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進士宅卽傳 洪恒齋樂性【孝安公】 非意。忽承惠翰。披審秋來。侍況安勝少慰積阻之懷。宗末夏間。哭長婦喪。慘痛忍言。身亦累經重症。蘇健未易。憫何憫何。荷此因便。委問如感。遠情之辛勤也。不宜式。庚子九月初五日。宗末朞服人樂性拜。省式。賢閤奄忽違世。承訃驚愕。不能已已。緬惟伉儷義重。悲慟沉痛。何可堪勝。仲春漸暖。不審尊服履何似。惟冀深自寬抑。以慰遠誠。宗末。京鄕路殊。末由奉慰。其於憂想。無任忡悒。謹奉狀。緬惟照亮。不宣謹狀。甲戌正月十八日。宗末樂性奉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進士宅回納 金三山履安【文敬公】 履安家禍。愈酷舍【缺。】奄忽棄背。痛苦摧割。不自堪忍。而轉眄之頃。先人祥禫。次第又過。情事哀廓。益無可言。代蒙荐賜辱札。慰問鄭重。區區不勝感涕。霜冷比緊。不審尊軆如何。履安董存。形殼無足喩者。一臨之敎。深所仰跂。而料期又近。似難作閑行耶。先牘謹受。竢移寫。當即奉還耳。不宣。伏惟不照。謹拜謝狀。甲午十月初三日。金履安拜上。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진두성(陳斗星)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乙酉式 行府使 幼學 陳斗星 乙酉式 河東都護府 陳斗星 行府使[着押] 1顆(7.5×7.2),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85년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 1885년(고종 2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두성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3세 계사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서씨(徐氏)는 본관이 달성(達城)이고 나이는 51세이다. 진두성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사항으로 아들 진행조(陳幸祚)가 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묘년 신사태(申師泰)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辛卯二月日 申師泰 等 雲院 辛卯二月日 申師泰 雲院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신묘년에 신사태(申師泰) 등 15인이 운원(雲院)에 보낸 통문(通文). 신묘년 2일에 신사태(申師泰), 신진록(申震祿), 송욱겸(宋旭謙) 등 15인이 운원(雲院)에 보낸 통문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계사년 소지(所志)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巳二月日 城主 癸巳二月日 興陽縣監 官[着押] 3顆(6.5×6.5)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계사년에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 계사년 2월에 두원면(豆原面)에 사는 누군가가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문서 오른쪽 부분의 훼손이 심하여 누가 올린 단자인지 알 수 없다. 내용은 산송에 대한 것으로, 이전에도 이굴(移掘)하기로 했으나 지켜지지 않아 김지연(金之淵)을 잡아 다시 죄를 묻고 이굴하기를 청원하는 내용이다. 