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重齋李公行狀 公諱昇雨字瑞仁號重齋慶州之李以新羅太師諱謁平爲得貫之祖本朝有承旨愛日堂諱天錫有掌令畊隱諱克平己卯禍從靜菴先生鵩舍而講學再傳有保閒堂諱郁文科吏議再傳有諱邦稷穆陵朝樹功于李忠武公幕生諱楳號林塢壬丙之亂從安牛山有義蹟至行源堂諱益坤特有物感之孝是公五世以上也高祖諱英浩號愼窩祖諱圭賢號敬庵連世有孝行考諱鍾燁號梧軒以文行見重於艮齋約齋諸先生妣扶安林氏其考栢也公以己卯八月六日生早年上學略涉經史事二尊人盡其心盡其力志物備養前後遭憂情文合禮得善居喪名旣葬以地不滿意傾家求之多年不懈屢度遷厝而得吉地尤篤於追遠之誠鼎俎烹飪躬自幹檢而必致致散之齊如見其所爲齊者友于十一兄弟斯邁斯征吹壎吹箎怡怡湛樂無愧於古之大被同枕其於族戚撫恤甚篤接朋友待賓客克盡其方務得歡心而自奉則儉約一生樂善好義自卑尊人愛山水娛琴碁風流弘長而尤酷好賦詩有請以同吟則趨之不後於人世値否塞奸臣寇賊猖獗橫行使天地易位山河改色公常歎曰彼賊在天有矯誣之罪在國有凶逆之罪在人有潰亂之罪宜其殄滅之無遺而擧世滔滔然趨時附勢不知羞恥而反以助之人而爲夷獸之行者多矣誰能不負孔孟所謂成仁取義之訓扶樹已頹之綱常喚醒己溺之人心耶且世皆以剃髮爲無害於義而爲便於養生此等人不知華夷之大防也噫公熊魚素辦於中雖經百危千險而竟能全髮可不偉哉近考鄭公艾山之言有曰一髮非適爲七尺之軀則豈專委氣數而不責於人乎人事盡則天必有悔禍之日今公之無事豈亦天之悔禍而爾歟己丑七月一日卒壽七十一墓梧樹案山同知谷甲坐原公有三配珍原朴氏泰德女祔公墓南陽宋氏弼燁女墓別在梧樹梅谷峴甲坐原坡平尹氏炳奎女尙今無恙皆有壺範尹氏生三男栢桓栢怙出系仲父后栢和栢桓男文熙元熙栢和男洛熙東熙餘不盡錄嗚呼公天資魁梧鬚髥極鬈望之儼然可畏而對之和而厚待人多溫恭之色處事無邊幅之飾而常曰大丈夫當容人不可見容於人此雖寥寥一言亦可見胸中之所蘊矣余於公素有先誼而又與其令弟演雨仲洪志同氣合無書不講無疑不質麗澤相資以爲永年莫逆矣遽然棄我而逝余自此絶絃而公亦不禁鴒原之痛仍推其愛於我間日相從傾囷倒廩前日之失於弟者今得之於其兄以此度了稍慰鄙衷而今亦幽明永隔天乎何令人至此乎自顧踽凉頓無陽界意況而今其過房栢怙與其族叔昌雨來請公狀德之文余雖不文俯仰今昔誼不可固辭故略撮錄大槪以爲考德者採擇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挽農窩權公 追記昔年床下拜德容偉行感人多孔仁孟義經綸大風雨乾坤矢靡他毁冠毁髮紛紛世是日潮洲卽隱仙請莫專稱東海老伊今又有此翁賢克家孝嗣能承志德學彬彬大振聲萬事不如賢子好人間榮耀日爭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宋氏烈孝韻 顧今綱紀羽毛輕雪積孤花獨得名特行時時多物化至誠事事感神明忠勳素是箕裘業烈孝又爲門戶榮且有肖孫能繼述公家此日大風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申氏明承齋韻 奐輪丙舍盡心成烈祖賢孫幷有聲奉盞敬行三獻禮臨齊能致二如誠勝區不讓膝王閣音樂模來帝嚳韺笑殺世人多忽此對玆寧不孝心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挽林君允卿 早年交誼老尤深如水如金且許心秋月春風相有約傾囷倒廩好聯襟可憐追逐百年期不料斷絃當此時自後會筵歎少一萬思無賴淚空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爲砥松林公記實 博帶峨冠世所稀師門遺法賴公依一宵奉話情無極千里相思魂欲飛講古言言合乎理對人事事察於機獨能鼓瑟知音少不展經綸老布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楊德文【柱赫】回甲韻 歲輪重到說弧辰彩舞瑤琴此日新淸是屈原居濁世智惟寗武等愚人海山遠地曾游學水石名區晩隱身修養何求方外術願言率性保天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离山上人回甲韻 