謐拜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崖洪都事宅入納 宋彩雲欽書【牧使】 卽伏惟向熱。靜候動止。神衛珍毖。仰慰且洂。不任區區。記下病憊莫振。公擾且甚。悶苦何喩。卽見政目。則執事。入於臺選。知舊之心。欣賀曷勝。光衙書俄來。故茲以專送耳。餘姑不備。伏惟下照。拜候狀上。庚戍四月二十日。記下宋欽書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進土俊榮【改名俊謨】 百代吾家樂有賢。諄諄誘掖幾多年。薰陶德愛今難覿。幸有庭蘭典刑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淵泉奭周【左相文簡】 冉冉春將暮。素車欲何之。玉零閟精彩。松菊鎖軒墀。嗚呼醇雅姿。永作泉臺離。昔公遊庠餘。而我講業時。敎本聖人學。情篤懿親思。胸次洞古今。涯浚無點錙。詞場擅獨步。弱冠老成儀。敦睦一門倚。風範四隣推。盃酒棣華節。淸詞柳綠池。愷悌能直方。孜孜名行砥。洛中君子友。渼上祭酒師。迢遞漢水北。書釰足生涯。晩折彤墀花。寵命感恩私。一判璿源牒。三牌諫議司。淸朝得賢材。地望洽有基。未分漢廷竹。奄老洛社耆。秋風漳水疾。天意亦胡爲。藥裏關心地。碁書適我頣。憂國老臣淚。僕僕謝綸絲。顯秩秋曹陞。華啣紫府縻。高才惜未試。脩夜轉悽其。先哭數行文。復題一篇詞。蒿里緬以漠。此恨有誰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高參議益擎【參判】 小少交情老益新。大公氣味出天眞。高名王氏三場業。至恨長卿二竪隣。孝友家聲齊伯仲。經綸志業樂窮貧。餘慶方知遺後嗣。佇看福履謝庭春。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陳武晟爲折衝將軍行忠武衛副司勇者萬曆四十二年 四月初五日[施命之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23년 진무성(陳武晟)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仁祖 陳武晟 施命之寶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23년 5월 29일에 광해군이 진무성을 통정대부·행경흥도호부사로 임명하는 고신 1623년(인조 즉위) 5월 29일에 광해군이 진무성을 통정대부·행경흥도호부사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陳武晟爲通政大夫行慶興都護府使者天啓二年五月二十九日[施命之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계축년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丑四月日 城主 癸丑四月日 興陽縣監 官[着押] 3顆(6.6×6.6)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계축년에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 계축년 4월에 두원면(豆原面)에 사는 누군가가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문서 오른쪽 부분의 훼손이 심하여 누가 올린 문서인지 알 수 없다. 소지를 올린 사람은 임인석(林仁石)과 집터[家基] 거래 문제로 정소가 있었으나, 해결하지 않은 채 임인석이 그 땅을 김만철(金萬哲)에게 팔게 된 것이다. 그래서 임인석과 김만철 등을 잡아 집터 값의 남은 돈 11냥을 추심(推尋)하여 납세하도록 청원하는 내용이다. 이에 흥양현감은 초7일에 제사(題辭)를 내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6년 진달우(陳達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丙午式 幼學 陳達佑 丙午式 河東都護府 陳達佑 [着押] 1顆(7.0×7.1),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46년(헌종 1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 1846년(헌종 1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우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2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42세이다. 진달우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봉모(奉母)는 윤씨(尹氏), 양자(養子) 진원공(陳元公), 며느리 조씨(趙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祝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壇祀祝文 維歲次云云先祖考奉常大夫通禮門副使興陽君府君皇矣烈祖啓我後昆若根於木如水之源功而德而敢忘崇報載營祀壇用寓瞻掃雨露時濡僾乎將見 神其格思敬恭明薦以先祖妣完山郡夫人全州崔氏配食尙 饗維歲次云云先祖考崇政大夫門下贊成事府君顯允我祖承先垂後陵谷替代塋墓失守追慕無地來雲是悼義取傳後祀壇創造瓣香庻羞式禮罔愆 神其佑之於千萬年以先祖妣貞敬夫人文化柳氏配食尙 饗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通政大夫行龜城都護府使龜城鎭兵馬僉節制使陳武晟 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捴府副捴管者順治四年 三月 初六日禦侮將軍前行訓鍊院判官陳繼立考 寧國原從功臣一等 依承 傳封爵[施命之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47년 진무성(陳武晟) 추증교지(追贈敎旨) 2 고문서-교령류-고신 仁祖 陳武晟 施命之寶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47년 5월 15일에 인조가 진무성을 가선대부·호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하는 추증교지 1647년(인조 25) 5월 15일에 인조가 진무성(陳武晟)을 가선대부·호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임명하는 추증교지(追贈敎旨)이다. 연호 왼편에는 진무성이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1등으로 책록됨에 따라 추증해 준다는 사유를 적었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