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庚辰記事 四月初二日。日氣陰霾。閉戶終夕。與二三友。戱謔無常。寂寥中。少可自遣。而間或有輕出妄發之言。此亦平日不謹機緘之致。庶可嘿省。初三日。風日政不好。午前以閑談遣懷。夕時則心事自然多緖。思親戀弟之心。守身保家之念。交軋方寸。沈思嘿省。猝生廢科之意。不能自制。盖以抱負旣無可施。而草草場屋之技。不足終吾世。宜早耕山田。克羞洗腆之養。爲自家第一計也。反覆思量日入乃定。是夜能叔語余日。夕時吾子。似有不平之色。有所懷而然耶。因致勉戒之辭。政是自反。而存養處也。【時先生在京第。德以伯能仲任宜仲幼仁。從昆季。皆從先生遊。】初四日。卽先考晬辰也。明發轉輾。心緖悽感。遠想諸弟。展拜家廟。不勝追慕之痛。而後亦必有少一人之懷矣。因裁書攄思。以待信便。朝而對鏡見之。雖連日憫惱。而神色比前稍勝可異。金敎官正禮。伻人。問歸期。初五日。往尹參奉氷禧殿直所。半日叙話。歸露。抵竹洞李洗馬家。其舍人云。洗馬自直所方出來。請暫留待。故半餉延佇。終不來因歸。是夜。與二三友。論到古人作好說話。因念凡於辭令之間。貴致謹重。一室之內。兩人打話。雖無瞻視。可敬。而心之神明。天所鑑臨。則固不可以無聞而少忽。亦不可以無見而少慢也。言出乎思。而思者心。之動。則出言之間。可不反顧嘿省。恐䧟於隨窮之科乎。且或對人酬答。彼有不諒我語意處。則必欲强辨力解。以發我衷。而不自覺其聲高色露。有若務勝者然。此實中人以下人之大病。痛救之之道。何以則可也。曰忠信簡訒而已。且與人語。吾見是而彼見非。彼猶固執强解。必欲自勝而後已。則是時。固不可與交鋒。當待稍釋。徐思以解可也。若不能禁躁妄。必欲於席上。以明吾意之際。彼愈作氣。不能自解。則非徒無益於吾。反以增激於人。而吾之所自是者。乃與彼之所非者同歸。可不惜哉。知人固未易。而端雅安靜之人。則一見可知其內。每想金敎官正禮。眞可謂雅士。其詩若文。亦淸淡典雅。不爲流俗所染。得非存於中者。發於外而然耶。余有司馬同年之親。知面已久。而恨不得數年團欒。襲其餘芳也。鄭丈鍵知。訓鍊纘述之子。聞余膝無他憂。謂之好平生。盖以其長子府使益濟。仲子宣傳弘濟。相繼夭折。故其言如此。其情可云慽矣。十二月初五日。朝起。尺雪盈夜。寒冽肆酷。歸期未定。鄕路脩夐。益覺心事之欝結。洋中消息。久未得聞。每想東西齋。深夜讀書之聲。如有絃誦之風。而且其來遊者。皆如我之徒。惟以文字爲事。至於寒暑飢渴之念。一無關着。異日門戶之計。固是父兄之勉勗。而君臣之義。人之大倫。不可去者。則事君莅民之道。不讀古書。何以能之乎。初六日寒。夕時。鄭碩士晩濟。伻言。夜間。願有叙會。飯後到其家鎻門讀書矣。因與終宵談論。歡甚而歸。初七日。與伯能。論封建之制。此叔好古事。人家譜牒。歷代官制。及他稽古之事。輒欲詳審博考。與語。有先發端者。則嘉形於色。此亦儒者事甚佳。金敎官正禮。自溪湖入來。兩皆甚歡如也。敎官謂。書傳文義。多有未詳處。顧命之受同。秉璋以酢。甚可疑。同與璋。皆斟酒之器。而旣受同。有何秉璋。更酢之事乎云云。實器則列於西。侍衛則列於東。以殯在西。而新王在東之故也。出於註疏中云。麻冕之爲盛服與否。亦未可詳。大禹謨。不自滿假之假。疑列假文王假字之義云。吾意亦然。金敎官。眞佳士也。每見令人心悅。極可愛也。豈惟家庭擩染之深。天禀之美。誠不可誣也。初八日。往注洞。因與宜叔。偕訪宋斯文家。作湖行云。故未遇。其子方讀網目。而霍去病事。有可疑處。穿地蹋鞠重餘梁肉。有所問難。余爲說破去。其父湖行後。欲從余學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李伯溫。南崖壁上韻。 僑屋靑山計不違。伯溫還是舊玄暉。詩多鴈境渾憂樂。談少闇襟絶。是非晚樹生蟬誰共憶。遠湖逢鴈我應歸。須憑別語論出趣。從此南鄕欲掩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客中偶題 生年不惑是吾師。窮達誰非造化爲。黃卷心違當世策。青雲人半故鄕兒。閑中永日還嫌短。客裡高朋倍惜離。未老知非能事足。蘧瑗較我亦差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金參奉善之。【憙】獨坐韻。 書灰終日少牎開。無事方知景物催。廢院無人雲氣宿。遠山多木雨聲來。一年計拙新畬熟。四海憂深短髮擢。從此徜徉塵臼外。但敎明月護靈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吳大哉。渼湖舟中韻。 芳洲處處白雲悠。君自維楊此倚舟。帆影西林隨病鶴。棹歌南浦喚眠鷗。夜長天地負如夢。春盡湖山卧作遊。回首渼陂江月白。濯纓何日上書樓。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鄭奎煥【莆隱孫】 白頭慈父哭新阡。嗟愕難堪問子年。天上修樓文訖。否世中移墓事茫然。離親戀妹應遺恨。陪祖從他亦勝緣。爲向丹旌收淚語。二珠將見保靑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洪校理樂游【改名羲臣禮判翼靖】 天鐘奇才德又全。早年蓮榜晚桂聯。鄕隣矜式稱高士。臺閣風稜備諌員。莫道文章得力大。終知基業自先賢。十年沈痼公何恨。望八邵齡去作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金郡守順行 萍水交情托晩契。每將偉器許夫夫。終南握別成千古。無路靑山奠一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徐拙齋粹貞 豊山高出石川長。天挻人英惠我邦。受敎家庭知孝友。着工經傳做文章。名高中歲充鄕貢。榮極明廷觀國光。不在一身溫飽計。將看九重贊襄方。爲官未施醫民手。當老還歸護病房。就養螟兒能盡職。扶持群季不離傍。風儀久待神明佑。消息飜驚夢寐忙。警咳今從何處得。春山執紼淚滂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吳碩源 簪合蘭如契晩親。原貪顔樂際昌辰。賢關儀表文章士。仙閣恩綸卧老臣。枕上片心懸北斗源頭一脉溯南閩。經濟未展身先病。悽兩山陽淚故人。問岡鳳已爲時出。秋樹蟬何吟蛻先。負得螟蛉佳有嗣。早年能繼舊氊靑。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81년 진상한(陳相漢)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康熙二十年十二月日 陳相漢 康熙二十年十二月日 肅宗 陳相漢 施命之寶(10.4×10.2)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681년에 숙종이 진상한(陳相漢)을 소위장군(昭威將軍) 수문장(守門將)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681년(숙종 7) 12월에 숙종(肅宗)이 진상한(陳相漢)을 소위장군(昭威將軍) 수문장(守門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辛十二別加'란 방서가 있다. 