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석동재(石洞齋) 통문(通文)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席洞齋 僉族 席洞齋 各邑 全州崔氏 僉族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석동재에서 각 고을의 전주최씨 일족에게 보낸 통문의 피봉. 석동재(石洞齋)에서 보낸 각 고을의 전주최씨 일족에게 보낸 통문(通文)의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송지인도청구장(松枝引渡請求狀)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송지인도청구장을 넣은 피봉. 송지인도청구장(松枝引渡請求狀)을 넣은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송지벌채원(松枝伐採願) 피봉(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大正十年 大正十年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송지벌채원을 넣은 피봉 송지벌채원(松枝伐採願)을 넣은 피봉(皮封)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사유림벌채원(私有林伐採願) 서식(書式)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사회-조직/운영-서식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소화 연간에 사용된 사유림벌채원 서식 일제 강점기 시대인 소화(昭和) 년간에 사용된 사유림벌채(私有林伐採) 허가원 서식(書式)이다. 국한문혼용(國漢文混用)으로 되어 있으며, 접수처는 부안군수(扶安郡守)로 되어 있다. 그러니까 본 서류는 부안군에서만 사용되었던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923년 전주최씨 청취서(聽取書)와 변무서(辨誣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장 법제-소송/판결/공증-소장 大正十二年十月五日 大正十二年十月五日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3년 전주최씨 청취서와 변무서. 1923년 10월 5일에 작성된 전주최씨(全州崔氏) 청취서(聽取書)와 변무서(辨誣書)이다. 김규상(金珪相) 측이 입증의 목적으로 제출한 '최관석(崔觀錫) 등의 소장(訴狀)'은 위조된 것임을 밝히기 위해서 조사를 받은 내용과 이를 변명하는 내용의 문서이다. 청취서 1건과 변무서 4건이 기록되어 있다. 청취서는 조사관이 부안군(扶安郡) 보안면(保安面) 우동리(牛東里)에 사는 최병욱(崔炳郁)과 부령면(扶寧面) 옹중리(瓮中里)에 사는 최기홍(崔基洪)에게 의견을 청취하고 작성한 것이다. 1923년 10월 3일에 최병욱에게는 주소와 성명, 나이, 입장(入葬)한 연대, 전적(典籍)의 유무, 김소윤(金少尹)의 입장 여부, 최계성(崔繼成)과의 관계, 분묘 수 등 12개 항목을 질문하였고, 최기홍에게는 산판(山坂) 분쟁을 하지 않은 이유, 벌채 사실, 산송 내력, 이완용(李完用) 판결 후 이의(異議), 장축(狀軸) 안에 기재된 자들이 일문(一門)인지 여부 등 17항목의 질문을 하였다. 