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一氣魯陽出海東焚香上院古人風城寒樹老星霜久栢悅松靑雨露蒙心固安貧留巷裏義高凝血薦饗中千秋遺禮講磨地文武衣冠此日同 後學全州崔圭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魯陽山水最吾東新築院祠尙古風精靈所格神如在敬愛惟勤感遂蒙四面邱墟彩色裡百年孺子草心中入門多賀要康濟始事由眞竟必同 後學全州李元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魯陽院宇築山東濟濟衣冠尙古風克己正心從聖學安貧樂道厚恩蒙擇仁結誼成其本以義許心執厥中長使士林來會席相論志氣一心同 後學全州李元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楚山以北瀛州東此日奉安動古風事師獻誠多遺語誨人不倦大啓蒙學就心動勤怠裡道通形爲有無中經始三年功告訖千秋享祀四隣同 後學順天朴圭喆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82년 강문회(姜文會)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壬午十月日 彿甲面化民姜文會 姜仁秀 姜燦秀 城主 壬午十月日 姜文會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16_001 1882년(고종 19) 10월에 화민(化民) 강문회(姜文會)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상서(上書). 1882년에 化民 姜文會 등이 靈光郡守에게 올린 上書. 지난 6월 睡隱 姜沆이 吏曹判書에 追贈된 뒤에 그 後孫家의 烟還 등 諸般 雜役을 蠲除하라는 뜻의 議政府의 분부와 禮曹의 立案이 있으니 立旨를 성급해 주길 요청함. *題辭(19일): 만약 先儒의 후예가 煙役에 渾雜하였다면 이미 矜悶한데 하물며 의정부의 부분가 昭著하니, 영원히 頉給하고 다시 침해하지 않도록 명함.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1년 강영회(姜榮會)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咸豊元年辛亥月日 幼學 姜榮會 行郡守 咸豊元年辛亥月日 姜榮會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靈光郡戶口(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25_001 1851년(철종 2)에 유학(幼學) 강영회(姜榮會, 60세)가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1851년에 幼學 姜榮會가 靈光郡守에게 제출한 戶口單子.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一統 第四戶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부명당도(臟腑明堂圖)·정인명당도(正人明堂圖) 고문서-치부기록류-병록 鴻寶齊書局 곡성 이천서씨 서민수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上海 鴻寶齊書局에서 발행한 臟腑明堂圖와 正人明堂圖. 인체의 장부를 그려 놓은 臟腑明堂圖와 바로 누워있는 인체의 血자리를 그려 놓은 正人明堂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蘆沙先生手墨【丙寅倡義時】 上李進士行幰。承知赴義已有定日。時事論之。固天地初有之變。而以男兒素抱言之。未可謂不遇。願勉旃自愛。病人足不踰國。未能進身於中路。臨風送情而已。意多辭不能不縮。惟照諒。丙寅九月卄八。正鎭【頓首】。一近體效薄贐。金城秋色入離歌。持贈長鞭柰老何。宗姓宜爲編戶倡。橫經孰與揮戈多。但看壹月麗黃道。焉有男兒臥綠簑。客裏若逢賓雁翮。書傳漢水靜無波。奇正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四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0년 이현승(李鉉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同治九年庚午式 行郡守 幼學 鰥 李馨弼 改名 鉉升 同治九年庚午式 靈光郡 李鉉升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4×7.6), 靈光郡戶口(흑색, 12.3×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7_01_A00013_001 1870년(고종 7)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현승(李鉉升)의 준호구(準戶口). 