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1년 신동근(申東根) 납입고지서(納入告知書) 고문서-증빙류-납증서 경제-세금-납증서 4284年10月15日 大韓成人敎育會扶安邑支部長 扶安邑長 辛泳東 申東根 4284年10月15日 辛泳東 申東根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51년에 대한성인교육회부안읍지부장 부안읍장 신영동이 신동근에게 보낸 납입고지서. 1951년에 대한성인교육회부안읍지부장(大韓成人敎育會扶安邑支部長) 부안읍장(扶安邑長) 신영동(辛泳東)이 신동근에게 대한성인교육회비를 납부하라면서 보낸 납입고지서.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1년 신동근(申東根)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四二八四年11月4日 扶安郡扶安邑收入員 申泳篤 申東根 四二八四年11月4日 申泳篤 申東根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51년에 부안군 부안읍에서 신동근에게 발급한 영수증. 1951년에 부안군 부안읍에서 호별세와 부가세 등을 받고 신동근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不審新正旅中氣候萬安伏溸無至族從親候粗安以是爲幸耳伏白細音事金拾兩席洞山訟之費出給都有司之領証受來殘金色租幷以返償累次督促今無一言半辭是何故乎如此則必有後日不安事以此下諒焉餘不備候上庚 正 旬 族從鍾仁拜(皮封)席洞齋留崔京先氏座下崔鍾仁拜函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을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수리하기(修理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乙酉三月 日 乙酉三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을유년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수리에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 을유년(乙酉年) 3월에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에서 전주 분동과 부안 석동재 등의 수리에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임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각파하기(各派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壬戌至月二十二日 壬戌至月二十二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임술년에 부안 전주최씨 문중의 각파에서 수입 지출 내역을 기록한 문서. 임술년(壬戌年) 11월 22일에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의 각파(各派)에서 지출한 내역을 정리한 문서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진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하기(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戊辰三月 日 戊辰三月 日 席洞齋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무진년 3월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지출한 내역을 적은 장부. 무진년(戊辰年) 3월 부안(扶安)의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에서 지출한 내역을 적은 장부(帳簿)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자년 석동재(席洞齋) 하기책(下記冊)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戊子正月 日 席洞齋 戊子正月 日 席洞齋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무자년 정월에 석동재의 지출내역을 적은 장부. 무자년(戊子年) 정월에 석동재(席洞齋)의 지축내역을 적은 하기책(下記冊)이다. 주로 문회(門會)의 식사에 들어간 비용을 기록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연중행사예산편성건(年中行事豫算編成件)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경제-회계/금융-회계기 戊午年 正月七日 戊午年 正月七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무술년 정월 7일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의 연중행사에 소요되는 예산을 편성한 문서. 무술년(戊戌年) 정월 7일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연중행사(年中行事)에 소요되는 예산(豫算)을 편성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이다. 세적록(世蹟錄) 중대단금(中代單金), 백원루 수리비, 제수용부족액, 향교의연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술년 류절재(留節齋) 금전수입부(金錢收入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戊戌九月 日 留節齋 戊戌九月 日 留節齋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무술년 9월에 유절재에서 작성한 금전수입부. 무술년(戊戌年) 9월에 유절재(留節齋)에서 작성한 금전수입부(金錢收入簿)이다. 원재(元齋)의 운영수입비, 세적록조 수입금, 백미 수입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추감기(秋監記)와 세적록책자분질기 등이 실려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진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재실답조출급기(齋室畓租出給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庚辰四月初四日 庚辰四月初四日 扶安 全州崔氏 宗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경진년에 부안에 사는 전주최씨 종중 소유의 재실답에서 거둔 조의 출급 상황을 기록한 문서. 경진년에 부안(扶安)에 사는 전주최씨(全州崔氏) 종중 소유의 재실답(齋室畓)에서 거둔 조(租)의 출급(出給) 상황을 기록한 문서이다. 곧 재실의 추수기(秋收記)인 셈이다. 이 추수기는 지주가 농업 생산과정에서의 여러 사항을 기록하여 경영에 만전을 기하기 위하여 작성한 문서로, 특히 소작인과 관련된 사항들이 적혀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지주는 전체의 경영규모와 경영방식의 현 실태와 변동의 추세까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소작인의 경제 실태까지 소상하게 볼 수 있어서 당시 농촌경제의 실태를 아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문서는 전주최씨 재실의 경영 실태를 잘 보여 준다. 문서의 첫 머리에 '齋室畓租出給記'라고 적혀 있으며, 이어서 매석(每石)당 이자조로 8두(斗)씩 거두었다고 하였다. 이어서 소유 전답의 지역별로 소작자의 성명과 그들이 낸 조(租)들이 차례로 적혀 있다. 석제(石堤) 임화중(林化中) 1석부터 시작하여 13곳 19명의 성명과 조들이 기록되어 있다. 출급기의 끝에는 재실답에서 모두 21석 3두 5합(合)을 거두었으며, 여기에서 1석 3두 5합을 제하여 출급 조는 총 20석이라고 적고 있다. 이 문서에는 작성연대가 적혀 있지 않지만, 출급기에 뒤이어 함께 점련되어 있는 제수물목(祭需物目)이 '辛巳三月十五日'으로 작성연대를 적고 있는 점을 참작하여 그 전년도에 해당하는 경진년으로 작성연대를 추정하였다. 그러나 경진년에 해당하는 서기연대는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8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석동재중물목기(席洞齋中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戊辰三月卄二日 戊辰三月卄二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8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석동재중물목기 1928년 부안(扶安)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석동재중물목기(席洞齋中物目記)이다. 1916년 물목기에는 제기(祭器)와 서적(書籍)을 검실(檢實 실재조사)한 물목기이다. 제기(祭器) 항목에는 목기접시(木器接匙), 목제반기(木祭飯器), 목갱기(木羹器), 목탕기(木湯器), 병좌(餠座), 공반(空盤), 칠반(漆盤), 시(匙), 식정(食鼎), 저(箸), 대증(大甑), 향합(香盒), 향로(香爐), 홀판(笏板), 쇄철(鎖鐵), 차일(遮日), 궤(櫃), 목기궤(木器櫃), 통궤(桶櫃), 자좌(子座), 노좌(蘆座), 측량판(測量板), 제반(祭盤), 석용(石舂), 연상(硯床)이 있다. 서적은 처사공파(處士公派)・처암공파(處菴公派)・참봉공파(參奉公派)의 가승보(家乘譜) 각 1건, 신편휘어(新編彙語), 사기(史記), 육선공집(陸宣公集), 제봉집(霽峯集), 눌와집(訥窩集), 석호집(石湖集), 연촌집(烟村集), 일재집(一齋集), 옹천집(甕泉集), 담허재집(澹虛齋集), 운강집(雲江集), 서학서도(小學書圖), 오현수언(五賢粹言), 삼강록(三綱錄), 대곡집(大谷集), 심원록(尋院錄), 만언분류(萬言分類), 여사서(女四書), 문안초이미편(門案抄而未編), 고대사군실기(高代四君實記) 등이다. 이 물목들을 인수인계(引受引繼)한 사람은 최전우(崔銓宇), 최병호(崔秉澔)이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