최기홍은 소장 안에 기재된 사람이 최씨문중 사람인가 묻는 질문에 최관석 외에 22명은 본인 문중의 사람이고 나머지 사람은 본인 문중의 족인이 아니라고 답변하였다. 변무서(辨誣書) 1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에 사는 최병욱이 총독부기수출장소(總督府技手出張所)에 제출한 변무서이다. 김규상(金珪相) 측이 입증할 목적으로 최관석(崔觀錫) 등의 소장이라고 하면서 갑자기 제출한 문권을 보니 허위무근(虛僞無根)한 것이며 소송을 뒤집을 목적으로 꾸미고 변환시킨 것이었다. 소장 안에 열서(列書)한 사람 중에 94인 중 48인은 무증부지(無証不知)한 사람이고, 14명은 혹 100여 년, 혹 몇십 년 전에 사망한 사람과 15세 혹은 10세 미만의 어린아이를 기재한 것으로 보아 위조한 사실이 분명하다며 전주최씨족보(全州崔氏族譜)의 내용을 첨부하고 참고하라고 하였다. 변명서(辨明書) 2 김규상이 최관석(崔觀錫) 등의 의송(議送)이라며 무고한 사실을 변명하는 내용이다. 사실(事實)은 김규상 측이 증거로 제출한 경신년 12월 15일 최관석(崔觀錫) 등의 의송(議送) 1장은 모두 허위로 꾸민 것에 불과하다. 그 소장 안의 사실도 부당할뿐더러 아래 열거한 94인 중 48인은 무증부지(無証不知)한 최가이고, 46인은 우리 최씨 족보 안에 이름이 있으나 그 가운데서 10인은 혹 100여 년 전 혹은 10년 전에 죽은 사람이거나 15세, 혹은 10세 이내의 어린 아이를 나열하여 썼으니 의송장을 위조한 사실은 명백하여 의심할 것이 없다. 그 이유를 아래에 기록하니 참고하기 바란다고 하였다. 이후 내용은 중략되었으며 변무서 1의 내용이 중복 기록되어 있다. 변무서(辨誣書) 3 (1,2와 앞부분 같음) 94인 중에 47인은 무증부지(無証不知)한 최가를 기재하였고 14인은 100년전 혹은 수십 년전 사망자이거나 15세 미만인 자인데 입록하였으니 위조사실이 분명하다고 하였다. 변무서(辨誣書) 4 (1,2와 앞부분 같음) 94인 중에 15인은 최씨 족보에 있는 사람이고 그중 9명은 200년 혹은 수십년 전 사람인데 기재하고 15세, 4, 5세 어린아이도 입록하였으니 위조사실이 분명하다고 하였다. 참고자료로 무증부지(無証不知)한 최가 48인의 성명, 족보에 나오는 사망자 및 유치아의 성명; 『전주최씨족보(全州崔氏族譜)』 1권, 2권에 기록된 최생명(崔生明), 최수손(崔秀孫), 최순성(崔順成), 최위(崔渭), 최필성(崔弼成), 최해(崔海), 최종필(崔宗弼)에 대한 내용; 14대조고(최생명)~고(考 崔雲洪) 등의 제주(祭主); 전주최씨족보묘표(墓表) 최생명~최유인(崔有仁)의 자(字), 기일, 배우자, 무덤 위치와 형태를 기록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大正十二年十月五日聽取書--聽取書一問 貴下의住所氏名答 扶安郡保安面牛東里五七三番地崔炳郁二問 貴下의年齡幾何答 七十六才三問 貴下十四世의氏名何答 崔生明四問 入葬한年代은幾何答 開國四百四十七年五 鐵匣台帳水營量案輿地勝覽有無答 鐵匣台帳水營量案은郡의文蹟과量案後의廢棄ᄒᆞ고扶安邑誌만有(邑誌一名輿地勝覽)六問 金少尹墓과先히入葬與否答 金少尹은高麗時代의人이나墓은何處에다入葬한지도不知할뿐더러勿論年代도不知七問 崔繼成은貴下의幾世된關係答 十二世祖八問 入葬한年代은幾何答 開國壹百五十五年九問 金世英의時代에崔生明及崔繼成의墓地의일부을借葬한事有無答 借葬하얏단文蹟도無할뿐더러借葬한事가全無十問 崔生明의入葬할時에該山地을何로붓터借得及買得與否答 入葬時代로言ᄒᆞ면國初時也라無主山에入葬을始ᄒᆞ야該山을點領ᄒᆞ야邇來守護十一問 該山坂內의七十餘位墓가全部崔氏의墓與否答 