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사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원재(元齋) 문회(門會) 하기(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丁巳 丁巳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정사년에 부안 전주최씨문중 원재와 문회에서 작성된 하기. 정사년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원재(元齋)와 문회(門會)의 하기(下記) 등이 실려 있다. 모두 합하여 조 3석 13두 7승이라고 적혀 있다. 문서의 서두에 '三月卄一日'이라고 나오고, 중간에 "丁巳下記"라고 나온다. 여기에서는 편의상 정사년을 작성연대로 추정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계축년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癸丑七月 扶安門中 古阜宗氏 癸丑七月 全州崔氏門中 古阜門中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계축년 전주최씨 부안문중에서 고부문중에 보낸 서간 계축년(癸丑年) 7월에 전주최씨 부안문중에서 보낸 고부 문중에 보낸 종씨종지파식료명증(宗氏宗支派息鬧明證)이다. 고부문중의 종지파(宗支派) 이상 3대와 이하 3대 합 6위에 대한 토지 유무(有無)에 관한 일로 두 파가 싸우는데 이를 끝내려면 6위 설향(設享)을 전대로 시행하고 지주(地主)는 현록하되 종지파 공동소유로 호명하기로 하여 서로 화해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9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석동재(石洞齋) 회장(回章)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己卯九月十四日 崔再榮 등 3인 己卯九月十四日 1939 崔再榮 全州崔氏一族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종원들에게 보낸 1939년 회장 1939년 9월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종원들에게 보낸 회장이다. 회장(回章)이란 회문(回文)의 다른 말이다. 종재에 관련된 문제를 상의하기 위한 모임을 통보하기 위해 보낸 것이었다. 각 마을 대표 중 종회 참석 여부를 알려 달라는 내용도 추가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回文右文回諭事惟吾私派之稧日字今月十五日自前元定也各處用錢人員與族員倂本利持是遣一齊來會于席洞齋閣修稧所無至未知之弊幸甚乙巳十月初五日發文有司 崔後錄所山里 崔自化 錢 陸拾捌兩三戔二卜 △三十四兩一戔五卜乾先里 崔殷叔 △五兩八戔 △二兩九戔內一兩入墨橋里 崔云京 △三兩 △二兩五戔〃 又 △二十兩 △十兩茅山里 崔相譱 △四十兩 △二十兩新基里 許寬一 △二十兩 △十兩〃 文正瑞 △二十兩 △十兩〃 崔應壽 △十五兩 △七兩五戔墨橋里 許文在 △二十兩 △十兩梅山里 崔同輔 △三十兩五戔八分 △十五兩二戔九卜碑閣里 李致壽 △二十兩 △十兩 兩条 杏山条㱏所捧 柒拾㱏兩內十八兩二分 當日下記給在文五十二兩九戔八卜當月所捧文崔殷叔分 二兩 給於下記在未給十四兩六戔七卜又十兩出給李致壽 十兩再會下記酒米 二升 一兩五戔 上下三兩曲子 二片 一兩丈価 四兩五戔 㱏合十兩一戔白?価 三戔 又下記三兩用南草価 三戔當日下記酒米 八升 二兩曲子 一兩五戔白紙 五張 一戔七卜南草㱏把 七戔五分?有価 五兩三戔土▣日食床午十一床夕九床朝九床午十一床合四十床代錢六兩公下一兩㱏合十六兩七戔二卜又?