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吏判良浩 直方持德盡天心。餘事文章冠士林。晩展溟鵬千里翼。云胡一疾竟沉沉。銀臺淸要郞殊思。山斗聲名聞九閽。後祿其廷應食報。成行秀出好兒孫。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正言宅入納 同上 此來歲周。聲徽渺然。日夕祗勞瞻懸。春寒尙峭。將攝起居。伏惟護安。嚮者恩資。雖知早晩間事。而系是異數。此心爲之欣喜。已不可言。況復闔門榮感。將何以報答萬一耶。馹召已下想。必華旆入京。而滯此嶺表。無由拜賀。豈勝悵往。族弟慈患危重。臨科束裝。未免還停。胤君來京。而未卽相見。可歎。聞欲入山。方此欣企耳。神思煎撓。下備。伏惟令察。甲寅二月旣望。族弟文榮拜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主簿執事八納 趙寅釆 卽承惠札。謹審夜來。直候萬勝。慰賀區區。陞叙之典。仰認御者。惶感之極。而僚末之特蒙陞六。寔出意外。伏不勝兢蹙之至。書末所示。旣出六之後。以直長持被。斷無是理。今日有開政之命。必得出代之事矣。閱朔作僚。倐爾分張。悵缺之懷。如何可喩。當一乘隙進穩。姑不備狀上。甲辰八月念日。僚末趙寅釆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持平宅入納 洪文榮 國有大慶。八域鼓舞。伏惟近熱。調中起居。不瑕有損。久未奉候。甚以爲悵。亦晩執事之無一字相問耳。胤君。相守漸久。益覺人品之非凡。有子如此。他復何憂。獻賀萬萬一麾旣難。鳥衣尙遲奉拜無便。令人悵然。渾室凡百。俱得安過耳。餘便忙。不能長語。伏惟下照。寬甫許去書。卽傳爲望。庚戌六月二日。族弟文榮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李馨福 生幷一鄕道亦同。百年交契托麻蓬。已知餘事文章藝。久仰居家孝友風。大小嵬科非僥倖。經綸素志樂貧窮。知申病未趍恩命。速奪悲懷訴上穹。一疾支離已十年。癯容骯髒最堪憐。神明扶護惟相待。萬事嗚呼忽九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僉正樂宰【改名義宅贈吏判】 我宗翁南坡子。簡易姿器揮然。志存文章大家。譽蔚士林群賢。八九歲童穉日。驚人語吐鳳聯。未三十弱冠年。孝友稱行義全。蓮榜桂籍通名。秋曹銀臺陞遷。事業於公快成。昌大我門嬋妍。十三歲二竪嬰。安素履志益堅。吾先子深推許。命小兒共周旋。非但敦睦有素。抑又遺訓不瘨。斯翁去後死悲。拜先君聲息傳。靑山四面白楊。落落親朋吾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注書致榮【正言】 追惟先誼傷心。小子登門幾佩箴。未布經綸綿一病。彼蒼之理渺難諶漢舘殘燈夜。蒼茫問藥人。吞聲心幾熱。提耳敎猶頻。璿錄新雖整。經綸未及伸。文章餘事業。忠孝寔無倫。位高才未展。一病奈艱難。謝事安歸後。遺香有一蘭。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82년 진상한(陳相漢)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康熙二十一年三月日 陳相漢 康熙二十一年三月日 肅宗 陳相漢 施命之寶(10.2×10.2)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682년에 숙종이 진상한(陳相漢)을 보공장군(保功將軍) 수문장(守門將)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682년(숙종 8) 3월에 숙종(肅宗)이 진상한(陳相漢)을 보공장군(保功將軍) 수문장(守門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壬三別加'란 방서가 있다. 이는 임술년(壬戌年, 1682) 3월에 받은 별가(別加)라는 뜻이다. 