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86년 진방일(陳邦一)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五十一年六月日 陳邦一 乾隆五十一年六月日 正祖 陳邦一 施命之寶(10.2×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86년에 정조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무신겸선전관(武臣兼宣傳官)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86년(정조 10) 6월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무신겸선전관(武臣兼宣傳官)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87년 진방일(陳邦一) 은사장(恩賜狀) 고문서-교령류-은사문 국왕/왕실-교령-은사문 丁未三月初一日 武臣兼宣傳官 陳邦一 丁未三月初一日 正祖 陳邦一 奉使之印(7.3×7.3)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87년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에게 웅어젓[葦魚鹽]과 밴댕이젓[蘇魚鹽]을 하사한 문서. 1787년(정조 11) 3월 1일에 정조(正祖)가 무신겸선전관(武臣兼宣傳官) 진방일(陳邦一)에게 웅어젓[葦魚鹽] 1급(級)과 밴댕이젓[蘇魚鹽] 1급을 하사하면서 내린 문서이다. 봉사지인(奉使之印)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4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甲午式 行府使 通德郞 陳宗輝 甲午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府使[着押] 1顆(7.1×7.3),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34년(순조 34)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진종휘(陳宗輝)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34년(순조 34)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1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60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9년 진두성(陳斗星)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己卯式 行府使 幼學 陳斗星 己卯式 河東都護府 陳斗星 行府使[着押] 1顆(7.2×7.3),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79년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 1879년(고종 16)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두성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7세 계사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서씨(徐氏)는 본관이 달성(達城)이고 나이는 45세이다. 진두성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2년 진종휘(陳宗輝)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壬午式 行使 通德郞 陳宗輝 壬午式 河東都護府 陳宗輝 行使[着押] 1顆(7.2×7.2),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22년(순조 2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 1822년(순조 2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통덕랑(通德郞) 진종휘(陳宗輝)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종휘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9세 갑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윤씨(尹氏)는 본관이 파평(坡平)이고 나이는 48세이다. 진종휘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으며, 진종휘의 경우 생부(生父) 진방석(陳邦碩)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천록(陳天錄)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진달인(陳達寅)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十年庚子式 行府使 幼學 陳達寅 道光二十年庚子式 河東都護府 陳達寅 行府使[着押] 1顆(6.8×7.0),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40년(헌종 6)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인(陳達寅)의 준호구(準戶口). 