全部崔氏의墓十二問 何如証據을擧ᄒᆞ야確認答 自來譜冊의記入外에年年時享한事로確認十三問 墓籍届을幾位나提出答 九位만提出十四問 金少尹墓가大阜을指ᄒᆞ야墓라云ᄒᆞᆫ事實이何如答 崔氏山訟事蹟에記載大正十二年十月三日以上--一問 貴下의住所氏職業年齡答 扶安郡扶寧面瓮中里崔基洪農業四十五才二問 紛爭한山坂接續界內에金少尹의墓地을紛爭치안한事實은何如答 光武貳年에觀察李完用이로셔兩家境界을劃定한土地인故로紛爭을提起치안ᄒᆞ얏소三問 該時에判決書ᄂᆞᆫ何로붓터配達與否答 現場에셔卽地提給ᄒᆞᆫ것시오四問 植樹伐採斫伐한事有無答 有云ᄒᆞ얏소五問 幾年前에斫伐ᄒᆞ야시며何邊을斫伐ᄒᆞ고同時에幾何本斫伐與否答 十四年前붓터西邊을斫伐한事도有ᄒᆞ고又今三年前붓터斫伐한事도有ᄒᆞ고二千本이나斫伐ᄒᆞ얏소六問 斫伐한松樹ᄂᆞᆫ何人의게賣渡與否答 瓮中里韓容九의게賣渡ᄒᆞ얏소七問 三年前에伐採할時에幾何本答 大松略三百本小松略二百本이나伐採ᄒᆞ얏소八問 三年前斫伐時에金氏로붓터何如한異議有無答 同年四月頃金氏側의本面駐在所에異議을提起한結果本人을召喚ᄒᆞ얏기에本人이理由을說明ᄒᆞ야同異議가無效되얏소九問 伐採은幾何年答 年年間伐ᄒᆞ얏소一○問 該伐採할時에何如人을使用ᄒᆞ야伐採與否答 枝葉伐採은山直의게讓渡ᄒᆞ얏소一一問 判決後로ᄂᆞᆫ該山坂內枝葉伐採을乘夜盜伐한事有無答 夜을利用ᄒᆞ야伐採할理가有ᄒᆞ것소一二問 植樹ᄒᆞ얏시면幾何年及幾何本答 十四年後斫伐後로年年植樹ᄒᆞᄂᆞᆫ바每年二三百本假量이나ᄒᆞ얏소一三問 在前붓터貴下가優良커守護ᄒᆞ얏ᄂᆞᆫ지金民로붓터紛爭으로守護與否答 康熙己未로始ᄒᆞ야金民로셔起訟ᄒᆞᄂᆞᆫ바或金少尹墓라云云或金彦邦의墓라云ᄒᆞ야一墓三祖의說에基ᄒᆞ야金氏가敗訴한結果全部吾崔의所有가되얏소一四問 其後에ᄂᆞᆫ金民로셔何如한異議有無答 其後七十年後에更히起訴ᄒᆞ야十四年間紛爭ᄒᆞ다가結局金民가敗訴ᄒᆞ얏소一五問 何幾許나金民訟動을崔民의게取給與否答 大槪幾丈만爻周ᄒᆞ얏소一六問 李完用判決後로ᄂᆞᆫ異議有無答 各守其境界ᄒᆞ얏소一七問 金氏의게有持한狀軸의記載한氏名이貴下의一門族與否答 崔觀錫外二十二名은本人의門中人이요其他人은本人의門中族人이안니요--辨誣書事實은金珪相側으로부터所謂立証ᄒᆞᆯ目的으로庚申十二月日崔觀錫等議送一張이라稱ᄒᆞ야今番卒然發出ᄒᆞ야ㅅ기예其事由을參考ᄒᆞᆫ즉元來無根ᄒᆞᆫ事說이랴究其心腸컨댄飜訟之計로似是ᄒᆞᆫ貌樣을粧撰ᄒᆞ야變幻假稱이올시다狀內列書ᄒᆞᆫ氏名으로見ᄒᆞᆯ지라도九十四人中에四拾八人은無証不知之人오十人은或百餘年或幾十年前死亡人과或十五歲或十歲未滿幼稚兒을記載ᄒᆞ엿시니其僞造事實이昭然無疑ᄒᆞ읍기에理由을左記ᄒᆞ오니參考ᄒᆞ시기을千萬敬要ᄒᆞᆷ席洞山所在墳墓七十二位諱啣五十八位--辨明書金珪相誣稱崔觀錫等議送狀辨明事實事實은金珪相側으로証ᄒᆞᆫ庚申十二月十五日崔觀錫等議送一狀은都是虛僞粧撰ᄒᆞᆫ一奸狀에不過라其狀內事實도不當일뿐더러況又左列姓名九十四人中에四十八人은不知何許之崔요四十六人은吾崔族譜中所在한名義로되其中十人은或百餘年或幾十年前死亡人을記載ᄒᆞ고或十五歲或十歲이내幼稚之兒을列書ᄒᆞ얏은즉其僞造ᄒᆞ事實은昭然無疑하옵기에理由을左記ᄒᆞ오니參考ᄒᆞ시기을千萬敬要ᄒᆞᆷ其狀內曰得葬此山云云曰借葬外先山云云者專以詐巧之術로做出此說ᄒᆞ야欲以右ᄂᆞᆫ金珪相側으로부터所謂立証한崔觀錫等訴狀이라稱ᄒᆞᆫ事ᄂᆞᆫ其狀內辭意을推察컨대都是無根ᄒᆞᆫ事說일뿐더러狀內列書ᄒᆞ氏名으로見ᄒᆞᆯ지라도九十四人中에四十八人은無証不知ᄒᆞ인이오十人은或百餘年或幾十年前死亡人과或十五歲或十歲未滿幼稚兒을記載ᄒᆞ엿시니其狀內事實虛僞構成ᄒᆞᆷ은不言可証가參見컨대虛僞張昭然ᄒᆞ오니理由을參考ᄒᆞ시기를▣…▣--全州崔氏族譜卷之一(乾隆八年癸亥七月刊印)第五章後面崔生明 生員昭格署殿直有學行金濯纓作祭文○配扶寧金氏大護軍璫女文貞公坵七代孫○墓在扶安道洞山午向○子孫居扶安全州崔氏族譜卷之三第一章前面崔秀孫字茂叔進士成化丁巳生正德壬申卒享年七十六號固窮堂至孝學行享祀道洞書院○配吳氏司直伯亨女生二男後配崔氏司正孝老女○墓在先塋下後壟雙兆第一章後面崔弼成 