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47년 강혁조(姜赫祖)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丁卯四月日 行郡守 幼學 姜赫祖 丁卯四月日 靈光郡守 姜赫祖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747년(영조 23) 유학(幼學) 강혁조(姜赫祖, 31세)의 준호구. 1747년 幼學 姜赫祖의 准戶口. *주소: ▣甲面 松亭里 第一統 第四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675년 오남매(五男妹) 화회문기(和會文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경제-상속/증여-분재기 康熙拾肆年乙卯肆月拾摻日 五娚妹 五娚妹 康熙拾肆年乙卯肆月拾摻日 五男妹 五男妹 전라남도 영광군 着名 5 1개(흑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40_001 1675년(숙종 1) 4월 13일에 5남매가 재산을 나누며 작성한 화회문기(和會文記). 1675년에 5남매가 재산을 나누며 작성한 和會文記. 부모의 상을 마치고 5남매가 田民을 平均分執하는데, 재산은 祭位條, 첫째 아들, 첫째 딸, 둘째 아들, 둘째 딸, 셋째 딸 그리고 셋째 아들의 제위조, 庶母, 賤庶母의 몫으로 나누었음. *참여자: 長子 妻 羅氏, 長女婿 鄭以周, 次子 姜䎙周, 次女婿 李翝, 第三女婿 羅應翼 *筆執: 外孫 鄭思道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79년 이복필(李馥弼)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五年五月日 李馥弼 光緖五年五月日 高宗 李馥弼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4×10.4)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02_001 1879년(고종 16)에 이복필(李馥弼)을 절충장군(折衝將軍) 행(行)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겸(兼) 오위장(五衛將)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879년(고종 16) 5월에 고종(高宗)이 이복필(李馥弼)을 절충장군(折衝將軍) 행(行)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겸(兼) 오위장(五衛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加設'이란 방서가 있다. 이는 관청의 정원 외에 임시로 늘려서 임명했다는 뜻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9년 이복필(李馥弼)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己卯三月初十日 幼學李馥弼 己卯三月初十日 李馥弼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02_001 1879년에 이복필(李馥弼)이 회시(會試)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 1879년 3월 10일에 이복필(李馥弼)이 회시(會試)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이다. 이복필이 회시를 본 당시 나이는 73세이고, 영광에 거주했다. 이복필이 본 회시는 같은 해 정월에 본 감시(監試)의 다음 단계 시험이다. 시험과목은 부(賦)이고, 시제는 '文王作人之效如春風和氣'이다. 성적은 '次下'이다. 명지와 시지(試紙)를 분할했는데 그 사이에 '七玄'이라 쓰여 있다. 이는 시권의 제출 순서를 의미한다. 본 문서는 '玄軸'의 7번째 시권이다. 문서 앞면에 '進士試 二等 第二十人'이라 적힌 첨지(籤紙)가 붙여졌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酬智圃。二首 郵筩相續吐心機。夢裡憑君問是非。覺來渾忘還如夢。悵望晴天雁獨歸。君家靑驄自大宛。驀山穿水渴龍奔。歸時轉覺詩囊重。倦踏斜陽細草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一亭 數間亭子告新功。瑞石雄奇盡此中。護得松筠村上下。界來山野路西東。雲烟呈態朝晡別。桃李關情老少同。