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4년 현동묘재(玄洞墓齋)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甲子七月 日 李驥魯 等 56人 甲子七月 日 李驥魯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4년 7월에 이기노, 김희진, 박만환 등이 스승 간재의 학문에 관하여 토론할 것을 제의하면서 작성한 통문. 1924년 7월에 이기노(李驥魯), 김희진(金熙鎭), 박만환(朴晩煥) 등이 스승 간재(艮齋)의 학문에 관하여 토론할 것을 제의하면서 작성한 통문이다. 이 통문은 이기노, 김희진, 박만환 외 56명이 유학자 선사(先師) 간재선생의 제자들로서 선사가 주장하는 도학(道學)을 연구하면서 대의(大義)를 배우고 또한 여러 사람들에게 서로 의견을 나누어 보자고 하면서 작성한 내용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선사유서(先師遺書)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선사유서 선사유서로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의 〈고문인겸시자손(告門人兼示子孫)〉라는 글 내용을 언급하여 오진영(吳震泳 1868~1944)을 공박하는 내용이다. 간재는 위의 글에서 일제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는 자신의 문집을 간행하지 말 것과 유고(遺稿)를 함부로 첨삭(添削)하지 말 것 등을 자손과 문인에게 당부하였다. 유훈(遺訓)이 이처럼 엄절한 데도 오진영이 이를 어기고 간행한 책은 사서 읽지 말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回文 叅奉公派契右回諭事惟我叅奉公派契日字完定于十月初十日故玆以各處諸族與用錢之人倂本利持是遣來會于石洞齋閣以修契事幸甚甲辰十月卄八日 發文新興里 房同敏 錢 十五兩 〃 七兩五戔〃 徐相用 錢 三十兩 〃 十五兩〃 柳正述 錢 二十兩 〃 十兩山直里 朴千年 錢 二十兩 〃 十兩〃 兪鳳吉 錢 二十兩 〃 十兩〃 裵正述 錢 二十兩 〃 十兩〃 崔廷用 錢 拾兩 〃 五兩白石里 李春善 錢 二十兩 〃 十兩〃 金學彦 錢 三十兩 〃 十五兩杏山 金京長 錢 二兩五戔 〃 一兩二戔五卜〃 宋西吾 錢 五兩 〃 二兩五戔〃 柳汝永 錢 二十兩 〃 十兩碑閣里 李致水 錢 二十兩 〃 十兩山直 崔昌克 錢 三十五兩 〃 十七兩五戔秋月里 崔順明 錢 一百兩 〃 五十兩富谷 崔叔長 錢 十五兩一戔八卜 〃 七兩五戔五卜楓洞 朴聖三 錢 十兩 〃 五兩梅山里 高明善 錢 三十三兩七戔五卜 〃 十六兩八戔九卜新蓮洞 崔士玄 錢 二百六兩一戔五卜 〃 一百二兩五戔八卜南面里 崔學千 錢 六戔五卜 〃 三戔三卜杏山 金應九 錢 三十兩 〃 十五兩〃 崔仁甫 錢 二十兩 〃 九兩明重里 河應七 錢 一▣兩 〃 五兩大橋里 陳正西 錢 一百兩 〃 五十兩豊浪洞 崔敬禹 錢 三兩 〃 一兩五戔元齋 錢 六兩六戔 〃 三兩三戔

상세정보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60년 고부종중(古阜宗中) 최영규(崔永圭) 의연금(義捐金) 납부서(納付書) 고문서-증빙류-납증서 경제-세금-납증서 庚子十月二十五日 崔永圭 松崖公大碑期成會 庚子十月二十五日 崔永圭 松崖公大碑期成會 전라북도 고부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60년 7월에 전북 고부에 사는 최영규 등이 부안군의 전주최씨 문중에 의연금을 보냈다는 증명서 1960년 7월 전북 고부(古阜)에 사는 최영규(崔永圭) 등이 부안군의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門中)에 의연금(義捐金)을 보냈다는 증명서이다. 의연금의 액수는 1만환(圜)이었다. 