中略 配光山卓氏墓在殿直公墓石上第二章前面崔海 中略配平康蔡氏○墓在處士公墓下双兆第四章前面崔克成 中略墓在先塋下崔沫 中略○墓在先塋下第五章前面崔繼成 字紹先號處菴正德正廟生員有孝友至行考--辨誣書右는金珪相側으로부터所謂立証한崔觀錫等의訴狀이라稱ᄒᆞ事ᄂᆞᆫ其狀內辭意를推察컨댄都是虛僞無根ᄒᆞᆫ事說일뿐더러況又狀內列書ᄒᆞᆫ氏名으로見할지라도九十四人中에四十七人은無証不知ᄒᆞᆫ人을記載ᄒᆞ고十四人은或百餘年或幾十年前에死亡ᄒᆞᆫ人과或十五歲或十歲未滿ᄒᆞᆫ人을入錄ᄒᆞ얏시니其狀內事實의虛僞와소장의僞造ᄒᆞ옴은昭然이오니理由를參考ᄒᆞ심을千萬敬要ᄒᆞᆷ扶安郡保安面牛東里崔炳郁總督府技手出張所 啣中全州崔氏族譜卷之一第六章前面崔生明 號瓮菴壯士郞中生員筮仕昭格署殿直同治元年庚申十二月十五日崔觀錫 一權 德收 萬洙 遠垕 昌坤昌錫 命權 喆洙 魯洙 殷垕 佺元錫 升權 宗洙 鶴洙 錫垕 伉履錫 仁權 孟洙 應洙 一坤 亻+岡沃 德權 哲洙 文洙 源坤 倫洧 在權 學洙 敬洙 致坤 龍煥滋 得權 晉權 鐸洙 有坤 乃煥淇 兢洙 八權 義洙 翊坰 俊煥泳 益洙 鼎權 智洙 麒坰 驥煥澤 泰洙 以權 元垕 龍坰 煥聖永權 昌洙 瓊權 益垕 麟坰 煥益元權 日洙 恒洙 寅垕 南坰 顯鑑致權 基洙 致洙 奠垕 元坤 萬鑑仁鑑 爀垕 ?? 煥成庚申十二月十五日崔觀錫 崔澤 崔升權 崔日洙崔昌錫[丙辰卒則卒後五年入於狀] 崔永權 崔仁權 崔永洙■…■[戊午에卒則三年後入於狀] 崔元權 崔德權 崔基洙崔履錫 崔大權 崔在權 崔德洙崔沃 崔致權 崔得權 崔喆洙[己未死亡]崔洧[乙巳卒則卒後十六年入於狀] 崔仁鑑 崔兢洙 崔宗洙崔滋 崔承垕 崔益洙 崔孟洙崔淇[嘉靖辛未卒則二百餘年後] 崔一權 ■■■ 崔哲洙[己未死亡]崔泳 崔命權 崔昌洙 崔學洙崔晉權 崔鶴洙 崔升垕 崔麒坰崔八權 崔應洙 崔奠垕 崔龍坰崔鼎權 崔文洙 崔遠垕 崔麟坰崔以權 崔敬洙 崔殷垕 崔南坰崔瓊權 崔鐸洙 崔錫垕 崔益坰崔恒洙 崔義洙 崔一坤 崔元坤崔閏洙 崔智洙 崔源坤 崔昌坤崔致洙 崔元垕 崔致坤 崔佺崔萬洙 崔益垕 崔有坤 崔伉崔魯洙 崔寅垕 崔翊坰 崔{亻+岡}崔倫 崔喆垕崔龍煥 崔民垕崔乃煥 崔光龍崔俊煥 崔光彦崔驥煥 崔煥台崔煥聖 崔煥成[純祖二十七年丙戌에卒則卒後三十五年入於狀]崔煥益 崔煥鑑崔漢鑑 崔煥哲崔顯鑑[甲寅生則七歲入葬]崔萬鑑庚申十二月十五日金氏僞造崔觀錫等議送狀辨誣事實事實은金氏所謂立証할目的으로袖出ᄒᆞᆫ立証할崔觀錫等議送狀은都是虛僞粧撰ᄒᆞᆫ一奸狀의不過라其狀內事實도於說不當일뿐더러況又左列姓名九十四人中에十五人은吾崔族譜中所在ᄒᆞᆫ名義로되其中九人은生卒이倒錯에或二百年或幾十年前人記載ᄒᆞ고或十五歲或四五歲乳稚兒入錄ᄒᆞᆫ직其僞造ᄒᆞᆫ事가昭然이오(四十八人은不知何許之崔오)ᄒᆞ오니左記姓名參考明査ᄒᆞ시을敬要■…■左記不知何許之崔四十八人姓名崔殷垕 崔升垕 崔應洙 崔閏洙崔遠垕 崔錫垕 崔敬洙 崔恒洙崔奠垕 崔益垕 崔鐸洙 崔瓊權崔亻+岡 崔有坤 崔義洙 崔八權崔伉 崔致坤 崔智洙 崔晉權崔佺 崔源坤 崔寅垕 崔泳崔元坤 崔一坤 崔萬洙 崔承垕崔昌坤 崔翊坰 崔致洙 崔澤崔日洙 崔敏垕崔基洙 崔乃煥崔德洙 崔煥台崔哲洙 崔煥鑑崔兢洙 崔煥哲崔得權 崔顯鑑崔德權 崔萬鑑崔倫崔喆垕死亡者及幼稚者姓名崔世華 中略墓殿直公墓左配延安金氏墓合兆第十四章前面崔景晳 中略○墓席洞山處菴公墓左下第十四章後面崔景晳 中略○墓處菴墓下右第十五章後面崔景淵 中略○墓席洞先山下第二十二章前面崔演 中略○墓席洞崗艮坐第二十三章前面崔遠大 中略○墓席洞山北岡丙坐第二十八章前面崔雲洪 中略○墓席洞先塋右卯坐第二十九章前面崔濈 中略○小席洞乾坐第三十五章前面崔履權 中略○墓小席洞先妣墓下乾坐双兆崔鎭宇 中略○墓席洞最上節合兆崔世華 中略○墓殿直公墓左配延安金氏墓合兆第十四章前面崔景說 中略○墓處菴公墓下第十四章後面崔景晳 中略○墓處菴公墓下右第十五章後面崔景淵 