1870년(고종 7)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현승(李鉉升)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현승은 영광군 묘량면(畝長面) 제17 창동리(昌洞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71세 경신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이현승은 이형필(李馨弼)이 개명한 이름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규순(李圭淳)이고, 며느리[婦]는 진산강씨(晋山姜氏)이며, 손자는 이민술(李民述), 손자며느리는 안정나씨(安定羅氏)이다. 가족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아들의 외조인 고만구(高萬九)의 직역과 이름이 작성되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聽村婆。三首 何事年年異去歲。春徵催火賣耕牛。家貧緩納非吾罪。未繅蠶絲盡八收。野市辦來一斗米。阿翁說道與君分。窮春計活餘官糴。兼輸牟糧未得耘。嗟吾尊舅老而病。冒雨今朝向本衙。縱乏衣糧猶復得。願言無罰早歸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慰村婆 誰知苛政猛於虎。溢目艱虞此一村。奉上休云心力盡。却將好福祐兒孫。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日 芳草和烟翦碧蘿。今年春事半經過。野路有人遊子少。山村無酒杏花多。香蝶紛紛如夢境。葩鵑處處八樵歌。吾儕空負淸明節。寒食來朝醉月坡。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石山李尙書【承輔】赴燕 無路持鞭問起居。情懷怊悵萬端餘。幾年復仗先君節。十月方乘使者車。玉館歌傳悲義士。金臺日落酹望諸。雁稀關塞秋聲晚。目送燕雲獨守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首夏。遊元曉寺 林禽山鹿己知心。一路逶迆轉入深。耳得泉聲迴細逕。眼隨雲影度遙岑。剌桐花老春如昨。蕉葉詩成夢有今。興到不妨林下宿。歸笻休道日西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族從奎永【槐陰】 維公庚降後我一年。而乘化先我。使滯留於世者。老益踽踽。豈咎於公哉。實由我凉德累及所厚而致然也。先兄視我。無異子姪。不以愚迷而揮之。自始學字。使之同業。寢則共被。讀則同案。諄諄誨諭。二十年如一日。顧惟菲薄不能自拔。辜負實多。公天姿開朗。智慮精明。幼而承襲家庭。長而服事蘆沙先生。益自策勵濯磨。大爲士友所推。諸經羣書。愈喜涉躐。文辭學識。淹博無滯。以至書札字畵。隨處捷敏。若不經意而就者。行己以恭謹勤厚。不失禮度。處事必周密慈詳。務歸至當。畵祭田而追遠。宗族稱孝。輕己財而急人。鄕黨服義。洋擾赴義之日。金城秋色之句。文華氣節之發揮先師之筆。赫赫如昨日。剸劇應變。公有其才。激濁揚淸。公有其志。苟使置之朝廷之上。足以發諸事業。而年命局之。三入薦剡竟不調。中歲一上庠。謂公有所成就。則亦淺之知公者也。迹公平生。於先生事靡不用極。而遺集之刋。公之心力殫矣。嘗汲汲於此役。而每言稍遲緩。同軰中人事有未可知者。孰謂才了役而有今日耶。兩家親塋移奉。俱在武靈地。曰知音里。曰德山。相距十里而近。知音里。卽公親塋。其完襄始終。遠近多傳誦。而莫非公誠孝中做出來。繼而墓表。得先生筆。顯親之孝。於斯爲大。節縮買田於德山近地。爲兩家歲一芬苾計。此是公之籌畫。而以每歲穀雨日有定期立規後。聯鞭而行才三年矣。未知開歲。其何堪獨行耶。秋抄嘗言。乘快馬遵大路。悠悠遠遠而去。是吾願也。其意象之超然。於此可驗其一端。而旣非其至言。歸之以戱謔而罷。孰謂今日反作實際語也。諷咏唱酬。聞一亭雲霞不改。陪話從容。澹對軒雪月依舊。其或逍遙徜徉於此耶。抑乘長風駕彩虹。如蘇長公所謂無所往而不在耶。未可知也。自惟蹇淺六十年追逐。出入相須。朝晡相接。責昏警惰。受益良多。以爲歲寒相守。未必非此公也。今焉已矣。自不禁老淚之血滴。日月不居。泉戶將扄。萬事已矣。賢胤年妙姿異。有志爲己。宗黨之望。士友之期不淺。惜乎。未見其成就而公歸太遽。此爲可憾。然吾亦豈久於世者哉。早晏厚夜相逢。當續此生未盡底好。而且以賢胤成就所自目擊者。詳細仰陳。以此慰公自慰。則未不昧者靈。尙克鑑此哀傷。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