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判官公派位土錄扶寧面墨丁坪假, 一八七六畓一夜味二斗落結五負七束旧量号三四四東白南信畓 南川野澄生畓 西鄭元局田 北尹滋弼畓假, 一八八三畓一夜味七斗落結二十負一束旧号三四八東 路 南大森五郞垈 西東拓田 北尹滋弼畓壹, 一九二八畓二夜味八斗落結二十三負一束旧号三四八東金景玉垈 南 路 西 路 北東拓田幸安面 墨橋坪假地番八三?棠字一九九二畓一夜味六斗落結十五負七束眞番号七四四假地番三九七東姜夏壎畓 南 路 西辛亨錫畓 北辛亨錫畓新基里坪宜字一三九?畓二夜味六斗落結十八負五束眞番号五五三東李德柱 李泰玉畓 南李泰玉 李德柱畓 西金元道畓 北宋炳浩畓下西面晴月里坪催字七二六畓一夜味五斗落結十五負五束曦字七五二畓 四斗落結十負四束曦字七五六畓 四斗落結十負五束崔章洪 代崔秉浣 (指掌)麻田里坪環字一二五六畓四夜味二斗落結三負崔章洪 代崔秉浣 (指掌)上西面通井里坪五斗落結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술년 류절재(留節齋) 원재물품인계부(元齋物品引繼簿)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戊戌九月十五日 留節齋 戊戌九月十五日 留節齋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무술년 9월 15일에 유절재에서 작성한 원재물품인계부. 무술년(戊戌年) 9월 15일에 유절재(留節齋)에서 작성한 원재물품(元齋物品)의 인계부(引繼簿)이다. 전임 임원들이 후임에게 인수인계를 하기 위하여 작성한 장부이다. 인계인은 최전학, 최상렬, 최팔홍, 최병선, 최갑렬이며, 인수인은 최병철, 최판홍, 최병문, 최병순, 최정달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유년 부안 각문중분배기(各門中分排記) 고문서-치부기록류-원납기 경제-회계/금융-원납기 己酉二月二十三日 己酉二月二十三日 扶安 各 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기유년에 부안의 각 문중별로 출연할 금액을 분배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 기유년 2월 23일에 부안(扶安)의 각 문중별로 출연할 금액을 분배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이다. 부안의 각 면내 각 마을별 각 성씨별로 출연할 액수를 적어 놓고 있다. 따라서 이 문서에는 전주최씨(全州崔氏)뿐만 아니라 김씨(金氏), 박씨(朴氏), 오씨(吳氏) 등 부안의 각 성씨들이 망라되어 있다. 그러나 문서의 왼쪽 부분이 훼손되어 있어서 정확한 작성 경위를 알 수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누가 어떤 목적으로 이 금액을 책정하여 분배하였는지도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신년 유절재(留節齋) 추감기(秋監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농/수산업-추수기 庚申八月二十三日 庚申八月二十三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경신년에 작성된 부안 유절재의 추감기. 경신년(庚申年) 8월 23일에 부안(扶安)의 유절재(留節齋)에서 작성된 추감기(秋監記)이다. 추감기는 전답과 소출량, 경작자 등이 기록된 문서로, 추수기(秋收記), 타조기(打租記), 색조기(色租記), 수세책(收稅冊) 등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이름으로 나온다. 이 문서는 학계에서 19세기 이후 지주제(地主制) 연구의 주요 자료로 흔히 이용되어 왔다. 이 문서에 지주가 작인들에게 소작을 둔 토지를 필지별로 전답의 소재지, 지적(두락), 작인 등과 함께 그 수확량이나 지대량을 매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풍흉이나 재해, 종자와 볏짚, 전세 등의 정보들을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연유로 인하여, 토지경영의 실상을 담고 있는 추수기는 많은 연구자들이 지주제 연구와 관련된 주요 자료로 인식하고 활용하여 왔다. 특히 유절재는 부안의 유력한 씨족인 전주최씨(全州崔氏)의 재실(齋室)로, 각 파별로 다양한 계(契)를 설립하여 운영하여 왔다. 유절재에 소장된 회문(回文)을 통해서 드러난 계를 살펴보더라도 흥학계(興學稧), 처암공파계(處菴公派契), 봉사공파계(奉事公派契), 원재계(元齋契), 참봉공파계(叅奉公派契), 사문계(私門稧), 문중별청계(門中別廳稧) 등 다양하다. 이들 조직은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었고, 이에 따라 별도의 재원을 확보하고 있었다. 그 재원은 다름 아닌 전답의 소유이다. 이들 계의 전답은 경영 과정에서 각 계마다 추수기 또는 추감기가 작성되었다. 이들 추감기에는 토지 소재지의 고을명과 지번, 지목, 지적, 경작료, 경작인 등이 차례로 적혀 있었다. 이러한 문서를 통해 부안의 유력 세족인 전주최씨(全州崔氏)의 당시의 경제적 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경신년의 이 추감기에는 부안의 하서면(下西面) 석상리평(石上里坪)과 통정리평(通井里坪), 행안면(幸安面) 신기리(新基里) 후평(後坪) 등 세 곳에 있는 전답과 도조(賭租), 소작인(時作)이 기재되어 있다. 