문서 배면에 고신을 작성한 병조서리[兵政吏] 김대준(金大俊)의 이름이 기재되었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계사년 소지(所志)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巳二月日 城主 癸巳二月日 興陽縣監 官[着押] 2顆(6.8×6.5)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계사년에 진달규(陳達圭) 등이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 계사년 2월에 두원면(豆原面)에 사는 진달규(陳達圭) 등이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문서 오른쪽 부분의 훼손이 심하여 여러 사람의 이름이 보이나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내용은 산송에 대한 것으로, 산소를 투장한 김지연(金至淵)에게 관에서 2월 14일까지 이굴(移掘)하도록 했는데 기한을 넘겨도 지키지 않았기에, 김지연을 잡아 그 죄를 묻고 굴이(掘移)하도록 청원하는 내용이다. 이에 동월 18일에 '김지연(金祉淵)을 잡아올 일'이라 제사(題辭)를 내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진달우(陳達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癸卯式 幼學 陳天錄 改名 達佑 癸卯式 河東都護府 陳達佑 [着押] 1顆(7.0×7.1),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43년(헌종 9)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 1843년(헌종 9)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우는 진천록(陳天錄)이 개명한 이름이다. 진달우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9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39세이다. 진달우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봉모(奉母) 윤씨(尹氏)가 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8년 진행조(陳幸祚)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표 光武二年二月日 慶尙南道 河東郡 陳幸祚 光武二年二月日 河東郡 陳幸祚 河東郡守之印(2.8×2.5), 河東郡印 略1/2顆(4.4×2.4)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98년(광무 2)에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 1898년(광무 2) 2월에 경상남도(慶尙南道)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이다. 진행조는 경상남도 하동군 마전면(馬田面) 전도동(錢島洞) 제16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8세이며, 본관은 여양(驪陽), 직업은 농업이다. 진행조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동거친속(同居親屬)으로 어머니 서씨(徐氏)와 처(妻) 박씨(朴氏)가 기재되었다. 이외에 가택 현황도 기입되었는데, 3칸 초가집에 거주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唐浦勝戰圖後 魏伯珪【長興人號存齋官玉果縣監】此圖藏在於宗裔蠹篋而爲子孫者亦未曾記認近於壬午年間始得搜出故公之行狀未及入錄考之杞宋旣如此況可望垂之竹帛也哉甲辰之後經過幾甲辰耶兵燹之殘蟫蠹之剩而一幅丹靑宛如昨日旗旝飄拂劒箭相雜龍雀四圍虜艓孤窮千斤鳥卵勝鼓殷天摩挲以手不覺瞋目當時畵圖以傳夫豈偶然獨惜乎龍蛇之亂將軍不得登壇帶鉞而只以僻鎭褊將僅錄於鐵券之末勳當日雲中舊守寂寥無聞而畢竟坡嶺一死豈天將以完節付之將軍而世所謂勳爵不足多也耶噫伯珪以一杯濁醪劒歌於紙窓之下而空望唐浦雲水後千百載何可盡英雄之淚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遺墟碑文 