中略○墓席洞先山下第二十二章前面崔演 中略○墓席洞東崗艮坐第二十三章前面崔遠大 中略○墓席洞山北崗丙坐第二十八章前面崔雲洪 中略○墓席洞先塋右卯坐第二十九章前面崔濈 中略○小席洞乾坐第三十五章前面崔履權 中略○墓小席洞先妣墓下乾坐双兆崔鎭宇 中略○墓席洞最上節合兆第二十五章後面崔鎭仁 中略○配密陽孫氏昌逸女墓席洞東崗壬坐崔沇 中略○墓席洞東崗戊坐全州崔氏直提學公派世譜卷之一(同前)第十四章後面崔得中 中略○墓席洞先塋邊崔天杓 中略○墓席洞山先塋側--全州崔氏族譜卷之一第六章前面崔生明號瓮菴壯士郞中生員筮使昭格署殿直當世文兩朝從季父烟村公同時出仕矣顯陵二年烟村公致仕退菟之日亦投紱同歸當時廷僚儕賢如成謹甫朴仁叟皆比之二疏故事而贈之以詩屢經兵燹文獻無徵生卒年與嘉言善行著述之文不傳惟濯纓金先生誄之曰志剛節廉入孝出悌可祭於社於百萬世又載邑誌有學行三字則可質其當世學問上事業仕宦出處故享祀于扶安瓮井書院墓在扶安縣南席洞山午向原宜人扶安金氏大護軍璫女文貞公坵七世孫墓合兆全州崔氏族譜卷之二初頭前面崔秀孫字茂叔號固窮堂成化丁巳生成均進士正德七年壬申十月二十一日卒墓在扶安席洞山先塋下雙兆宜人吳氏崔氏崔順成字成之正德二年丁卯生進俱中令人朴氏墓在席洞先塋下雙兆二章前面 崔弼成字虞卿號處士成化十九年癸卯生正德二年丁卯中進士嘉靖二十五年丙午八月五日卒墓在先塋上全州崔氏族譜卷之一六章前面崔生明號甕菴壯士郞中生員筮使昭格署殿直當世文兩朝從季父烟村公同時出仕矣顯陵二年烟村公致仕退菟之日亦投紱同歸當時廷僚儕賢如成謹甫朴仁叟皆比之二疏故事而贈之以詩屢經兵燹文獻無徵生卒年與嘉言善行著述之文不傳惟濯纓金先生誄之曰志剛節廉入孝出悌可祭於社於百萬世又載邑誌有學行三字則可質其當世學問上事業仕宦出處故享祀于扶安瓮井書院墓在扶安縣南席洞山午向原宜人扶寧金氏大護軍璫女文貞公坵七世孫墓合兆--全州崔氏族譜卷之二一章前面崔秀孫 字茂叔號固窮堂成化丁巳生成均進士正德七年壬申十月二十一日卒墓在扶安席洞山先塋下雙兆宜人吳氏崔氏崔順成 字成之正德二年丁卯生進俱中令人朴氏墓在席洞先塋下雙兆崔渭 屢典州郡皆有治積淑人文化柳氏墓在考墓上二章前後面崔弼成 字虞卿號處士成化十九年癸卯正德二年丁卯進士嘉靖二十五年丙午八月五日卒墓在先塋上宜人卓氏崔海 德陵參奉忌十月二十七日令人平康蔡氏世成女忌十一月十一日墓處士公墓下雙兆崔宗弼 中略配扶安金氏○墓所上同--十四代祖考諱生明 祭主 崔炳郁十三代祖考諱秀孫 崔炳郁配吳氏 崔炳郁十三代祖考諱順成 崔秉南配朴氏 崔秉南十三代祖考諱弼成 崔秉萬十三代祖考諱克成 崔秉雲配吳氏 崔秉雲十一代祖考諱繼成 崔光煥配金氏 崔光煥十三代祖考竟成 祭主 崔秉澔配慶州金氏 崔秉澔九代祖考諱渭 崔東鉉配文化柳氏 崔東鉉十一代祖考諱海 崔萬洪配平康蔡氏 崔萬洪十一代祖諱沫 崔一洪配礪山宋氏 崔一洪河溫十一代祖考諱活 祭主崔漢洪配扶寧金氏 崔漢洪十代祖考諱濱 崔碩煥配扶寧金氏 崔碩煥十代祖考諱德立 崔一洪十三代祖考諱時立 崔圭伯配晉州蘇氏 崔圭伯十代祖考諱大立 崔基洪配保安林氏 崔基洪十代祖妣晉州姜氏山立配 崔桂洪九代祖考諱瑗 祭主崔彩洪十一代祖考諱集 崔一洪十代祖考諱奇男 崔秉澔十一代祖考諱升男 崔應天八代祖考諱是萬 崔學道九代祖考諱執中 崔秉澔配豊川任氏 崔秉澔八代祖考諱得中 崔在洪十一代祖考諱以仁 崔圭宣配慶州金氏 崔圭宣八代祖考諱有仁 祭主崔進洪七代祖考諱處仁 崔成煥九代祖考諱景憲 崔杞烈九代祖考諱景斗七代祖考諱景杓 崔進洪六代祖考諱景說 崔洛中六代祖考諱景晳 崔吉煥六代祖考諱景淵 崔成煥七代祖考諱宗弼 崔泰洪九代祖考諱世華 崔圭宣七代祖考諱宗建 祭主崔學道配晉州姜氏 崔學道六代祖考諱世岡 崔進洪配慶州李氏 崔進洪六代祖考諱世振 崔性洪六代祖妣礪山宋氏世休配 崔彩洪五代祖考諱道東 崔進洪配安東權氏 崔進洪六代祖妣密陽朴氏益亨配 崔學道八代祖妣咸陽文氏之泰配 崔萬洪五代祖妣金海金氏天杓配 祭主崔基洪四代祖妣羅州羅氏 崔秉元五代祖妣羅州羅氏 崔秉澔五代祖妣高興柳氏 崔一洪曾祖妣扶寧金氏 崔杞煥祖妣淸州韓氏 崔秉五代祖考諱演 崔秉雲祖考諱東權 崔彩洪配礪山宋氏 崔彩洪考諱雲洪 崔秉豊曾祖考諱灦 