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1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물목(春享時祭需物目)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辛未三月 辛未三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1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물목 1931년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춘향시제수물목(春享時祭需物目)이다. 물목은 건시(乾柿), 생률(生栗), 홍조(紅棗), 문어(文魚), 건석어(乾石魚), 북어(北魚), 홍합(紅蛤), 생석어(生石魚) 15미-75전, 상어(尙魚), 홍어(洪魚) 2미-1냥 5전, 건하(乾鰕), 생합(生蛤), 계란(鷄卵), 궐아(蕨芽), 청총(靑蔥), 청채(靑菜), 진유(眞油), 백염(白鹽), 정육(正肉) 5근-1원 50전, 저(猪) 1수-4원 40전, 백포(白泡), 송탄(松炭), 백지(白紙), 필(筆), 해의(海衣), 산자(散子), 진미(眞米), 맥아, 반합(半蛤 반지락), 수근(水芹), 굴비(屈飛) 3속-75전, 생석어(生石魚) 1속-50전, 맥설(麥屑), 외자(桅子), 생합(生蛤), 광(筐) 2개-25전, 초리(草履), 제주(祭酒), 탁주(濁酒), 제반미(祭飯米), 병미(餠米), 감주미(甘酒米), 자미(炙米), 송지(松枝), 주가(酒價), 남초(南草), 정조(正租), 시일노자(市日路子), 개방공가(改盤工價) 등 도합 38원 6전이었다. 1931년 춘향에 쓰인 어물(魚物)을 보면 문어, 홍어, 상어, 북어 조기류는 건석어, 생석어, 굴비가 쓰였고 홍합, 해의, 반지락, 생합 등이다. 각파 제수전 총수입은 42원 80전이었고, 봉사공파, 처사공파에서 제수미를 출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