趙重穆【楊州人〇奎章閣檢校】羅州之錦溪祠實岳隱錦溪兩魯先生俎豆之所祠之建在正廟己酉而始爲錦溪先生先故祠以錦溪稱純祖甲戌躋享以岳隱先生因地名改稱居平祠從輿論也猗盛矣兩先生道德文章忠節旣炳烺乎日星撑柱乎宇宙宜後學之尊慕而腏祀嗚呼祠院興廢有關世道汚隆竟未免戊辰大同之撤墟爲鞠茂今士林與本孫立石于遺墟而表之俾重穆以記之謹按兩先生行治始卒雖百尺之碑不可殫記而況名山之藏先賢之述備矣撮其便槪而言則岳隱先生諱愼字遂初咸豊望姓官正尹上護軍封咸豊君諡武烈蓋師友乎遁牧圃冶闡明斯學之正平亂乎紅巾金鏞再錄一等之勳勸行大明年號嚴尊攘之義逮至太祖龍興守罔僕之節改名誓志與趙松山齊登山望哭與閔農隱等寔麗末十隱之一也錦溪先生諱認字公識蚤捷司馬薦學行除別提登勸武科行隋城都護贈兵判蓋壬亂倡義贊劃元帥軍幕丁酉被俘持節于三年蠻窟講道閩中學士咸稱海東夫子陳疏天陞神皇特褒祥忠武節宣祖賜對嘉乃社稷之臣光海政亂未究沼吳之策於岳隱先生九代孫也所謂于孫貽謨于祖有光非耶昔程夫子銘顔樂亭水不忍廢地不忍荒嗚呼正學其何可忘斯可以銘斯碑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羅州鄕校通文 右文爲敬通事竊以作春秋而數十義理最大尊周撑宇宙而三五綱倫庸惇敍秩是以功存王室登麟閣之繪圖澤及民生饗牲櫑之芬苾匪今伊始在古猶然近接長興鄕校多士通章備悉冠巖先生魯公諱鴻實蹟胚胎前烈岳隱先生諱愼裔孫篤生故家軍資監正平國肖胤深韜大略早通習於孫吳英姿雄風己慴服於鄕里實稟間氣之鍾毓必建稀世之事功討倭酋於壬辰實贊中興基業驅匹馬於己未勇赴上國援徵奏大捷於唐浦前洋宣祖賜畵券隕將星於深河大樹神皇降誄文遺光被於海東大名徹於天下久闕報祀禮乃關士論之靡遑復設居平祠亶宜先生之追配矧於岳翁錦老于祖同義于宗有光惟玆典禮憲章以此可合以彼無欠竊惟本院執事亟擧斯文縟儀幸甚幸甚右敬通于居平祠儒林僉座下辛卯十二月日羅州鄕校典校 鄭琫采 鄭得采直月 鄭淳奎 李承奎掌議 鄭 榕【多士】林鳳圭李泰緒 鄭得采色掌 羅枰均 李承圭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院規六條 一先賢敬慕每月朔望焚香擔當齋任敬誠致齊厥明夙興盥洗具巾服看檢灑掃布席階下升自東階開門跪坐三上香降自西階就席再拜閉門歛席而出一院宇謹護本院棟宇墻垣若有毀損卽爲修理還元事院內栽植風壞枯損補植依舊院內外常要淨潔灑掃樵竪牧兒街童蕩子無常出入嚴禁事境內鷄豚犬羊等殺生禁止以示君子遠庖廚之義事一俎豆必誠春秋享祀擧行祭需物品節次則其惟天災時亂大變之外必遵傳來所定規模或以經濟代用省略不得事院任各以齊明盛服敬誠入齋莫飮過量嚴禁喧嘩抗爭事俎豆之禮依於笏記陳設圖遵行事一儀禮遵守三門日夜緊閉若有事時用左夾門出入者必具巾服事入齋時每思集義居敬之道惟以忠恕孝悌修齊治平交相規勵輕薄妄動浮華戱謔一切廢止事院任會以年序次雍容肅正提案協調詢議決行事相互秩然事一院任選擇擇道內儒林中年高德邵望重者爲道掌議道色掌各一人任期二年【或依院中形便再任】又擇本鄕中有德望敏事行者爲掌議色掌各一人任期二年【或依院中形便再任】選擇畢依左望帖例淨書專人送呈【或不得專人則特別郵送俾無沈滯遺失之弊】一祭官選定擇道內年德俱邵有儒望者選定獻官擇年少有文望熟儀節者選定諸執事選擇畢依左望帖例淨書專人送呈【或不得專人則特別郵送俾無沈滯遺失之弊〇每於享祀一月前選擇送達】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望帖書式一【用於院任選擇】用窓户紙【長用三分之一廣用全廣】 望姓名本院何職某年某月某日居平祠 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告由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壇祀前一日告由文 維歲次云云祭爲報本豺獸獺魚相物猶然矧伊不如禮重擧廢亦或義起恭性二祖實基吾李寢廟奉主四世而止先王所制曷敢違止尙有斧封瞻掃以時云胡喪亂曠失頹隳古碑没字誰信誰徵白楊青獐狐兔憑陵鬼餒若敖餘五百年春露秋霜怵焉愴焉睠玆普洞雲仍攸宅一氣流通將見衣舃山明水麗其佑我矣爰設壇壝宛上下只牲酒肥馨肇薦禋祀神理人情庸距遠邇於昭陟降休哉丕冒先事是式䖍告謹告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