祭主崔元洪六代祖考諱濈 崔成烈六代祖妣晉州柳氏昌運配 崔秉雲--全州崔氏族譜墓表全州崔氏族譜卷之一六章前面崔生明號甕菴壯士郞中生員筮使昭格署殿直當世文兩朝從季父烟村公同時出仕矣顯陵二年 村公致仕退菟之日亦投紱同中略墓在扶安縣南席洞山午向配宜人扶寧金氏大護軍璫女文貞公坵七世孫墓合兆子孫居扶安全州崔氏族譜卷之二一章前面崔秀孫字茂叔號固窮堂成化丁巳生成均進士中略正德七年壬申十月二十一日卒墓在扶安席洞山先塋下雙兆宜人吳氏崔氏崔順成字成之正德二年丁卯生進俱中中略令人朴氏墓在席洞先塋下雙兆崔渭屢典州郡皆有治積淑人文化柳氏墓在考墓上崔弼成 字虞卿號處士成化十九年癸卯生正德二年丁卯中進士嘉靖二十五年丙午八月五日卒墓在先塋上(二章前後面)崔海 德陵參奉忌十月二十七日令人平康蔡氏世成女忌十一月十一日墓處士公墓下雙兆全二章後面五章前後面崔克成 字子仁正德二年丁卯生員丙子秋文科藝文檢閱兼春秋館事知錦山嘉靖七年戊子六月卒于官淑人吳氏墓先塋下雙兆崔沫 正郞配礪山宋氏文府使期忠女墓先塋上雙兆崔德立 進士主簿號晴浦配文化柳氏墓正郞公墓下合兆六章前面崔繼成 字紹先號處菴正德二年中生員弘治元年戊申正月十四日生明廟旌閭配扶寧金氏永孫女漢城少尹世英玄孫文貞公坵后忌七月十七日配崔氏忌正月二十日一配墓先塋下一配墓在正郞公墓右下西有床石無刻前後配未詳故墓祀合設于考位墓崔河 奉事無后墓先塋下有碣崔溫 童蒙擧武科墓在席洞處菴公墓東邊有短碣七章前面崔活 字濬遠號默齋承仕郞禮賓奉事生長孝友之家學行夙成六月一日卒墓先塋上端人扶寧金氏通政義貞女文貞公坵后忌六月二十一墓雙兆崔時立 禮賓奉事忌六月二日墓處菴公墓上配晉州蘇氏友善女忌十二月二十九日墓在處菴公東下崔瑗 字玉汝訓練院主簿世祖四年戊寅十一月五日生弘治十四年辛酉正月十一日卒淑人商山金氏參奉順成女世祖二年丙子十二月二日生弘治十二年己未四月二十日卒墓在正郞公墓後坮上八章前面崔處仁 配東萊鄭氏峻?女墓先塋下九章前面崔山立 字卓而忌四月四日配晉州姜氏忌十二月十日墓在席洞默齋公墓西邊十章前面崔之泰 配咸陽文氏及第以渭女忌四月二十四日墓席洞默齋公墓西邊十一章後面崔景成 生員參奉忌二月三日配慶州金氏忌九月二十八日墓先塋下崔濱 忌十月十六日配扶寧金氏忌九月二十一墓先塋右合兆崔大立 忌正月十三日配扶安林氏忌十月二十九日墓殿直公墓西雙兆十二章後面崔奇男 忌二月二十七日配耽津崔氏忌正月十五日墓殿直公墓東合兆崔升男 忌六月十二日墓道東先塋東配平康蔡氏忌正月三日墓附左崔執中 忌壬子十二月十九日墓殿直墓東配豊川任氏墓參奉公妣墓西全州崔氏族譜卷之五十四章前面崔昌運 配晉州柳氏戊子八月二十六日墓席洞東麓艮坐十六章前面崔宗建 配晉州柳氏墓席洞西麓丙向雙兆崔益亨 配密陽朴氏墓席洞東麓午向全州崔氏族譜卷之六一章前面崔景憲 忌二月三日墓先塋下配道康金氏忌五月十五日墓合兆崔世華 忌三月三日墓殿直公墓左配延安金氏鍵五女忌七月九日墓合兆十章前面崔世振 字巨卿甲辰六月十五日生壬申六月十日卒墓道東先塋下十五章後面崔世休 配礪山宋氏丁巳五月二十一日生己未十月八日卒墓席洞西麓丁向十六章前後面崔鎭宇 配扶寧金氏癸酉生乙未十月二十五日卒墓席洞最上合谷崔鎭仁 配密陽孫氏墓席洞東麓丙向二十一章後面崔景斗 配坡平尹氏墓道東先塋下二十二章前面崔景杓 字士仰己丑生庚子九月二十七日卒配幸州殷氏墓席洞先塋下 合兆崔世崗 字君瞻丁巳生戊申六月十日卒配慶州李氏忌八月十四日墓司成公墓西垈下雙兆崔道東 字貫之甲申生戊申正月十四日卒墓席洞配陽城李氏配安東權氏墓上同二十四章前面崔景說 字次仰戊午十月三十日生戊戌六月二十九日卒墓扶安席洞山處菴公墓左下二十六章前面十六日墓處菴公墓下二十四章前面崔雲洪 字記瑞庚戌二月二十九日生忌十月一日墓席洞先塋右卯坐三十章前面崔東權 庚寅十一月十三日生丁丑四月二十九日卒配礪山宋氏丙戌十二月一日生己丑三月三日卒墓道東上岡癸坐上下兆全州崔氏直提學公派世譜卷之丙參奉公派四章後面崔景晳 床石誤刻景哲字忌五月二十一日墓處菴公墓下右二十八章後面崔景淵 字若愚忌六月十六日墓席洞先塋下配咸陽朴氏墓合兆忌正月五日全州崔氏族譜卷之七三章後面崔鳳錫 乙丑生忌甲午墓席洞後麓卯向配全州李氏墓雙兆全州崔氏直提學公派世譜卷之丙處菴公派六章後面崔有仁 