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묘년 송전옥(宋銓玉)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辛卯二月十四日 ▣院 發文 宋銓玉 雲院 辛卯二月十四日 宋銓玉 雲院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신묘년에 송전옥(宋銓玉) 등 17인이 운원(雲院)에 보낸 통문(通文). 신묘년 2월 14일에 경원(京院) 송전옥(宋銓玉), 신정태(申正泰), 송양희(宋陽熙) 등 17인이 운원(雲院)에 보낸 통문이다. 송계(松溪) 진무성(陳武晟)의 충절과 업적 등을 널리 기리기 위한 내용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계사년 단자(單子)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巳正月日 城主 癸巳正月日 興陽縣監 官[着押] 3顆(6.8×6.8)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계사년에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단자(單子). 계사년 정월에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단자(單子)이다. 문서 오른쪽 부분의 훼손이 심하여 누가 올린 단자인지 알 수 없다. 흥양에 진무성(陳武晟) 등 삼대 공신이며 관작이 있는 묘소가 있는데, 그곳에서 투장(偸葬)과 암장(暗葬)이 발생하였다. 공신 산소에 수년간 암장한 것을 밝혀내어 파낼 수 있도록 청원한 내용이다. 이에 동월 13일에 흥양현감이 판결을 내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7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丁酉式 行府使 通德郞 陳宗輝 丁酉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府使[着押] 1顆(7.2×7.0),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37년(헌종 3)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 1837년(헌종 3)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4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63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해년 안사눌(安思訥)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丁亥午月一日 南原 發文 幼學 安思訥 興陽鄕校 丁亥午月一日 安思訥 興陽鄕校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정해년에 안사눌(安思訥) 등 13인이 흥양향교(興陽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정해년 5월 1일에 남원(南原) 유학(幼學) 안사눌(安思訥), 최강범(崔綱範), 김인달(金仁達) 등 13인이 흥양향교(興陽鄕校)에 보낸 통문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5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乙酉式 行府使 通德郞 陳宗輝 乙酉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府使[着押] 1顆(6.8×7.2),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25년(순조 25)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 1825년(순조 25)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2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51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진달인(陳達寅)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癸卯式 幼學 陳達寅 癸卯式 河東都護府 陳達寅 [着押] 1顆(7.0×7.0),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43년(헌종 9)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인(陳達寅)의 준호구(準戶口). 1843년(헌종 9)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인(陳達寅)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인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대덕촌(大德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4세 경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송씨(宋氏)는 본관이 문경(聞慶)이고 나이는 32세이다. 진달인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告由文 㐲以 府君天姿卓犖早得明師門路端的頃聞胡冠賈勇赴敵擬童汪踦儲君之勗退而潛究史編經籍方馳康莊中折其軸吊以斯文遠近悼惜事去百年遺芬尙郁玆用衆論配腏先祠前期告由庶幾鑑斯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附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追報堂原韻 壇下構堂何所由後承思竊籍先休山云有塜誰證域水若無源詎望流蠲日苾香堙祀肇媚春花樹契各修終知續舊經新績永永於千萬億秋裔孫時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卷之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享定日 每年 寒食日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강안(講案)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사~계해년 8월에 강의(講義)에 참여한 명단과 서명(書名)을 기록한 문서. *상태: 성책(7장)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