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濯熱圖 濯熱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蓼川主人奉開 君主蓼溪漁閒無事何不一過赤壁乎人間甚事爲碍者乎亦有甚於問平生往來之友者乎呵呵君在梅邊喪馬山翁頗已慣之呵不具辛卯九月十二日山斗頓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東萊義勇齋韻 磊落胸衿海嶽精。幸逢明主濟蒼生。雲臺圖像千秋在。麟閣紀功當日行。官胥士林同慕義。家尸戶祝不忘情。回首山河多曠感。風塵滿地誰能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佔畢齋先生 日者封章坐違收命日月所照無任惶縮榮壽之固辭不進非敢擬於自重勢有所不得已者孟子爲貪之訓未嘗不讀而親年益高喜懼交摯且不風自倒非朝伊夕雖欲承敎其於孝有不及之歎何哉先生責任擧人何處無賢良而誤及於無聞之漢耶前年惠贈警語在丌維新事親不誠未有忠於君誠哉是訓先生其或忘之歟罪惡不滅禍延先考老慈在堂此所謂報劉日短者豈敢悍然不顧傲然出頭哉恭惟我聖明主上治復中興德侔唐虞區區臣子之願豈不欲榮祿以養老親之餘年自量賤材百無一稱其於樗櫟終歲自棄者何伏願哀而憐之以全一片之野雲幸甚自餘只祝以時鼎福爲道增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佔畢齋先生 榮壽再奉復帖累違指敎得罪於先生極矣猥擬見斥之深又蒙惠慈引重再三手書還答撫存開納辭意珍重仰賀先生位愈高而心愈下也蓋小子賦性朴魯無所短長然區區用力自少於古人之學粗有得聞者豈不知外有君父之義內有母子之情切欲及明時效尺寸以報萬一之恩實平生之至願然其中亦有甚不得已者二焉其一則請敎門下以充其量其一則奉養老母以享天年若遂其志願涵養中和萬有一變其浮躁淺陋之習而學造高明廣大之域異日先生終不遐棄則或可以奉敎而不敢辭矣伏乞以時加護慰玆私懇之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從叔領議政 昨奉咫尺謝書先致慶問因以愚慮上瀆雅覽極欲負荊於石獸前以謝僭越之罪又蒙包惠還賜手札伏讀三歎有以見大德君子非小人之腹所能料也至於別紙賤姪之素志已定矣侍下情事一喜一懼記曰孝有不及悌有不時且大舜五十之慕老萊七十之養千古有訓每思到于此離側趨遠果非其時自顧量力朽散之木爲良工之睨視雖欲承從其於十手何況今內主中壺德配至尊外列卿相樞紐國秉海東桃李盡在我門榮華極矣門欄盛矣豈可枚擧無似備位竊祿以注世人之目哉故從前自甘服勞於畎畝而於富貴利達夢寐所不到也伏願鑑於前車審於用人則榮壽之所不及言者必有輕千里而告焉者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壁上詩【七歲作】 惟我天君謹奉立百體從令法嚴肅竭誠輔佐致中和天地位焉萬物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誡子詩 家世相傳何物業孝仁忠義禮廉節人間至寶孰如是宣用天下尙不竭其目布在經傳上循循收擧立眞實非眞似是害斯道精察去之如去疾主敬存心斯學道終身服膺不須失日新工課日常在下學成就躋上達一念有差百行誤蠻禽狄獸從何別怙功依勢凶難免勤學修道終得吉怠忽驕吝誰氏事滅身喪家由玆出溫良恭儉賢君子特立靑史無競烈我之所指洛陽道古今由者誰覆轍爾受吾誡傳不極保安萬世如今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昇王挽章 僊馭茫茫痛莫追▩▩▩▩▩▩▩風塵未洗無窮恥松柏猶含不盡悲魚水舊臣身已老雪霜冥道涕空滋丹心已竭扶顚策歸拜他時庶有辭【出潔城家藏舊牒下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五言絶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題 世事雲翻覆人情水淺深防巴長閉戶狎楚幾摧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松江步屧芳草洲還于棲霞小酌 湖海三年別乾坤一樣春榮枯君莫問俱是夢中人【寅城府院君鄭文淸公澈字季涵與公有特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棲霞小酌次松翁韻 春去星山野老居碧桃花落已無餘相思脈脈水南北咫尺方知千里如附原韻群仙聯袂訪仙居花發碧桃山雨餘勝事於吾已無分白頭回處意何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二 路入淸溪洞黃花白草間淹留不知返雲物類家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碧波亭 記得津頭路分明入往來江神應識我欲濟雨初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梁公【榮甫】 牀褥三年臥膏盲二竪嬰驢鳴猶有客何處是佳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浩歌亭謹次外舅雪江先生韻【柳泗】 曲欄依石壁壁下水縈廻怳爾登眞境漁笛一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赴茂朱倅之邀到召古音津亭申同年景恬携酒先到艤船相待登舟沿泝佳致甚多令孫君夢龍呼韻各賦一絶 把酒休嫌盞底深半酣應有短長吟舟中此日峨洋趣吾欲將之入古琴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