下方世纍恐侵身早歲超然作上人三昧高時似吾道六根灑落淨無塵雖云此日沙門在應憶弧辰孝感新窃爲离山深望大引年不過養精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示家兒炳殷 謹愼持身能處世聿修厥德自乾乾朝耕暮讀無雙樂入孝出恭第一賢儉素御家先訓在敬誠承祭古書傳上人下己爲良德事事商量勿做愆追思先世稀遐壽賤齒于今八五年內外雙墳惟志願兒孫敎育特心懸治喪從俗無過晩用費隨家勿侈然素是人生天命在還慚吾死不于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續集【以原稿晩到續于此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汀記 九龍村在錦城山下蜿蜒餘麓環抱擁衛天設也種竹養松蒼蒼欝欝人功也所居主人號其燕室不取天設之奇人功之美而曰春汀者何主人之言曰春氣之和也汀水之小也余因此思之春氣和故能致萬物發育而天地位焉汀水雖小纍百歲閱千怯而不失先天之色潺潺瀢瀢遠達于海春乎汀乎事事主和如河南程伯子之有一團和氣修身也和齊家也和則將致治平之和不難矣效小汀而小心翼翼如思邈孫公所謂心欲小之敎於讀書也講學也孶孶矻矻終始如一復其本然之良心則是由學八聖之極功也主人之所取高且大深且遠而難言於人故發其端不盡其蘊歟此與齊等之取其一朝一夕所感所見而自號者不可同年而語矣噫昔華陽大老生於九龍村故九龍之名傳於後世主人乎顧名思義而擴充得去則安知異日主人之九龍不與大老之九龍爲魯衛耶是所顒俟主人謂誰高興柳晟氏表德道洪也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82년 정석량(鄭錫亮) 등 등장(等狀)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壬寅五月日 奉山面化民 鄭錫亮 等 9人 城主 壬寅五月日 鄭錫亮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着押] 7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2년(정조 6)에 화민(化民) 정석량(鄭錫亮)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782년(정조 6) 3월일에 봉화면(奉山面) 화민(化民) 정석량(鄭錫亮)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김흥재(金興才)가 투장(偸葬)한 묘를 파내어 가도록 엄한 처분을 요청하며 올린 등장(等狀)이다. 동래정씨는 자신들의 5대조 죽창공(竹窓公) 정홍연이 서울 회현동(會賢洞)에서 내려와 살았던 땅은 가지산(歌芝山)이고, 장사지낸 땅은 장두산(長頭山)으로 이 땅을 수호하고 금양한 것이 100여 년이라고 하였다. 지난 임진년(1772)과 갑오년(1774)에 금양 용호혈(龍虎內) 내에 투장한 일이 있었는데 관가에 고발하여 곧바로 파내 가라고 하였다. 그런데 지난 12월 사이에 또 그곳에 투장의 변고가 생겨 관가에 고발하였더니, '면임을 임명하여 투장자를 수색하여 잡아오라'는 제사를 받았는데 찾아내기가 어려워 지금 간신히 투장한 놈인 동면(同面) 하염소(下塩所)에 사는 김흥재를 찾아냈다고 하였다. 