字由己忌十一月二十日配礪山宋氏淵女忌十一月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1년 최기홍(崔基洪)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六年二月三日 金在乾 崔基洪 昭和六年二月三日 金在乾 崔基洪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1년 김동건이 최기홍 앞으로 써 준 영수증 1931년 김동건(金東乾)이 최기홍(崔基洪) 앞으로 써 준 영수증이다. 현금 12원을 수령(受領)하였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2년 석동재회소(席洞齋會所)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壬戌七月十七日 席洞齋會所 校正 崔碩煥 等 5人 全州崔氏處軒公派宗中 壬戌七月十七日 崔碩煥 全州崔氏處軒公派宗中 전라북도 전주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2년 7월에 최석환 등 석동재회소의 유사들이 중랑장공파보의 편찬에 따라 명하전을 징수하라면서 전주최씨 처헌공파종중에게 보낸 통문. 1922년 7월에 최석환(崔碩煥) 등 석동재회소(席洞齋會所)의 유사(有司)들이 중랑장공파보(中郎將公派譜)의 편찬에 따라 명하전(名下錢)을 징수하라면서 전주최씨(全州崔氏) 처헌공파종중(處軒公派宗中)에게 보낸 통문이다. 지난번 단오일의 모임에서 파보를 편찬하기로 의견을 모아, 이번 음력 7월 27일에 전주 소양면(所陽面) 분토동(粉土洞)의 재실에서 개판(開板)하기로 하였다. 이에 해당 종중의 수단유사(收單有司)는 아래에 기록한 것대로 단자(單子)에 명전(名錢)의 액수를 기록하여 수단(收單)할 때 거두어들이도록 하여 개판 때 이로 인하여 갈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달라고 하였다. 문서의 맨끝 어른은 10냥씩, 아동은 5냥씩으로 명하전을 정했다고 적혀 있다. 이 통문에는 교정(校正) 최석환(崔碩煥), 최계홍(崔桂洪), 장재(掌財) 최순환(崔順煥), 최재홍(崔在洪), 수단유사(收單有司) 최병만(崔秉萬) 정서(正書) 최시홍(崔時洪) 등이 참여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文右敬告事木之連枝水之達流氏族之分派同其根源也而惟吾中郎將公派譜事通章已爲前陳而幸於今端陽之僉議齊同以後修譜之論擧年侌七月二十七日開板于全州所陽面粉土洞齋是乎所至於收單定該派有司精草修成名錢依左記收單時收刷來納于本所俾毋開板時葛藤之地千萬幸甚右敬告于處軒公派宗中壬戌七月十七日席洞齋會所 校正 崔碩煥校正 崔桂洪掌財 崔順煥掌財 崔在洪收單有司 崔秉萬正書 崔時洪左記名下錢冠每員十一兩式童每名五兩式定事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63년 전주최씨중랑장공파대동보소(全州崔氏中郞將公派大同譜所)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癸卯三月三十日 全州崔氏中郞將公派大同譜所 僉族 癸卯三月三十日 全州崔氏中郞將公派大同譜所 全州崔氏一族 전라북도 전주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63년 3월 30일에 전주최씨중랑장공파 대동보소에서 전주최씨 중랑장공파 종중원들에게 발송한 통문 1963년 3월 30일에 전주최씨중랑장공파(全州崔氏中郞將公派) 대동보소(大同譜所)에서 전주최씨 중랑장공파 종중원들에게 발송한 통문이다. 