이에 동월 초3일에 '김지언(金之彦)을 벌하고 잡아올 일'이라 제사(題辭)를 내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인년 류욱(柳旭)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庚寅十二月十▣(七)日 慶林書院 院任 柳旭 鄕校 庚寅十二月十▣(七)日 柳旭 鄕校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경인년에 류욱(柳旭) 등 5인이 향교(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경인년 12월 17일에 경림서원(慶林書院) 원임(院任) 류욱(柳旭), 허강(許杠), 이경헌(李景憲), 남규철(南圭喆), 하필용(河弼龍) 등이 향교(鄕校)에 보낸 통문이다. 송계(松溪) 진무성(陳武晟)의 충절과 업적 등을 널리 기리기 위한 내용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진방일(陳邦一) 초상화(肖像畵) 초본(草本) 고문서-기타-서화류 교육/문화-예술-서화 18세기 후반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진방일(陳邦一) 초상화(肖像畵)의 초본(草本) 종이에 채색이 된 진방일(陳邦一) 초상화(肖像畵)의 초본(草本)이다. 초상화는 진방일이 흑색 건을 쓰고 도포를 입은 좌상을 그렸는데, 아래 부분이 잘려나간 상태이다. 이런 형태나 형식은 18세기 양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초상화는 비단에 그리기 전 단계에 그린 밑그림으로 종이에 그린 초본이다. 이 초상화는 가전되어 오다가 19세기에 족자로 장황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8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戊子式 行府使 通德郞 陳宗輝 戊子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府使[着押] 1顆(6.7×6.8),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28년(순조 28)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 1828년(순조 28)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5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54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享祀笏記 謁者引初獻官點視【升降皆自東階】訖還出獻官以下諸執事及學生俱就門外位執禮謁者贊引贊者先入階間拜位再拜各就位【執禮位於東序西向贊者二人分立於西階下】〇贊引引獻官及學生〇入就位〇贊引引祝及諸執事〇入就位〇再拜〇贊者唱曰鞠躬〇拜〇興〇拜〇興平身〇贊引引祝及執事〇詣盥洗位〇北向立〇盥洗〇訖〇各就位〇【祝就東階上西司尊立於罇南北向】奉爵〇奠爵〇詣爵洗位〇洗爵〇拭爵〇訖置於箱〇奉詣樽所〇置坫上〇降復位〇祝〇開櫝〇仍啓籩豆簠簋【三位同】〇降復位〇贊引引獻官〇入就位〇謁者進獻官之左〇白有司〇謹具請行事〇退復位〇獻官及諸生皆再拜〇贊者唱曰拜〇興〇拜〇興〇平身〇行奠幣禮〇謁者〇引初獻官〇詣盥洗位〇北向立盥洗〇引詣武烈公岳隱魯先生神位前跪〇奉香奉爐升〇奉香奉香盒詣獻官之右〇奉爐奉香爐〇詣獻官之左皆跪〇獻官三上香〇奉香奉爐〇還置香盒香爐於故處〇祝奉幣篚〇詣獻官之右〇跪進獻官〇獻官執幣以授祝〇祝自左受之〇奠于神位前〇降復位〇獻官〇俯伏興平身〇次詣錦溪魯先生神位前跪〇奉香奉香盒〇詣獻官之右〇奉爐奉香爐詣獻官之左皆跪〇獻官三上香〇奉香奉爐還置香盒香爐於故處〇祝〇奉幣篚詣獻官之右〇跪進獻官〇獻官〇執幣以授祝〇祝〇自左受之奠于神位前〇降復位〇獻官俯伏興平身〇仍降復位〇次詣冠巖魯先生神位前跪〇奉香奉香盒詣獻官之右〇奉爐奉香爐〇詣獻官之左皆跪〇獻官三上香〇奉香奉爐還置香盒香爐於故處〇祝〇奉幣篚詣獻官之右〇跪進獻官〇獻官執幣以授祝〇祝〇自左受之奠于神位前〇降復位〇獻官俯伏興平身〇仍降復位〇行初獻禮〇謁者引初獻官〇詣武烈公岳隱魯先生尊所西向立〇奉爵奠爵升〇司尊〇擧冪酌酒〇奉爵以爵受酒〇謁者引獻官〇詣武烈公岳隱魯先生神位前跪〇奉爵詣獻官之右〇以爵進獻官〇獻官執爵〇以授奠爵〇奠爵自左受之〇奠于神位前西端第一坫〇奉爵奠爵降復位〇獻官俯伏興少退〇北向跪〇祝〇東向跪〇讀祝訖〇還置祝板於故處〇降復位〇獻官俯伏興平身〇謁者〇引獻官〇詣錦溪魯先生尊所西向立〇奉爵奠爵升〇司尊擧冪酌酒〇奠爵以爵受酒〇謁者〇引獻