석상리평은 전답 7필지 30두락지로 5석 40두를 세로 거두었으며, 시작(時作)은 최경원(崔敬元), 최경선(崔敬先) 두 사람이다. 통정리평은 1필지 5두락은 1석 5두를 세로 거두었으며, 시작은 최성도(崔成道)이다. 행안면 신기리 후평은 1필지 7두락으로 1석 10두를 세로 거두었으며, 시작은 최응수(崔應守)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축년 유절재(留節齋) 추감기(秋監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농/수산업-추수기 己丑八月 日 己丑八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기축년에 작성된 부안 유절재의 추감기. 기축년(己丑年) 8월에 부안(扶安)의 유절재(留節齋)에서 작성된 추감기(秋監記)이다. 추감기는 전답과 소출량, 경작자 등이 기록된 문서로, 추수기(秋收記), 타조기(打租記), 색조기(色租記), 수세책(收稅冊) 등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이름으로 나온다. 이 문서는 학계에서 19세기 이후 지주제(地主制) 연구의 주요 자료로 흔히 이용되어 왔다. 이 문서에 지주가 작인들에게 소작을 둔 토지를 필지별로 전답의 소재지, 지적(두락), 작인 등과 함께 그 수확량이나 지대량을 매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풍흉이나 재해, 종자와 볏짚, 전세 등의 정보들을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연유로 인하여, 토지경영의 실상을 담고 있는 추수기는 많은 연구자들이 지주제 연구와 관련된 주요 자료로 인식하고 활용하여 왔다. 특히 유절재는 부안의 유력한 씨족인 전주최씨(全州崔氏)의 재실(齋室)로, 각 파별로 다양한 계(契)를 설립하여 운영하여 왔다. 유절재에 소장된 회문(回文)을 통해서 드러난 계를 살펴보더라도 흥학계(興學稧), 처암공파계(處菴公派契), 봉사공파계(奉事公派契), 원재계(元齋契), 참봉공파계(叅奉公派契), 사문계(私門稧), 문중별청계(門中別廳稧) 등 다양하다. 이들 조직은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었고, 이에 따라 별도의 재원을 확보하고 있었다. 그 재원은 다름 아닌 전답의 소유이다. 이들 계의 전답은 경영 과정에서 각 계마다 추수기 또는 추감기가 작성되었다. 이들 추감기에는 토지 소재지의 고을명과 지번, 지목, 지적, 경작료, 경작인 등이 차례로 적혀 있었다. 이러한 문서를 통해 부안의 유력 세족인 전주최씨(全州崔氏)의 당시의 경제적 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기축년의 이 추감기에는 부안의 석동평(席洞坪) 내 각 마을, 즉 연곡리와 통정리 등지에 있는 전답의 지번과 지목, 지적, 경작료, 경작인 등이 차례로 기재되어 있다. 연곡리에 있는 전답은 14곳이며, 통정리는 1곳이다. 경작인 중 안복동(安福同)이 연곡리 내 8곳을 경작했으며, 황종술(黃鍾述)이 4곳을 경작했다. 연곡리의 전답은 모두 5,860평이며, 통정리의 논은 1,517평이다. 이 성책문서의 끝에는 기축추향제수전기(己丑秋享祭需錢記)와 경인월삼십일문회(庚寅九月三十日門會), 경인년석동위토답관평기(庚寅年席洞位土畓觀坪記) 등이 차례로 실려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6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丙子三月二十四日 丙子三月二十四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6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제수물목기 1936년 3월 24일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이다. 제수물목은 건시(乾柿), 생률(生栗), 대조(大棗), 감곽(甘藿), 홍합(紅蛤), 생석어(生石魚) 12속-5원(円) 90전, 북어(北魚), 홍어(洪魚) 2수-2원 30전, 청어(靑魚), 상어(尙魚), 수어(首魚), 계란(鷄卵), 문어(文魚), 저육(猪肉) 7원 80전, 건하(乾鰕), 반합(半蛤), 생합(生蛤), 정육(正肉) 5근-1원 75전, 산자(散子), 백포(白泡), 청채(靑菜), 해의(海衣), 수근(水芹), 궐아(蕨芽), 청총(靑蔥), 진유(眞油), 백염(白鹽), 홍염(紅染), 백지(白紙), 사기(沙器), 청주(淸州), 탁주(濁酒), 제병미(祭餠米), 진미(眞米), 죽상(竹箱), 제포(祭布), 백미(白米), 소맥(小麥), 4일 노비(路費), 신문지(新聞紙), 연초(煙草), 인회시하기조(寅會時下記條), 각처제수전수봉시노비(各處祭需錢收捧時路費) 등이 기록되어 있고, 1935년 말복일 용전(用錢) 등 기타 지출처 내용이 있다. 수입(收入)은 116원, 용금(用金)은 121원 86전, 부족전(不足錢)은 6원 86전이라고 결산하였다. 인계(引繼)한 것은 제기(祭器) 103개, 병기(餠器) 11개, 죽상(竹箱) 2개, 사기(沙器) 13개이다. 전이나 떡을 물들일 때 쓰던 외자(桅子 치자) 대신 홍염(紅染)이 기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1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물목(春享時祭需物目)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辛未三月 辛未三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1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물목 1931년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춘향시제수물목(春享時祭需物目)이다. 