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8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석동재중물목기(席洞齋中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戊辰三月卄二日 戊辰三月卄二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8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석동재중물목기 1928년 부안(扶安)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석동재중물목기(席洞齋中物目記)이다. 1916년 물목기에는 제기(祭器)와 서적(書籍)을 검실(檢實 실재조사)한 물목기이다. 제기(祭器) 항목에는 목기접시(木器接匙), 목제반기(木祭飯器), 목갱기(木羹器), 목탕기(木湯器), 병좌(餠座), 공반(空盤), 칠반(漆盤), 시(匙), 식정(食鼎), 저(箸), 대증(大甑), 향합(香盒), 향로(香爐), 홀판(笏板), 쇄철(鎖鐵), 차일(遮日), 궤(櫃), 목기궤(木器櫃), 통궤(桶櫃), 자좌(子座), 노좌(蘆座), 측량판(測量板), 제반(祭盤), 석용(石舂), 연상(硯床)이 있다. 서적은 처사공파(處士公派)・처암공파(處菴公派)・참봉공파(參奉公派)의 가승보(家乘譜) 각 1건, 신편휘어(新編彙語), 사기(史記), 육선공집(陸宣公集), 제봉집(霽峯集), 눌와집(訥窩集), 석호집(石湖集), 연촌집(烟村集), 일재집(一齋集), 옹천집(甕泉集), 담허재집(澹虛齋集), 운강집(雲江集), 서학서도(小學書圖), 오현수언(五賢粹言), 삼강록(三綱錄), 대곡집(大谷集), 심원록(尋院錄), 만언분류(萬言分類), 여사서(女四書), 문안초이미편(門案抄而未編), 고대사군실기(高代四君實記) 등이다. 이 물목들을 인수인계(引受引繼)한 사람은 최전우(崔銓宇), 최병호(崔秉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