官詣錦溪魯先生神位前跪〇奉爵詣獻官之右〇以爵進獻官〇獻官〇執爵以授奠爵〇奠爵〇自左受之奠于神位前西端第一坫〇奉爵奠爵降復位〇獻官〇俯伏興少退〇北向跪〇祝〇東向跪〇讀祝訖〇還置祝板於故處降復位〇獻官俯伏興平身〇引詣冠巖魯先生尊所西向立〇奉爵奠爵升〇司尊〇擧冪酌酒〇奠爵以酌受酒〇謁者〇引獻官〇詣冠巖魯先生神位前跪〇奉爵詣獻官之右〇以爵進獻官〇獻官〇執爵以授奠爵〇奠爵自左受之〇奠于西端第一坫〇奉爵奠爵降復位〇獻官俯伏興少退北向跪〇祝東向跪〇讀祝訖〇還置祝板於故處降復位〇獻官〇俯伏興平身降復位〇行亞獻禮〇謁者〇引亞獻官〇詣盥洗位北向立盥洗〇引詣武烈公岳隱魯先生尊所西向立〇奉酌奠爵升〇司尊擧冪酌酒〇奉爵以爵受酒〇引詣武烈公岳隱魯先生神位前跪〇奉爵詣獻官之右以爵進獻官獻官執爵以授奠爵奠爵自左受之奠于神位前第二坫〇奉爵奠爵降復位〇獻官俯伏興平身〇引詣錦溪魯先生尊所西向立〇奉爵奠爵升〇司尊擧冪酌酒〇奉爵以爵受酒〇引詣錦溪魯先生神位前跪〇奉爵詣獻官之右以爵進獻官獻官執爵以授奠酌奠爵自左受之奠于神位前第二坫〇奉酌奠爵降復位〇獻官俯伏興平身〇引詣冠巖魯先生尊所西向立〇奉爵奠爵升〇司尊擧冪酌酒〇奉爵以爵受酒〇引詣冠巖魯先生神位前跪〇奉酌詣獻官之右以爵進獻官獻官執爵以授奠爵奠爵自左受之奠于神位前第二坫〇奉爵奠爵降復位〇獻官俯伏興平身〇引降復位〇行終獻禮〇謁者引終獻官詣盥洗位北向立盥洗〇引詣武烈公岳隱魯先生尊所西向立〇奉爵尊爵升〇司尊擧冪酌酒〇奉爵以爵受酒〇引詣武烈公岳隱魯先生神位前跪〇奉爵詣獻官之右以爵進獻官獻官執爵以授奠爵奠爵自左受之奠于神位前第三坫〇奉爵奠爵降復位〇獻官俯伏興平身〇引詣錦溪魯先生尊所西向立〇奉爵奠爵升〇司尊擧冪酌酒〇奉爵以爵受酒〇引詣錦溪魯先生神位前跪〇奉爵詣獻官之右以爵進獻官獻官執爵以授奠爵奠爵自左受之奠于神位前第三坫〇奉爵奠爵降復位〇獻官俯伏興平身〇引詣冠巖魯先生尊所西向立〇奉爵奠爵升〇司尊擧冪酌酒〇奉爵以爵受酒〇引詣冠巖魯先生神位前跪〇奉爵詣獻官之右以爵進獻官獻官執爵以授奠爵奠爵自左受之奠于神位前第三坫〇奉爵奠爵降復位〇獻官俯伏興平身〇引降復位〇行飮福禮〇祝詣尊所以爵酌正位前初獻酒置坫上〇進减正位前胙肉置于尊所卓上〇謁者引初獻官詣飮福位西向跪〇祝執爵詣獻官之左北向跪進獻官獻官飮卒爵〇祝受爵反于坫〇取胙肉進獻官獻官受胙以授執事執事受之降自東階出〇獻官俯伏興平身〇引降復位〇獻官皆再拜〇贊者唱曰鞠躬拜興拜興平身〇祝入少移籩豆各一於故處〇獻官及學生皆再拜〇贊者唱曰拜興拜興平身〇祝闔櫝〇行望座禮〇謁者引初獻官詣望瘞位北向立〇祝取祝版及幣篚降自西階瘞坎〇謁者進獻官之左白禮畢〇獻官以次出〇祝及諸執事俱詣階間拜位再拜以次出〇諸生出〇執事謁者贊引贊者就階間拜位再拜而出〇掌議率執事者撤饌闔戶而退〇禮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瞻謁儀節 士林有請參拜則居齋人具巾服自左夾門引導布席階下再拜若請奉審仍升階上開門而入謹嚴循位退出閉門但院中歷史等說話出門後敍事若參拜人無巾服則借用院內備置巾服雖緦麻之輕服在身者不許參拜奉審人姓名必無漏記載於奉審錄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錦城祠記(1) 嗚呼瀛州之普天鄕興陽李氏菟裘也自奠居以後至今數百載而其忠勲節義及仕宦之輔國庇家明如日星積德所發子孫熾昌爲湖南有?名族也追究厥祖有當女眞大亂力戰殉節諱陽升有勲封興陽君諱吉有議政府左贊成諱舒原有觀察使諱垠有府尹諡文敬公諱堰有牧使陞通政諱壽生有禮曹正郞諱之証有壬亂殉節諱永明有忠節諱繼宗有武科殉節 贈兵判諱檜有禮賔寺丙子倡義諱慶?有主簿丙子倡義諱坦此李氏之十二世顯祖也昔日宋朝呂伯恭陸務觀兩家有八代文獻而時人驚動傳之於天下後世況十二世澡佩名望者乎其仕宦之崇品非大文章大德人不得而諸貞忠大義又足以破九野之積陰或者一線之陽由是而復振歟顧此滄海横流三綱不振此專由於不知先祖之爲先祖之致也終日措囑而囂囂者不過計功謀利肥己潤屋之事而已由是先山之堂斧頽楸栢頳碑版仆若敖之鬼相望而餒矣惟李氏獨一心專注於追遠之誠霜焉露焉無非悽愴而怵惕羮焉墻焉亦是視於無形聽於無聲仍之竭心劼力索馬頭之角刮龜背之毛締構一祠不儉不陋輪奐得宜顔之曰錦城蓋因其山名也一門盡瓣香而俎豆之此報本追遠之道也竊想人之生也本於一一者何也祖也而孫萬是太極五行之理元來如此子子孫孫繩繩繼繼繁柯茂葉必成鄧林矣大抵先祖子孫本是一氣氣脈相通吾知洋洋在上之靈來格之陰騭之詩人所謂九如之休福必擧集于普天之下興陽氏矣后孫鍾道楨宇東河仲河諸君來請一記余素不文卧病辭之固而請之不已敢忘拙書之以答其懇荊公所譏佛頭布穢可畏辛亥蜡月上浣 南陽宋衡柱謹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