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笏記 前一日有司掃除 祠之内外洗滌祭?牽牲 祠門 祭官具以常服省牲詣厨視滌漑合還齋所習有司設三獻官位於北面西上 設洗位東階之東南 爵洗在西盥在東祭日丑前五刻掌饌者入實饌具畢謁者引初獻官陞自東階㸃視陳設 諸執事先詣門外位 執禮及謁者贊引入就拜位再拜訖各就位 謁者引獻官及諸生就門外位 贊引引祝及諸執事入就拜位 再拜鞠躬 拜 興 拜 興 平身 賛引引祝及諸執事詣盥洗位 盥洗 各就位 祝開櫝 執事者詣爵洗位洗爵拭爵置於篚 捧詣尊所置於坫上 贊引引諸生入就拜位 謁者引獻官入就拜位 獻官及諸生皆再拜 鞠躬 拜興 拜 興 平身 謁者引初獻官詣盥洗位北向立 盥手 悅〖帨〗手 引詣 … 神位前 北向跪執事者一人奉香合一人奉香罏跪進 三上香 執事者以幣授獻官 獻官執幣 獻幣 以幣授祝 奠于神位前 俯伏興 次詣各位前每如上儀 俯伏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行初獻禮 謁者引初獻官詣尊所 北向立 執尊者擧羃酌酒 引詣神位前 跪 執事者以爵授初獻官初獻官執爵 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俯 伏 興 次詣各位尊所 北向立 執尊者擧羃酌酒 引詣各位神位前 跪 摯事者以爵授初獻官 初獻官執爵 獻爵 以爵授執事 奠于神位前 俯 伏 興 少退跪 祝啓簠簋 進獻官之左 東向跪 讀祝 俯 伏興 引降復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거평사지(居平祠誌) 居平祠誌 居平祠誌 居平祠誌 고서-기타 서원향교지 원문 居平祠誌 거평사지(居平祠誌) 1 半郭 有界 15行35字 주쌍행 상2엽화문어미 고흥 무열사 한국학호남진흥원 전라남도 나주시 문평면 동원리에 있는 금계 노인(魯認)을 기리기 위한 거평사의 사우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序 錦城西三十里强舞鶴山之趾居平鄕에有一祠하니卽錦溪魯先生認의獨壁妥享之所也而抑亦襲其號焉하야扁其楣曰錦溪爲者는確乎得域中搢紳章甫之駿發之議而始建于正廟戊申年間矣라然而至于純祖戊辰也에不幸見灰于回祿일세卽爲之重建以來者七年之甲戌春에士論이齊發하야躋享其九代祖武烈公岳隱先生愼于北壁而遜之하고錦翁則次于東壁而配之인데祠亦改之以此居平之扁者는蓋爲其避嫌於岳翁而取諸地名爲也러라仍以妥其享而爲依歸之所乎爾者迄于高宗戊辰之間則殆五十有餘年矣라不幸有大同毁撤之令而爲墟乃已하니誠可慨歎也로다十數年後壬午에以朝令으로設壇享之而至于五十有三年之久之甲戌也에盍其謀於後孫多士而鳩財劼力하야始得復設焉일세庶乎得士氣之復振이러니胡爲乎光復後庚寅에又復爲墟于燹擾之中矣라其爲於邑이當復如哉아乃於翌年辛卯冬에卽爲之重設而越二年癸巳에踵以創建一齋於祠之砌戺下陽明處하고扁以經義者는竊取諸胡安定講明經義於湖學之義也러라於是에以岳翁九代孫冠巖先生鴻으로追以配於西壁而安之焉하니라然而若擧其三賢翁行治能事之梗槩而言之컨데岳隱翁은以麗季鴻儒로志節이高尙인데與李牧隱鄭圃隱吉冶隱李遁村朴漁隱諸賢으로交以道義라恭愍朝에以監務로歷正尹上護軍하고己亥에與我太祖와安遇慶으로討平紅巾賊하며壬寅에又與我太祖와黃贊成裳으로討平金鏞之亂而恢復京城일세俱策一等勳하고戊午에請行大明年號하며戊辰攻遼之日에又明尊攘之義하고及麗運訖에與四十同志로掛冠杜門於寶鳳山이라가後歸于咸豊采邑而月朔每望哭松京이러니及卒에贈諡武烈하고錦溪翁은以倜儻不羈之姿로師事李栗谷而中宗壬午에中進士하고乙酉에以學行으로薦別提러니宣祖壬燹에從權元帥慄하야屢立功於幸州宜寧인데丁酉에被俘入日本而抗節不屈하고己亥에遇明使林震虩하야同舟而到閩中이라以徐宗師匡嶽薦으로入朱子武夷書院하야講論經學하고酬唱詩韻하니院中諸生이皆稱賞曰海東夫子러라是年夏에上催歸原情疏於神帝에有祥忠武節之稱之命而賜還本國하니宣祖有教曰得全素節에皎然本心이라하고又曰古有社稷之臣이러니今爾近之라하니라庚子에登勸武科하고甲辰에與李統相慶濬으로擊破餘倭於唐浦하니有御賜勝戰圖요丙午에歷水原府使하고丁未에又歷黃海水使러니未幾에以鄭仁弘所詆로貶于群山이라가光海朝에謝病歸鄕里하고冠巖翁은身長이八尺餘而體大過圍하고廣額方頤而面如斗髥如戟하며勇力이絶倫而韜略이精熟