債一兩二戔元齋分代月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51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봉사공파계(奉事公派稧)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辛亥十月二十八日 辛亥十月二十八日 1851 全州崔氏門中 奉事公派稧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봉사공파 종중에서 종원들에게 보낸 1851년(철종 2) 회문 1851년(철종 2) 10월 28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봉사공파(奉事公派) 종중에서 종원(宗員)들에게 보낸 회문이다. 계회(稧會) 일자를 통보하고, 전유사(錢有司)들의 회계를 부탁하기 위해서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40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사파지계(私派之稧)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庚子十月初四日 有司 崔 庚子十月初四日 1840 崔 全州崔氏私派之稧員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840년(헌종 6)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종원들에게 보낸 회문 1840년(헌종 6) 10월 4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에서 종원들에게 보낸 회문이다. 문계강신(門稧講信) 일자(日字)를 통보하고, 전유사(錢有司)들의 회계(會計)를 당부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回文右文爲回諭事惟我粉土洞先祖文成公祭閣重修事通文下來排錢條肆佰伍拾兩且月塘公墳墓莎草萬萬時急當此搶攘之世不可少緩故公議齊發爛確定論以冠下每員一兩式分排且稍饒之員隨事力俯助之意歸一故玆以發文惟願僉宗員文到卽時勤念先師之攸重隨所排一一收屬輸上本郡席洞齋以竢宗事之地千萬甚幸甚幸丁八月二十日發文有司崔漢洪崔秉澔席洞齋[印]後錄葛村九員△九兩有司汝善瓮井二員△二兩仁燮來一兩 世昌成根三員△二兩二兩入 興瑞茅山五員△五兩入 相善石堤十一員△十一兩四兩入 聖昭許先堤六員△六兩 士眞長橋十一員△十一兩入 聖有星岩三員△三兩一兩入泰仁尺川十一員△十一兩 聖佐 德山祠出議條給芸琴五員△五兩古阜山幕五員△五兩 敬道蓮洞二十八員△二十八兩十六兩入 聖民栢浦四員△四兩 公三新月八員△八兩二十兩入 舜明井邑白雲洞四員△四兩三兩入 光彦泰仁平洞一員△一兩 正魯白石四員△四兩 士眞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진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사문계(私門稧)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甲辰十月初三日 各處用錢諸員與族人 甲辰十月初三日 發文有司 各處用錢諸員與族人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갑진년 10월 3일에 부안의 전주최씨 사문계의 유사 최모가 각처의 족인들과 계의 자금을 이용한 사람들에게 계일을 통보하면서 보낸 회문. 갑진년(甲辰年) 10월 3일에 부안(扶安)의 전주최씨(全州崔氏) 사문계(私門稧)의 유사(有司) 최모(崔某)가 각처의 족인(族人)들과 계의 자금을 이용한 사람들에게 계일(契日)이 이 달 15일로 확정되었다고 통보하면서 보낸 회문(回文)이다. 한 사람도 빠짐 없이 본전과 이자를 지참하고 석동재각(席洞齋閣)에 참석하라고 당부하고 있다. 회문의 끝 부분에는 돈을 빌려간 사람들의 성명과 금액(본전)과 아직 갚지 못한 잔금 등이 차례로 적혀 있다. 예컨대 묵교리(墨橋里)의 최운경(崔云京)은 계에서 3냥을 빌렸는데, 현재 1냥 5전을 갚지 못한 상태이다. 그리고 건선리(乾先里)의 최은숙(崔殷叔)은 계에서 4냥 8전을 빌렸는데, 잔금 2냥 4전 중에서 1냥 4전을 납부하여 현재는 1냥을 갚지 못한 상태이다. 계원의 거주지는 묵교리와 건선지 외에 행산리, 연곡리, 금강동, 성암리 등 다양하다. 