이에 김흥재에게 특별히 관차(官差;관청의 하급관리)를 보내어 투장자 김흥재를 잡아와 투장한 죄를 무겁게 다스린 후 굴거(掘去)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이에 영광군수는 3월 10일에 김흥재를 잡아가두고 독촉하여 파가도록 잡아오라고 제사를 내리고 주인(主人)에게 담당하게 하며 발패(發牌)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祠宇之圖 祠宇之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享祀位次圖 文忠公月塘金先生直講金先生 鷲巖金先生斜川金先生 龜巖金先生竹軒金先生 葵軒金先生支巖金先生 蒿巖金先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陳設圖 神位黍簋 稻簠鹿醢 魚醢 魚肺 肉肺芹菹 菁菹 牲 黃栗 乾棗 {王+表}杏燭 幣 燭爵 爵 爵香案香爐中門 中門 中門坫坫 樽坫坫 樽坫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禮服圖 巾儒 衣面後以黑麻布爲之 以靑麻布爲之大帶以白羅合而縫之衣背{月+素}襪以黃麻布爲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烈婦申氏碑 嗚呼靑春孀婦烈心所激殉節下從者考之往牒指不勝屈而朱子收輯孝婦烈婦之行爲稽古篇善行篇則特取蔡人妻之一醮不改及漢陳孝婦與曺文叔妻之守義全終以垂戒於天下後世其微意可不見歟河東鄭允基妻孺人申氏之一生所守所履可庶幾焉噫孺人高靈著族贈祭酒諱碩后濯休女幼有女德之稱及擇對而歸能盡壺儀隣婦觀感而多有化之者未幾年夫子有疾彌留孺人盡心救護至於嘗糞驗證祈斗願代而命也無奈時孺人年纔二十二痛哭罔極卽欲下從忽驚舅姑痛迫旋念重傷舅姑之心夫子泉下之目必不瞑矣抑哀寬懷進糜飮以慰舅姑遵禮終喪以未亡人自處不近華麗不冶容勤於紡績供其滫瀡每値先忌雖風雪必入海求錯以盡己誠及丁舅姑之憂歲月之制躬自預備無臨時葛藤持身端正口不出悖言雖責姪兒輩據義諄諄使之改革晩歲取從子會彦系夫后嗚呼延旣絶之嗣復旣覆之家無異藎臣之竭忠於國其可以藉手見夫子於地下矣雖讀書君子將十駕難追於乎休哉所后子會彦使此休蹟將圖樂石壽傳來徵其文余與孺人隔隣稔聞其奰贔之德行矣今讀同里人之薦狀又聞其夫弟宗孝之所傳益有所感敢刪煩撮要以答其懇然自顧拙筆非劉向之手不能揚徽於彤管是可恨也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烈婦李氏碑 嗚呼昔日南宋以上爲婦殉節者指不勝屈而朱夫子集寒泉篇只取宋女之不改令女之守義以垂戒天下後世然則靑春弱婦當晝哭者奚特以殉從爲貴哉嗚呼若密陽朴鍾鳳妻李氏之八十餘年氷雪守義可與右二女幷其璀璨而惜乎世無朱子也孺人月城著族女幼有淑德及嫁盡宜其家人之道不幸年廿八夫子以祟彌留孺人能竭黔婁叔謙之至誠及濱危亦用指血之注然命不回天天己崩孺人驚惶罔極萬死一生之餘念舅姑與幼孤失所依夫子之目必不瞑於泉下我若不任其任日後何以藉手見夫子於地下乃黽勉遵禮終喪以鉄石心肝益勤辟纑其於仰事俯育始終罔缺其幼孤長成出倫拔萃有名於鄕坊噫使孺人當日殉從烈則烈矣朴氏之門戶何以有今日哉較如垂亡之國有一介良相盡忠竭力保國脈於萬斯年於乎偉哉肖胤基柱以世非其世未蒙烏頭赤脚之曠典將圖啓碑之傳使鄕章甫丁敏秀來徵其文余實不敢而不勝彜性所感據薦狀而櫽括之使聞見者興動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孺人金氏紀蹟碑 昔朱子編集小學特取蔡人妻終身不改一節以垂戒後世偰循收輯天下三綱錄亦贊之有詩曰一醮獨能終不改靑編萬古有高名若慶州李相恩妻孺人金氏亦其人也孺人籍金海士人基重之女自在家素有淑德之稱及執笄而歸使舅姑安之奉君子宜之纔弄璋者二弄瓦者二而夫子有疾孺人竭誠救護靡不用極夫思非時之薰菜孺人入山彷徨天乎神乎幸得數莖如古孝子氷鯉雪筍之奇異盖妻之於夫子之於親其誠心所感則一也煑之以進有感有應然大命有局幽明永判孺人情不自勝欲自裁下從而視二子幡然曰三從之義今不在此耶寬抑自制辛苦終三霜而敎育二子扶樹門戶常以未亡人自處蓬頭垢面不叅隣婦宴席亦不頻往私家以禮終身其從容就義豈一時自裁之可比哉此與蔡人妻雖異世略相埒矣若使朱子在世必取之於小學之編而惜乎未也然一鄕章甫懼其久遠湮沒欲樹碑以表之使同人金絃求屬不佞爲文文固不敢而亦俱好懿之性者敢就薦狀櫽括如右以答其懇云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