이러니宣祖壬辰에以權元帥薦으로除桃浦萬戶한데翁이卽整船而赴李忠武陣하야露梁大捷에錄原從二等勲하며增秩至訓鍊副正하고庚子에登武科라除臨淄僉使러니未幾에辭歸田里라가光海戊午에與金將軍應河와及同鄕壯士卞德馹로赴於中朝하야請兵渡鴨綠江하야入遼而深河之役에斬獲이甚多而戰久之餘에忽矢盡釰亦折이라竟與金卞兩將으로同死於節하니神帝幷祭金魯卞三將軍文略에曰秋霜大節이요白日精忠이로다身雖死於一敗나名不死於萬古라하고又曰五岳은可動이로되一節은難動이로다忠如將軍이요勇如將軍이요智如將軍이라하니라竊伏惟此三賢翁之挺生于咸平氏一家而後先也에德業之博洽과文章之浩瀰와忠義之堅貞은一是同串而若其展施於出處用舍之間者는雖不無異同이나然이나推其本則亦一揆也라以故로士林之景仰이若斗若山而爲依歸之所者殆積有歲月之久且遠矣라抑間於此而章甫之會之時多라咸曰祠不可無誌而古則但記其創與重建也와撤與復設也와且躋而壇而追而享之之時而已요餘皆散逸無存則無乃置之可也로되若今亦無誌則將何以備後日之無徵也耶아早圖之可也라하야以是有言者屢矣러니乃於今者에朴上東李承萬數斯文이適同任於祠中而岳翁後孫仁塾潤根炳祚洙昌四彦이俱是能事者也라相與之裒輯其三賢事蹟梗槩之顚末과及祠中將事儀節之若干하야抄而成一卷하야付諸剞劂氏할세謁余置一言于卷端커늘余老且病而謝筆硏이久矣라辭屢矣而不獲命하고遂略識其事實云爾로라光復後丙寅小春節後學坡平尹堯重謹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考亭正脈復斯東一部春秋萬古風精熟心經能聖哲淵深師弟闢群蒙慶雲喬嶽巖巖上白日靑天昭昭中方此式崇新廟日羹墻慕切孰無同 後學光山金在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黑夜支離曙色東士林先動慕賢風大書白日魯陽揭猶勝暮朝【缺】蒙韓國江山收復後檀箕日月照臨中兩翁行歷如明鏡詩稿爭投贊賀同 後學義城金光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魯陽院立古沙東追慕儒賢亦美風乾坤元理陰陽配晝夜精神日月蒙李杜文章千載後栗尤道學一心中每年香火春秋續四面衣冠會座同 後學瀛州李炳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建院慕賢聞我東滿鄕士友動仁風淵源千載無間斷稽古曾年有所蒙追憶先師涵泳下更看後學講磨中盛衰自有關於運天理循環今古同 後學彦陽金益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別紙 昔年所講心經今已精熟否當時病冗未得對討卒業常用茹恨也若於此書得力則爲聖爲賢何所不可顧此愧負一生爾筆墨各一奉呈以資箚錄昔年臨訪每不能忘卽見遞中書如奉譚晤慰何可盡喩此不善之積殃禍未殄亡妻之服才闋而又哭長女悲傷之餘喘息僅存而外食之患日月斯棘自料在世似無多日矣靜俟而已惠魚此地所無珍荷無已相見無期寒節加愛【戊午十月二十五日】鬼事日迫不料其相聞也忽於便中承拜惠書如奉談晤極慰孤懷仍審侍奉之安此時所望豈外於是來薧此地所無病胃有賴良謝比患泄痢倩草不宣謹謝狀○臘劑藥糖各少許略表【己未二月二十七日】得書極有慰然之意如使蘇長公見之則必撫掌以爲兒女情矣此間事欲言則長黙會斯可矣相見無期惟祈加珍病倩不宣【己未九月二十三日】某頓首再拜言思想常懸忽於匪意承拜惠書且奉賢胤謹悉比來興寢之候旣慰且感無以爲喩某疾病支離生意僅僅正以此時 召旨荐疊蹜蹙之狀難以名言時運不幸年事大失塡壑之期不遠而邇公私之憂曷有其極祥期已迫伏祝節哀順變以副遠誠謹奉疏伏惟鑑察不備謹疏○祝文筆墨呈上【壬戌八月二十三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別紙 靑春之遊白首相失憂病若此卽未哭几筵又未遂披宿草之計悔恨難忘耳哀何不思而妄執滅性千萬更加精思俯從禮制無負泉下遺愛之至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輓詩 洛建之書世等閑嗟君來讀水雲間如今卄載成陳跡一望南天涕自潛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華陽夫子簡帖跋【丁丑】 剛齋宋文簡公【稚圭】 