이는 신유년(辛酉年, 1681) 12월에 받은 별가(別加)라는 뜻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89년 진방일(陳邦一)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五十四年月日 陳邦一 乾隆五十四年月日 正祖 陳邦一 施命之寶(10.2×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89년에 정조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충무위부사용(忠武衛副司勇)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89년(정조 13)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충무위부사용(忠武衛副司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武兼仍資'란 방서가 있다. 잉자(仍資)는 유임을 의미한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진천록(陳天錄)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庚子式 行府使 通德郞 陳宗輝 故代子 幼學 天錄 庚子式 河東都護府 陳天錄 行府使[着押] 1顆(7.5×7.3),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40년(헌종 6)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천록(陳天錄)의 준호구(準戶口). 1840년(헌종 6)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천록(陳天錄)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천록은 아버지인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가 사망하여 대신 호주로 등록하였다. 진천록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6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36세이다. 진천록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봉모(奉母) 윤씨(尹氏)가 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진천록은 1843년에 진달우(陳達佑)로 개명하여 준호구를 발급받았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7년 진행조(陳幸祚)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표 建陽二年一月日 慶尙南道 河東郡 幼學 陳幸祚 建陽二年一月日 河東郡 陳幸祚 1顆(흑색, 원형), 河東郡印 略1/2顆(7.3×2.5)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97년(건양 2)에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 1897년(건양 2) 1월에 경상남도(慶尙南道) 하동군(河東郡)에서 발급한 진행조(陳幸祚)의 호적표(戶籍表)이다. 진행조는 경상남도 하동군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 제16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7세이며, 본관은 여양(驪陽), 직업은 농업이다. 진행조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동거친속(同居親屬)으로 어머니 서씨(徐氏)와 처(妻) 박씨(朴氏)가 기재되었다. 이외에 가택 현황도 기입되었는데, 3칸 초가집에 거주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해년 김두(金枓)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丁亥四月二十四日 發文 羅州 幼學 金枓 興陽鄕校 丁亥四月二十四日 金枓 興陽鄕校 1顆(흑색, 7.0×5.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정해년에 김두(金枓) 등 17인이 흥양향교(興陽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정해년 4월 24일에 나주(羅州) 유학(幼學) 김두(金枓), 이수함(李壽咸), 나성오(羅性五) 등 17인이 흥양향교(興陽鄕校)에 보낸 통문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599년 진무성(陳武晟) 홍패(紅牌) 고문서-교령류-홍패 宣祖 陳武晟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599년(선조 32) 8월 3일에 진무성이 무과 을과 15인으로 급제하며 발급받은 홍패 1599년(선조 32) 8월 3일에 진무성(1566~?)이 무과 을과 15인으로 급제하며 발급받은 홍패이다. 진무성의 본관은 여양(驪陽), 자는 사규(士赳), 호는 송계(松溪)이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휘하로 당포해전에서 전공을 세웠으나 정묘호란 때 인조를 강화로 호종하지 못한 죄로 사형당할 위기에 처하였다. 인조가 정황을 듣고 진무성을 구제했다고 한다. 사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