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完山旅舍。憶朴仲本【纘赫】任士行。【昌祚】 黄山居士栗村生。曾與洪崖惠好行。贏馬松京千里貰。早雞枌杜五更聲。雲程異日同留約。雲舘今宵獨攬情。人涉卬否知有意。與君三月入春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吳進士燧 豊山華族文蟬聯。渼上源流有活泉。孝友淳眞鄕里服。文章卓犖士林傳。纔修實錄身先退。荐拜淸班病未痊。發軔長途終莫展。克家餘責付螟賢。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76년 진상한(陳相漢) 홍패(紅牌) 고문서-교령류-홍패 정치/행정-과거-홍패 康熙十五年三月二十一日 閑良 陳相漢 康熙十五年三月二十一日 肅宗 陳相漢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1_001 1676년(숙종 2) 에 진상한(陳相漢)이 무과(武科)에 급제하고 받은 홍패(紅牌). 1676년(숙종 2) 3월 21일에 한량(閑良) 진상한(陳相漢)이 무과(武科)에 급제(及第)하고 받은 홍패(紅牌)이다. 진상한은 무과 병과(丙科) 제11,326인으로 급제했다. 문서 배면에 '閑良 陳相漢 武科 丙科 第一萬一千三百二十六人'이라 적은 첨지가 붙여져 있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3년 진만주(陳萬朱) 고신(告身) 3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三十八年六月日 陳萬朱 乾隆三十八年六月日 英祖 陳萬朱 施命之寶(10.2×10.2)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73년에 영조가 진만주(陳萬朱)를 절충장군(折衝將軍) 행(行)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73년(영조 49) 6월에 영조(英祖)가 진만주(陳萬朱)를 절충장군(折衝將軍) 행(行)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崖令兄子敏。以新恩訪余於岬寺。以七絶五首志喜奉贈。愼松園師浚【直長】 文章聲價動南州。百戰荊場到白頭。得雋終看竪赤幟。從前落招作悠悠。十年閉户石崖中。今日榮光稽古功。今榜得人堪足詑。詞宗應屬亞元公。丹心已許立身初。溫飽區區意自疎。事到手頭須合義。應知得力在看書。三丁燭下幷驅心。渡灞昔來月岳深。長篴一聲生馬首。風流頓覺賁雲林。驪歌一曲隔雲泥。愁聽離鶯喚友啼。厚祿他時書斷否。吳州月色夢中迷。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疊前韻贈子敏。同上 孔明曾不棄崔州。豈帝麻斤作話頭。倘得朋來眞是樂。世間榮辱任悠悠。淸標宛對赫蹄中。近日應多秉燭功。判得自家康濟事。人間何羡作候公。殘雪騷騷臘月初。寒梅一樹影扶疎。閒中可惜空消日。祗自研朱點易書。雲泥不隔伯牙心。世路何論山海深。通塞榮枯元有命。莫敎鵬翼笑鷦林。秋雨長安十日泥。晨雞何處兩三啼。羊腸亦有康壯路。素履行時也不迷。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6년 진두성(陳斗星)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丙子式 行府使 幼學 陳斗星 丙子式 河東都護府 陳斗星 行府使[着押] 1顆(7.3×7.4),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76년(고종 13)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 1876년(고종 13)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두성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4세 계사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서씨(徐氏)는 본관이 달성(達城)이고 나이는 42세이다. 진두성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묘년 류환두(柳煥斗) 등 통문(通文) 1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辛卯二月十三日 雲院 發文 柳煥斗 ▣院 辛卯二月十三日 柳煥斗 ▣院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신묘년에 류환두(柳煥斗) 등 11인이 발송한 통문(通文). 신묘년 2월 13일에 운원(雲院) 류환두(柳煥斗), 정효도(丁孝道), 이진기(李鎭璣) 등 11인이 성원(星院)에 보낸 통문(通文)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묘년 류환두(柳煥斗) 등 통문(通文) 2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辛卯二月十三日 雲谷院 發文 柳煥斗 京院 辛卯二月十三日 柳煥斗 京院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신묘년에 류환두(柳煥斗) 등 11인이 발송한 통문(通文). 신묘년 2월 13일에 운곡원(雲谷院) 류환두(柳煥斗), 정효도(丁孝道), 이진기(李鎭璣) 등 11인이 경원(京院)에 보낸 통문(通文)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7년 진달우(陳達佑)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丁卯式 行府使 幼學 陳達佑 丁卯式 河東都護府 陳達佑 行府使[着押] 1顆(7.0×7.2),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67년(고종 4)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 1867년(고종 4)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달우(陳達佑)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달우는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3세 을축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김해(金海)이고 나이는 63세이다. 진달우와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진두성(陳斗星), 며느리는 경주이씨(慶州李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여양진씨(驪陽陳氏) 분재기(分財記) 단편(斷片)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경제-상속/증여-분재기 陳萬喆[着名], 田奉孝[着名], 朴受綗[着名]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68_001 여양진씨(驪陽陳氏) 분재기(分財記)의 일부. 여양진씨(驪陽陳氏) 분재기(分財記)의 일부로 떨어져 나온 문서이다. 이 문서는 서문과 본문의 내용이 떨어져 나간 상태로, 문서 작성 때 참여한 증인과 필집의 이름만 남아있다. 증인으로 참여한 사람은 가부(家夫) 동성 4촌(同姓四寸) 유학(幼學) 진만철(陳萬喆)과 가부 매부(姝夫) 전봉효(田奉孝)이고, 문서를 작성한 사람은 유학(幼學) 박수경(朴受綗)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이며, 1680년 진후평(陳後平) 처(妻) 정씨(鄭氏) 분재기(分財記)와 함께 보관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76년 진필한(陳弼漢) 홍패(紅牌) 고문서-교령류-홍패 肅宗 陳弼漢 고흥 무열사(2차)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76년 3월 21일에 진필한이 무과 병과에 급제하며 발급받은 홍패 1676년(숙종 2) 3월 21일에 진필한이 무과 병과 10,606인으로 급제하며 발급받은 홍패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 【興陽】閑良陳弼漢 武科丙科第一萬六百六人及第出身者康熙十五年 三月二十一日[科擧之寶]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