문서의 끝 부분에는 계회 때 사용했던 물목(物目)의 내용과 금액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條辨先師曾有認意 震泳對田華九言之癸丑三月十一日華島講舍前庭先師仲子華九對震泳詰責出認之不可震泳引五粹事而證之且曰先師亦曾有認意子何異論爲此與震泳答李炳殷金洛斗書之有認敎語互相發也觀其認敎書則必知其有認意語聽其認意語則益信其認敎書也認意震泳雖自道不言其奈自寫認敎書何自量句震泳雖自諉語欠區別其奈有認意語何以此以彼掩諱不得震泳于言杏下時單論刊稿遲速不及認否此遁辭也果爾則何爲引此以拒討認之口何爲自解以暗相忖度何爲證之以尤菴契券虜年且遲速之云亦見其所窮遲固無關速則有拘而曰遲速間料量爲之則此非認敎而何雖曰非誣師得乎先師嘗敎小子曰聞業印者自認則著書者無關云如此則似不必深拘又曰先師嘗敎朴察訪家五粹使人代認印行[震泳答炳殷書]今日何日也而曰無關勘改削除也而曰不拘此則一節自好者且不爲曾謂先師之精義甘節而有此乎玄巖之五粹板與完校之朱栗書板同例其與大稿之新刊者今文古文有累無累之相天淵也況此板主之未曾承聞者乎先師仁不獨仁義不獨義恐人不知仁義之道使人印行粹言禮說是爲天地生物聖人立極之心也故不諱而公言之[震泳答金容承書]天地生物聖人立極之心是至公至仁無上大德代認印書之果爲生物立極之德而可公言不諱者宜於大稿中反復詳明立言垂後若心性誠敬等說也非惟不曾詳說無一字一句之見及何也非惟絶不見於大稿竝與尺牘片報而無及何也先師今春三月獨坐杏下竹床命震泳曰文稿限五十年後印行固好而君輩老成者去盡則更沒人管世又不可知須自料量爲之[震泳代草答金洛斗書壬戌]及門者多至千數親炙者多至十數年一未有見聞些子言意於平日者惟震泳一人親承自量之敎於獨座之時者何也若謂事宜秘密而暗託於一人則是以載道之大稿不作天下之公而認做一己之私也非惟節義之壞敗竝與心術見識而昧昧也曾謂先師之至行公心正見而若是乎尤翁嘗令契券書虜年[仝上]旣誣先師有認意又引尤翁書虜年此何說也夫尤翁之勸谷雲以大義滅親者爲金壽弘之用虜朔祝仙源也此當爲宋子大全開卷第一義也今夫刊稿比之祝祀祖先之重可乎契券奴名之輕可乎胡乃弁髦滅弘之大義敢引大全中無據之說表揚而擬倫之非但先師之罪人也乃尤翁之罪人也囊中紙貨往來車票書疏附印誰家日月照臨愼毋妄罵人之倭朔也又曰或拘時律而未能於倭倀則好笑[震泳答金容承書]先師嘗曰朱子綱目特書莽大夫楊雄死所以著畏死失節之罪也盖彼雖無臣莽之心而其跡固莽之臣故不免於誅絶之罪矣豈惟人臣爲然師生亦然詐言今震泳自擔倭倀自恃時律禁罵倭朔壞汚大稿又不服誣罪謂震不爲亂臣賊子者是等亂賊而已矣彼徒欲以震誣敢抗遺書爭言此一時彼一時久則義亦變年後者爲末命可謂大義公賊也烏得免春秋先治黨之法誅乎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窃惟我文敬公性潭宋先生以孔門思聖遭遇健陵盛際其道悳出處之光明正大嵬然爲宗師百世而兀况經旨禮疑之卞心性理氣之說繼述前賢嘉惠後學者乎嗚呼 先生易簀後百秊之間遺集之尙未刊行實是 朝家之欠典士林之不幸也粤自昨春嶺湖間士論齊發本家與門裔合謀出力已梓畧干卷而這間編秩浩大經用隨乏將至停役其在尊慕之道易勝憂悶哉大抵此係斯文盛擧則非但本家門裔可以周幹凡在士林孰不有咸集相役之意哉玆敢發簡于貴門中伏願僉尊特 賜優扶之施俾竣斯文大事千萬幸甚戊戌三月十五日 華陽刊所都有司 宋奎洙文義儒生 吳鼎秀大邱 徐京厚草溪 李直鉉珍山 李鉉琪淸州 宋淳明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1년 최순환(崔順煥) 토지소유권보존등기서류(土地所有權保存登記書類)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大正拾年八月九日 崔順煥 光州地方法院扶安出張所 大正拾年八月九日 崔順煥 光州地方法院扶安出張所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1년 8월 9일 최순환이 부안군 하서면 언독리에 있는 답의 소유권을 증명 받기 위해 제출한 토지소유권보존등기신청서 1921년 8월 9일 부안군(扶安郡) 상서면(上西面) 장동리(長東里)에 사는 최순환(崔順煥)이 대리인을 통하여 광주지방법원부안출장소장(光州地方法院扶安出張所長) 앞으로 제출한 토지소유권보존등기신청서(土地所有權保存登記申請書)이다. 부안군 하서면(下西面) 언독리(堰毒里)에 있는 답의 소유권을 증명 받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