自是平泉留後計。傳言花石永無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田齋。二首 居吾精舎鑿吾田。歸臥雲林樂更全。物外藏蹤惟適意。卷中有友可忘年。烟霞四壁堪爲主。風月孤亭不用錢。澹泊生涯須勿問。閑情何事愛憎偏。無才端合力耕田。其奈吾田是石田。磽确早知秋不穫。不如退學墾心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冠亭途中 雲天漠漠雨初晴。秋事西郊喜漸成。恠石層巖分色色。吟蟬啼鳥各聲聲。居民半是山中老。遊客多從峽上行。白鶴菴邊留宿約。一筇怳若入靑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任致和【昱】 別來三載。魚雁莫憑。結契後初事。安得不悵悵。卽於便中拜書。審秋冬來。體宇欠寧。兄我俱是衰暮之時。尤切同憐之懷。聞有出獵之行。其不至委頓可知。卽欲粧弓挾丸以趍於海山之間。而力不從心。向風流涎而已。弟亦去秋苦此證。而以蜂蜜見效。試之如何。三從兄大闡之後。可謂通泰。以其年陞六。已經臺銜。菊月尙帶實職。伊來無聞知耳。但其末女婚禮。尙未定知。是傷哉之歎。兄何不指示可合處乎。次豚之婚。姑未的定。撫念疇昔。私自悵然。但丈夫孫在傍。時時對乃祖供歡。八月隨去於渠母之覲行。昨日還來。而毛骨頗大。良慰良慰。伏枕呼倩。統惟照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倡義錄後叙。金容珣【龍湖】 蘆沙奇先生之門。有石田李公。余嘗論比於孔門子貢。以其列於四科也。以其有功於師門也。而其倡義勤王。政門勸讀。子貢之所未有焉。當其日。先生以詩以書而壯之。後又贈言之作。幷許其信義與文華與氣節。吁。何其盛也。今其孫博士光秀。裒輯倡義錄。臨摹先生遺筆。著之卷。又蒙義王殿下之文而弁其卷。此爲百世可徵。當時同門諸賢之挽誄。當日目睹宰相之傳記。至于今。各家叙述。闡揚節義。開卷瞭然。更無加論。而讀公之檄諸宗文。祭李尙書文。孰不扼腕叱咜而奮起也。嗚呼。今日何日。思公而不可得。只是掩卷太息而已。何天之畀之厚而試之薄耶。公之子承鶴。與余善。因書所感者如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倡義錄。李範圭【莞雲】 昔在宣仁之世。累經大亂。倡義之士。多出於湖南。其在壬辰。金健齋高霽峯數公。尤卓犖奇傑。偉勳壯烈。固已聞於天下。甲子适亂。辛公惟一諸公。及丙子虜亂。李公興浡崔公蘊之倫。皆沫血奮戈。以衛社稷。至先帝丙寅。法寇陷沁都。京師大震。吾宗潭州李上舍。首倡義旗。名震一國。噫。何其壯也。天畀忠義之性。獨厚於湖南而然歟。上舍諱最善。自號石田耕人。至德讓寧大君之後。世居潭州。早從奇蘆沙之門。踐履眞工。諸子莫先。對人有冲淡和順之氣。臨事有剛方幹辦之材。蓋當聞變之初。風馳雲合。泣赴勤王。提起烏合之衆。犯不測之强寇。惟知死於君父之爲急。赴百刃如騖。及其兵罷。入深遯荒。終身不出。推其志節。卽有昔人蹈海之風。雖功烈不得遂於一時。其秉義卓然。亦足暴於天下後世。詎不偉哉。公之樹立如彼。而事蹟旋晦於風雨冥冥之中矣。何幸義王親製。表彰大義。李寧齋申陽園。前後詳矣。豈偶然哉。余旣感公風烈之如昨。而往時涒灘。適一回矣。窃爲之俯仰流涕而書于卷。噫。其亦有知余之意也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高光善【弦窩】 光善。昔在弱冠。屢度得陪石田李公杖屨於沙上講筵。條爾歲月川流。蘆沙老先生及石田李公之棄後學。爲四十餘年之久。以若在後之沙石。僻處窮峽。病昏相謀。及讀李公丙寅洋擾檄義兵文。自不覺氣作中咽。輒掩卷歎曰。奮忠抗義。維持整頓之功。多出於草野書生。而不出於豢甘富貴之輩者。誠以其義理素定。忠憤自激。明於捍頭目之義也。學問之力。固不可誣。而使公九原作。則惟我宗邦。豈如今日之陸沈哉。遂書憤激于中者。如是云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滿月臺 幾處樓臺幾處門。風烟滿目客銷魂。山餘斷堞遊麋鹿。市隱遺民長子孫。鵑守空山昏曉哭。月窺仙枕古今存。莫言人事非前日。此地當年王氣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善竹橋 西遊書劒此經過。善竹橋邊漾綠波。歲晏龜頭春草沒。天寒鶴表夕陽多。靑衫一掬行人淚。白骨千年相國歌。凛凛英魂招不得。臨風悵望恨如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崔勉庵【益鉉】黑山匪所。見示韻 牛耳山光海上高。登臨遠客莫言勞。忠魂不死潮無息。知是吳門白馬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世濟禪者 讀罷金剛到故鄕鄕。人爭問爾行莊。德龍洞裡雲千樹。飛鳳山前月一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雨 秋竹寒聲夜雨傳。亂螢驚鳥過簷前。幽人卧占明朝興。添得溪流枕上連。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