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徐希愼【徐時爲假都事】 平生自愧逐浮名屈意趍塵豈我情萬事不妨聊爾耳作詩何必要人驚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留別剛叔 公住蒼溪癖予歸溟海遙朱絃從此斷誰解煮鸞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剛叔 湖海老翁一光山佳客雙金盃君莫讓霜氣入南窓霜月得詩友管城頭免冠風生剛叔袖春入石川顔天開滄海月酒熟竹林尊深壑一燈靜高門萬馬奔貧離無所贈贈以洞庭香答我環琚佩光搖海月凉百慮漲胸臆頭輪相與齊治之無異術金盞照東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剛叔【丙寅春】 君自蒼溪至詩中含碧鮮松頭如見鶴爲報亦皤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留剛叔【辛酉在海南】 湖海茫茫似漏天留髠洗盞興陶然間關匹馬衝泥去何似窓前枕麯眠孤舟南海水連天韓魏如今視欿然借問韓彭几上肉何如吏部甕間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秋宵對敬伯酌 顚沛遐荒志不降浮生還付濁醪缸胡天草木黃關嶺塞地風煙黑郡江雲外斷鴻橫朔海燈邊孤客睡寒窓蕭蕭萬量悲秋意一暢空揮筆似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坐聞雞有感 楡林關外九秋凉叢棘圍中五夜長孤角遠搖胡塞月寒燈獨照海天霜殘眠不作黃粱夢狂韻空酬白石章坐待扶桑昇曉日何如起舞蹙劉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簡寄仲耕 秋雨蕭蕭落葉鳴【鳴或作聲】寒愁不寐到雞聲【聲或作鳴】遠書誰寄南天鴈孤枕偏隣北極星窓外曉江侵幌冷頭邊朔雪對燈明空將一筆論懷抱盡是思君不見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酌酒 今朝聊復笑吾生把酒悠悠倚北欞世上是非千日醉夢中榮辱一毫驚靑天明月渾閒事野馬浮雲豈是情吟罷小詩看落照門前江水自泠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水盤 至平者水難持者盈盈或不謹平斯傾念玆在玆如將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新㿻 凈我盥潔我沐舊旣革初乃復新又新日以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惡盈鉢 謙爲福滿則覆天之虧思之害尊而光小而大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無量盃 豈惟美色又有狂藥耗我情性長我淫慝無亂乃儀將之以德養其中和消其忿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順之奉復安求禮宅 遙戀之至忽承手札辭意慇懃披展再三森然如對益增嶺外之思僕以省覲歸鄕千萬意外特拜刑判下還措躬無所求死不得今方苦辭有以自處所示跋不可造次爲之而來使每求卽還督其受答愜我欲辭之意故茲末得副耳後當更與大柔議爲以竢貴縣人使絡繹更待若何然又有一說此跋甚重不可輕妄爲之始闕之何如無已則君可自敍受命刊行之始末亦不妨更細商量以示爲不緊之跋坐糜嵗月未得畢事輕重何如更詳之餘懷難旣謹此拜復己卯六月初四日淨頓追白國卿公今當下界屬此公爲之甚佳所伻報恩書未及見而來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天南書問絕草未生而相憶相憶與草俱生忽承書問十行益勤披展再三森如對案親接音塵慰懷如渴得解箇中高臥山縣時探南嶽幽勝讀書得趣益有所發如僕方將健羨之不暇將此虛殼以汨汨於緇塵終何有寸分渴耶旣遐辟又以離索自頹則誠非吾儕之所期各勉自盡而已京洛友朋皆無恙臘劑則僕不在得之之所未副爲恨餘冀冬寒清攝自重情抱難以筆札傳也姑以此拜復戊寅十二月十六日淨頓凍筆草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順之先生奉開 相隔之懷都勞往復云如之何這中高同贅家豚犬聞督簿校籍以出果否右兒不經禫事旣吉敢避乞姑限之禫前如何恐公不知故敢爾敢爾目前之急多般無地寒乞可笑如油紙席及笠帽一兩事眞梳四五枚幸付順來人何如欲送馬取京人來伴孤寂有故姑止之奉展難期悠悠奈何初秋晦日新齋荒草頓首銀脣幸分惠老母至禱至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佔畢齋金先生 微生愼榮壽謹齋沐上書于佔畢齋先生將命伏以榮壽才踈質薄素乏見聞家貧親老服事田畝然自省事以來竊聽於下風先生學述家庭蔚爲道統之嫡而士林之依歸若百川之歸海孰不執鞭供爐以勝警誨也顧此賤生生長遐僻繫以匏苽雖同鄕之士亦無切偲之益安知井蛙之偏遊於大海之上乎竊觀先輩之求師於萬里尙論千古況今幷世而神會者乎榮壽終無所同然之心哉尙賴天之靈孟子夜氣之一抹起發於大寐夢醒之際敢負笈因伋至此立雪雖晩坐春宿願泰山北斗之下盛德光輝萬一有得於親炙之間則受賜大矣伏願先生包容德量特下頂針千萬幸甚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佔畢齋先生 前月上書妄陳時弊幸蒙採納勸奬章甫復續絃誦蔚興文風庶見孔孟之道不墜在地所謂齊一變至於魯魯一變至於道者爲我南方指日可期也如榮壽之不敏至於湯之盤銘每圭復而不已也新者革其舊之謂也以沐浴其身洗去其垢形容改過遷善之氣像何等善喩也人性不甚相遠彼先覺者閑邪存誠乃復其初衆人則蚩蚩乃頹其網於斯二者可辦取舍求得於心而實體於行則何患不到聖賢地位然知而不爲是誰之愆榮壽近以侍湯硏理之業歸之無何而況一曝十寒者乎準擬開春束裝請敎爲計歲窮千萬只祝爲道貞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佔畢齋先生 指諭節節伏悚使榮壽不自料度冒昧直前亦只是誦說章句以應文具數而已何敢當先生之言乎生之孤陋無似不敢容易出脚洞門之外者蓋其自知甚審而只爲知舊間相愛過者好而不知惡誤相假借舞出受嘲之擧不意先生以卓絶藻鑑銓衡有道亦信虛譽以至上誤君父之聽有此望外之下敎濯手誦讀不覺汗背罔措生有老親早嬰奇疾朝夕不自保此非遠遊之時且無所長萬不膺命伏乞更加警策以安賤分幸甚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