斗南朴公世經我先祖尤菴文正公門人也公之後孫仁休自湖南之古阜齎公所得師門簡牘及大字數帒來尋舊誼其意甚勤余延見敍寒暄訖盥手奉閱其所齎者雖片言隻字間固有所感發人者而公之爲人與其爲學因亦可以想得矣蓋因材而篤是聖門敎人之法而程朱以來諸賢每以躐等爲戒於學者苟非公之篤志自修先生何以勉其精熟於心經而仍有得力於此爲聖爲賢何所不可之云耶公旣承此敎則其所奮勵尤當如何也且大字固有見逸不能全者而惟安貧守志四字亦可見期許之不草草矣此豈非後人之所不可不知者耶余方讀心經而衰頹已甚無復精熟得力之望玩繹此帖益愧其虛度壯年也遂略書感歎之意如此而仍爲朴君戒勗焉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7년 강재윤(姜載潤)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四十二年七月初二日 姜載潤 乾隆四十二年七月初二日 正祖 姜載潤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01_001 1777년(정조 1)에 정조(正祖)가 강재윤(姜載潤)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영릉령(行寧陵令)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77년에 正祖가 姜載潤을 通訓大夫 行 寧陵令으로 임명한 告身. *姜載潤이 通訓大夫 行 寧陵令으로 임명됨. *背面: 吏吏李之綱 *상태: 문서 우측 상단 일부 훼손.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4년 이형필(李馨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同治三年甲子式 行郡守 幼學 李馨弼 同治三年甲子式 靈光郡 李馨弼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3×7.4), 靈光郡戶口(흑색, 12.3×3.6)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64년(고종 1)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형필(李馨弼)의 준호구(準戶口). 1864년(고종 1)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형필(李馨弼)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형필은 영광군 묘량면(畝長面) 제22 창동리(昌洞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8세 정묘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규순(李圭淳), 이정순(李正淳), 이일순(李日淳)이고, 며느리[婦]는 진산강씨(晉山姜氏), 광산승씨(光山承氏), 나주임씨(羅州林氏)이며, 손자는 이민술(李民述), 손자며느리는 안정나씨(安定羅氏)이다. 가족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아들의 외조인 고만구(高萬九)의 직역과 이름이 작성되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8년 강재호(姜載浩)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嘉慶三年戊午正月日 行郡守 幼學 姜載浩 嘉慶三年戊午正月日 靈光郡守 姜載浩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798년(정조 22) 1월에 영광군에서 유학(幼學) 강재호(姜載浩, 4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准戶口). 1798년에 영광군에서 幼學 姜載浩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三統 第二戶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