물목은 건시(乾柿), 생률(生栗), 홍조(紅棗), 문어(文魚), 건석어(乾石魚), 북어(北魚), 홍합(紅蛤), 생석어(生石魚) 15미-75전, 상어(尙魚), 홍어(洪魚) 2미-1냥 5전, 건하(乾鰕), 생합(生蛤), 계란(鷄卵), 궐아(蕨芽), 청총(靑蔥), 청채(靑菜), 진유(眞油), 백염(白鹽), 정육(正肉) 5근-1원 50전, 저(猪) 1수-4원 40전, 백포(白泡), 송탄(松炭), 백지(白紙), 필(筆), 해의(海衣), 산자(散子), 진미(眞米), 맥아, 반합(半蛤 반지락), 수근(水芹), 굴비(屈飛) 3속-75전, 생석어(生石魚) 1속-50전, 맥설(麥屑), 외자(桅子), 생합(生蛤), 광(筐) 2개-25전, 초리(草履), 제주(祭酒), 탁주(濁酒), 제반미(祭飯米), 병미(餠米), 감주미(甘酒米), 자미(炙米), 송지(松枝), 주가(酒價), 남초(南草), 정조(正租), 시일노자(市日路子), 개방공가(改盤工價) 등 도합 38원 6전이었다. 1931년 춘향에 쓰인 어물(魚物)을 보면 문어, 홍어, 상어, 북어 조기류는 건석어, 생석어, 굴비가 쓰였고 홍합, 해의, 반지락, 생합 등이다. 각파 제수전 총수입은 42원 80전이었고, 봉사공파, 처사공파에서 제수미를 출연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오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판관공파회계기(判官公派會計記)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경제-회계/금융-회계기 庚午十一月 日 庚午十一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경오년 11월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의 판관공파에서 작성한 회계기. 경오년(庚午年) 11월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의 판관공파(判官公派)에서 작성한 회계기(會計記)이다. 8월 26일의 수입 지출 내역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2년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문성공단사제관분정(文成公壇祀祭官分定)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壬子正月七日 門中 崔相烈 등 9인 壬子正月七日 1912 全州崔氏門中 崔相烈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12년,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문성공 단사제 진행자 명단 1912년 1월 7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門中)에서 작성한 문서이다. 문성공(文成公)의 단사제(壇祀祭)를 주관하게 될 헌관(獻官) 등의 이름이 적혀 있다. 헌관은 최상렬(崔相烈)이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물목(物目)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물목.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제수물목(祭需物目)이다. 작성연대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갑오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원재유사(元齋有司) 분정기(分定記)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甲午九月日 門中 崔學洪 등 3인 甲午九月日 全州崔氏門中 崔學洪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갑오년에 부안김씨 문중에서 작성한 원재유사 명단 갑오년(甲午年) 9월에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에서 작성한 원재유사(元齋有司) 명단이다. 갑오년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1954년으로 추정된다. 최학홍(崔學洪) 등 세 사람의 이름이 나오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전주최씨(全州崔氏) 화수계부흥추진위원회(花樹禊復興推進委員會) 분정기(分定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정치/행정-임면-망기 全州崔氏門中 崔益煥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전주최씨 화수계 부흥추진위원회 위원을 임명하는 문서. 전주최씨(全州崔氏) 화수계 부흥추진위원회 위원장(委員長), 부위원장(副委員長), 총무(總務), 조직(組織), 회계(會計), 감사역(監査役), 위원(委員) 등을 임명하는 문서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