중랑장공파 파보(波譜) 발간과 관련한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서 보낸 것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미년 전주최씨종소분재(全州崔氏宗所粉齋) 간통(簡通)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辛未八月十八日 崔圭庠 辛未八月十八日 崔圭庠 全州崔氏一族 전라북도 전주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신미년 8월 18일 전주최씨 최규상이 종원들에게 보낸 통문 신미년(辛未年) 8월 18일에 전주최씨종소분재(全州崔氏宗所粉齋)의 최규상(崔圭庠)이 전주최씨 종원들에게 보낸 통문이다. 의연금(義捐金) 수전유사(收錢有司) 선발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오진영(吳震泳)의 조변(條辨)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癸丑三月十一日 震泳 癸丑三月十一日 吳震泳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오진영의 조변 오진영(吳震泳)의 조변(條辨)이다. 오진영은 출인불가(出認不可)를 주장하는 전화구(田華九)에게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도 책을 간인(刊印)할 뜻이 있었음을 조목조목 밝힌 것이다. 이병은(李炳殷), 김용승(金容承), 김낙두(金洛斗) 등에게 보낸 편지내용을 들어가며 전우가 문고는 50년 뒤에 인행하는 것이 좋겠다는 뜻을 말했고, 자량(自量)하여 하라는 말을 혼자 있을 때 한 것은 비밀스럽게 한 사람에게 부탁한 것이라며 시율(時律)을 핑계로 간행을 늦추는 사람들을 반박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진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흥학계(興學稧)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甲辰十一月二日 各處契員與用錢之人 甲辰十一月二日 發文有司 各處契員與用錢之人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갑진년 11월 2일에 부안의 전주최씨 흥학계에서 각처의 계원들과 계의 자금을 이용한 사람들에게 계일을 통보하면서 보낸 회문. 갑진년(甲辰年) 11월 2일에 부안(扶安)의 전주최씨(全州崔氏) 흥학계(興學稧)에서 각처의 계원들과 계의 자금을 이용한 사람들에게 계일(契日)이 이 달 10일로 확정되었다고 통보하면서 보낸 회문(回文)이다. 모두 석동재(席洞齋)의 모임에 참석해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회문의 끝 부분에는 돈을 빌려간 사람들의 성명과 금액(본전)과 아직 갚지 못한 잔금 등이 차례로 적혀 있다. 예컨대 연동(蓮洞)의 최여일(崔汝一)은 계에서 1냥을 빌렸는데, 현재 5전을 갚지 못한 상태이다. 계원의 거주지는 연동 외에 백포, 풍동, 오정리, 대동리, 부곡, 행산, 옹중리 등 다양하다. 돈을 빌려간 계원들이 모두 최씨(崔氏)들이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