1840년(헌종 6)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인(陳達寅)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인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대덕촌(大德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31세 경오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송씨(宋氏)는 본관이 문경(聞慶)이고 나이는 29세이다. 진달인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인년 정덕선(鄭德善)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庚▣(寅)▣(十)二月十五日 忠烈書院 發文 鄭德善 等 鄕校 庚▣(寅)▣(十)二月十五日 鄭德善 鄕校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경인년에 정덕선(鄭德善) 등 10인이 향교(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경인년 12월 15일에 충열서원(忠烈書院) 정덕선(鄭德善), 윤태권(尹台權), 권용하(權用夏) 등 10인이 향교(鄕校)에 보낸 통문이다. 송계(松溪) 진무성(陳武晟)의 충절과 업적 등을 널리 기리기 위한 내용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답통이 글은 통문에 답변하기 위해 보내는 것입니다. 각 서원에서 보내온 말씀은 하나하나 잘 알았습니다. 고 판서 송계(松溪) 진무성(陳武晟, 1566~?) 공의 위대하고 장렬한 충열(忠烈)은 일찍이 탄복한 바입니다. 호남 선비들이 포장(褒獎)하자는 통문을 이미 돌렸는데, 하물며 우리 동향 사림들이 누군들 높이 받들려 하지 않겠습니까. 임진년과 정유년의 공훈은 생각해 보면 짝할 인물이 없고 일이 중대해지자, 고을과 관영에서 장계를 올려 임금께 전문(轉聞)되고 예조가 복계(覆啓)한 뒤에 추향(追享)과 별향(別享)이 판정될 수 있었습니다. 바라건대, 여러 존자께서는 근면하고 성실하여 힘을 다해 현창할 수 있기를 몹시 바랍니다.이는 충열서원, 신당서원(新塘書院), 경림서원(經林書院), 은열서원(殷㤠書院)의 통문에 답변한 것입니다.신묘년 1월 21일에 교임(校任) 류지찬·허술(許述)·강광정(姜匡正)·김성기(金星耆)·이동진(李桐晉)·구윤(具潤) 등 荅通右文爲奉答事 各院來諭 這這謹悉 而故 到書松溪陳公之偉忠壯烈曾所歎服矣 湖南章甫旣有奬通 況我同鄕士林熟〖孰〗不欲崇奉 而壬功丁勲思之寡儔 事繫重大 呈邑呈營 以至 轉聞 春曺覆啓然後 追 享別 享 可以判定 惟愿 僉尊且勤且誠 期於拔力揚處之地 幸幸甚甚右 荅 通忠㤠書院▣(新)塘書院▣(經)林書院▣(殷)㤠書院辛卯正月二十一日 校任 柳之燦 許述 姜匡正 金星耆 李桐晉 具潤 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服 黑團領【十一襲】黑帶【十一枚】儒巾【十四枚】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官 初獻官 亞獻官 終獻官 陳設 執禮 祝 奉香 奉爐 司尊 奉爵 奠爵贊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奉安儀節 前一日執禮率執事者掃除廟之內外設神位倚子於北壁下設卓子於倚子前陳設如式〇謁者引獻官升自東階點視訖還出〇執事者設卓子于講堂北壁下置新版其上〇又設別卓子其東置硯筆墨於其上〇執禮率諸執事及學生序立如門外位重行北向西上〇謁者贊引引獻官入就位如門外位〇善書者盥手就卓子前西向立題位版訖祝奉位版入置廟中北壁下倚子上南向〇執禮謁者贊引贊者先入階間拜位再拜就位【執禮位於東序西向贊者二人分立於西階下】贊引引學生入就位〇贊引引祝及諸執事入就位再拜【祝就東階上西向司尊立於尊南北向爵洗位在於盥洗位之東西向】〇贊引引祝及諸執事詣與洗位之南北向盥洗〇訖各就位〇奉爵奠爵詣爵洗位洗爵訖還置於箱奉詣尊所置坫上降復位〇祝升詣魯岳隱先生神位前開櫝出位版於座仍啓籩豆簠簋降復位〇謁者引獻官詣岳隱先生神位前〇奉香奉爐升〇獻官跪〇奉香奉香盒詣獻官之右奉爐奉香爐詣獻官之左〇獻官三上香〇奉香奉爐還置香盒香爐於故處〇謁者引獻官降復位再拜〇謁者引獻官詣尊所西向立〇奉爵奠爵升司尊擧冪酌酒〇奉爵以爵受酒〇謁者引獻官詣岳隱先生神位前〇奉爵奠爵隨〇獻官詭〇奉爵詣獻官之右以爵授獻官獻官執爵以爵授奠爵奠爵自左受之奠于神位前坫上〇奉爵奠爵降復位〇獻官俯伏興少退〇北向跪〇祝進神位之右執祝版東向跪讀〇訖還置祝板於故處降復位〇獻官俯伏興平身〇謁者引獻官降復位〇獻官及諸生皆再拜〇祝奉位板納于櫝閉櫝〇謁者引獻官詣望瘞位北向立〇祝取祝板降自西階瘞坎〇謁者引獻官出〇祝及諸執事俱復階前拜位再拜以次出〇諸生出〇執禮謁者贊引贊者就階前拜位再拜以出〇執事復入撤饌閉户而退〇禮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序 人於先世之有功德者思慕尊榮繼之以報食此蓋岀於至情之不可已者而至於己身之所從以出則其思尤切此世之名家大族所以往往起祠妥祖而鄕紳樂爲之助者也李氏冒貫興陽而爲姓者爲南州之鉅閥今其麗布濩入域而間就其發祥之地營建一祠以享其顯先而額之曰追報祠取追逺報本之義也乃後用地名改之曰錦城祠蓋起頭於麗朝衛尉將軍公而迄於李朝之梅谷公所享凡十三位而或以立節邦難功存社稷或以立德牖民德被鄕坊章章爲搢紳之公誦而旣未徹於天聼不得蒙朝家之命享則所以伸其私者只得岀於此計而已祠之建於今爲三十年改額爲十四年矣制完具備香火無愆一日後孫楨宇與楨允命車遠來示以祠誌曰將付剞劂氏矣子盍序之余謹受而考之十三位享祀顚末與夫諸家所以顯揚諸位之文儘井井有條赫赫可述嗚呼此可以公諸世也李氏之爲此擧豈止爲尊顯祖先之美而已亦可以鼓發子孫念修之思亦可以砭世人之不忠不孝者豈不懿哉余旣不得以終辭乃敢敍所感于中者如右以爲之序云歲壬戍七月 日 星州李栢淳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目錄 目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