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雜著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81년 진상한(陳相漢)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康熙二十年正月日 陳相漢 康熙二十年正月日 肅宗 陳相漢 施命之寶(10.2×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681년에 숙종이 진상한(陳相漢)을 선략장군(宣略將軍) 수문장(守門將)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681년(숙종 7) 정월에 숙종(肅宗)이 진상한(陳相漢)을 선략장군(宣略將軍) 수문장(守門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문서 배면에 고신을 작성한 병조서리[兵政吏] 안여수(安汝秀)의 이름이 기재되었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88년 진방일(陳邦一)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五十三年六月日 陳邦一 乾隆五十三年六月日 正祖 陳邦一 施命之寶(10.2×10.0)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03_001 1788년에 정조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충무위부사맹(忠武衛副司猛)으로 임명한 고신(告身). 1788년(정조 12) 6월에 정조(正祖)가 진방일(陳邦一)을 선략장군(宣略將軍) 행(行) 충무위부사맹(忠武衛副司猛)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연호의 우측에 '武兼仍資'란 방서가 있다. 잉자(仍資)는 유임을 의미한다. 국왕의 시명지보(施命之寶)가 안보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進士宅入納 金本菴鍾厚【掌令】 不謂。肯相從寂寞之濱。已大慰人。而從以覸其性資。有深可望者。庶幸與之磨礲相益。居然別去。又未卜後期久速。此必戀戀。豈爲姻戚之私哉。玆被手告。乃經歲音也。就承侍奉如宜新休滋至何喜如之。若區區春祀。惟在舊發大勇。擴充美志。而加剛植焉。使此衰陋。得以托歲寒之期爾。能知比意否。生吟病依昔。而親年益高。喜懼轉切耳。別時綠忙擾。不得攄胸臆。故因覆來書。略及之如右。統希亮會。己丑上元日。鍾厚大學。能加溫理而溯得所疑錄以相示。則亦一功夫也。如何如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進士宅卽傳 洪恒齋樂性【孝安公】 非意。忽承惠翰。披審秋來。侍況安勝少慰積阻之懷。宗末夏間。哭長婦喪。慘痛忍言。身亦累經重症。蘇健未易。憫何憫何。荷此因便。委問如感。遠情之辛勤也。不宜式。庚子九月初五日。宗末朞服人樂性拜。省式。賢閤奄忽違世。承訃驚愕。不能已已。緬惟伉儷義重。悲慟沉痛。何可堪勝。仲春漸暖。不審尊服履何似。惟冀深自寬抑。以慰遠誠。宗末。京鄕路殊。末由奉慰。其於憂想。無任忡悒。謹奉狀。緬惟照亮。不宣謹狀。甲戌正月十八日。宗末樂性奉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洪進士宅回納 金三山履安【文敬公】 履安家禍。愈酷舍【缺。】奄忽棄背。痛苦摧割。不自堪忍。而轉眄之頃。先人祥禫。次第又過。情事哀廓。益無可言。代蒙荐賜辱札。慰問鄭重。區區不勝感涕。霜冷比緊。不審尊軆如何。履安董存。形殼無足喩者。一臨之敎。深所仰跂。而料期又近。似難作閑行耶。先牘謹受。竢移寫。當即奉還耳。不宣。伏惟不照。謹拜謝狀。甲午十月初三日。金履安拜上。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진두성(陳斗星)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乙酉式 行府使 幼學 陳斗星 乙酉式 河東都護府 陳斗星 行府使[着押] 1顆(7.5×7.2), 周挾無改印, 河東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HIKS_A011_01_A00038_001 1885년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 1885년(고종 22)에 하동도호부(河東都護府)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진두성(陳斗星)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진두성은 하동도호부 마전면(馬田面) 전도촌(錢島村)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3세 계사생이며, 본관은 여양(驪陽)이다. 처(妻) 서씨(徐氏)는 본관이 달성(達城)이고 나이는 51세이다. 진두성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사항으로 아들 진행조(陳幸祚)가 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하동부사의 인장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引)이 찍혔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묘년 신사태(申師泰)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辛卯二月日 申師泰 等 雲院 辛卯二月日 申師泰 雲院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신묘년에 신사태(申師泰) 등 15인이 운원(雲院)에 보낸 통문(通文). 신묘년 2일에 신사태(申師泰), 신진록(申震祿), 송욱겸(宋旭謙) 등 15인이 운원(雲院)에 보낸 통문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계사년 소지(所志)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巳二月日 城主 癸巳二月日 興陽縣監 官[着押] 3顆(6.5×6.5)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계사년에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 계사년 2월에 두원면(豆原面)에 사는 누군가가 흥양현감(興陽縣監)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문서 오른쪽 부분의 훼손이 심하여 누가 올린 단자인지 알 수 없다. 내용은 산송에 대한 것으로, 이전에도 이굴(移掘)하기로 했으나 지켜지지 않아 김지연(金之淵)을 잡아 다시 죄를 묻고 이굴하기를 청원하는 내용이다. 이에 동월 초3일에 '김지언(金之彦)을 벌하고 잡아올 일'이라 제사(題辭)를 내렸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인년 류욱(柳旭)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庚寅十二月十▣(七)日 慶林書院 院任 柳旭 鄕校 庚寅十二月十▣(七)日 柳旭 鄕校 고흥 무열사 고흥 무열사 경인년에 류욱(柳旭) 등 5인이 향교(鄕校)에 보낸 통문(通文). 경인년 12월 17일에 경림서원(慶林書院) 원임(院任) 류욱(柳旭), 허강(許杠), 이경헌(李景憲), 남규철(南圭喆), 하필용(河弼龍) 등이 향교(鄕校)에 보낸 통문이다. 송계(松溪) 진무성(陳武晟)의 충절과 업적 등을 널리 기리기 위한 내용이다. 이 문서는 배접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