이 돈은 송애공(松崖公)의 비석(碑石)을 조성하는 데 쓸 것이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回文右文爲事惟我席洞門中積年山訟頃敗無餘殘門保護若非誠力難可做去之道故玆以仰 告維吾諸族傳一齊來會于今月二十日席洞齋閣爛商遂議之地千萬幸甚甲戌九月十五日 發文席洞門中都有司 崔成煥門有司 崔學洪 崔章洪覽後捺印送之焉左記白石里 崔在洪愚磻里 崔春烈[印]蓮洞 崔光七 崔東俊(不在) 崔道允栢浦 崔再榮[印] 崔君先[印][印] 崔致文[印]堰浦 崔琇洪 崔東鎬雲山里 崔東寬 崔東文豊浪洞 崔秉琦 崔秉允新月里 崔秉鮮 崔秉龍代昌烈[指掌] 崔秉喆代昌烈[指掌]夫谷里 崔七煥[指掌] 崔子允[指掌]麻谷 崔孝明白山里 崔松烈[印] 崔東烈[印] 崔伯烈(不在) 崔文玉 崔星七星根里 崔成苟 崔鍾仁 崔錫仲竹宗里 崔秉雲[印] 崔仕箕[印]新岩 崔珎京[印]柯亭里 崔明煥 崔秉道石堤里 崔春洪金岡洞 崔京道 崔貳京望帝里 崔秉甲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묘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참봉공파문계(參奉公派門稧)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乙卯十月三日 各處族員與用錢諸員 乙卯十月三日 發文有司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을묘년 10월 3일에 부안의 전주최씨 참봉공파문계에서 각처의 족원들과 계의 자금을 이용한 사람들에게 계일을 통보하면서 보낸 회문. 을묘년(乙卯年) 10월 3일에 부안(扶安)의 전주최씨(全州崔氏) 참봉공파문계(參奉公派門稧)에서 각처의 족원들과 계의 자금을 이용한 사람들에게 계일(契日)이 이달 15일로 확정되었다고 통보하면서 보낸 회문(回文)이다. 본전과 이자를 지참하고 석동재각(席洞齋閣)에 참석하라고 당부하고 있다. 회문의 끝 부분에는 돈을 빌려간 사람들의 성명과 금액(본전) 등이 차례로 적혀 있다. 예컨대 석하리(石下里)의 최경화(崔京化)는 558냥을 빌렸는데, 현재 279냥을 납부하지 않았다고 적혀 있다. 빌린 계의 자금은 전(錢)과 조(租)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계원의 거주지는 석하리 외에 마곡, 순제, 묵교, 부곡, 모산, 남면리 등 다양하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回文右回諭事惟吾私派派稧日字今月十五日自前完定也各處用錢諸員與族人倂本利持是遣一齊來參于席洞齋閣修稧所無至一員未知之弊幸甚丁未十月初二日發文崔後錄所山崔自化錢㱏佰五十三兩七戔二分△七十六兩八戔六分減給墨橋崔云京錢二十三兩△十一兩五戔茅山崔相先錢四十兩△二十兩新基許寬一戔二十兩△十兩許文在錢二十兩△十兩墨橋文正西錢十兩△五兩崔應壽十五兩△七兩五戔[利條減]金斗天錢十兩△五兩私稧中錢四十六兩△二十三兩堂直金興萬六十兩△三十兩[本則二十兩加出]豊洞崔京化貳十兩△十五兩當日捧上錢崔相先利二十兩金興萬錢五十兩崔云京錢十一兩五戔許寬一錢十兩許文在錢十兩文正西錢五兩崔應壽錢十五兩金斗天△五兩--合文㱏百二十六兩五戔食床十三日夕一床五日朝二床八十八夕八床十四日朝一床六朝六床午十床夕九床午一床七日朝八床午八床夕九床八日朝二石五 合床一百床代錢十五兩曲子九介佰二兩二戔五分猪肉二脚価四兩五戔南草㱏把価五戔饌価三戔?下一兩 --合文十三兩七戔五分當日捧上文二十兩內十三兩七戔五分用在文六兩二戔五分留興万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7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처암공파계(處庵公派稧)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丁未十一月初十日 丁未十一月初十日 全州崔氏一族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07년 부안 전주최씨 처암공파계 회문 1907년 11월 10일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 처암공파계(處庵公派稧) 회문(回文)이다. 처암공파계의 강신일자(講信日字)가 11월 10일이다. 각처의 돈을 쓴 사람과 여러 족원은 일제히 원금과 이자를 모두 가지고 석동재에 모이라고 하였다. 후록에는 계금을 쓴 사람들의 명단과 금액이 기록되어 있다. 처암공은 최계성(崔繼成)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51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처암공파계(處菴公派稧)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辛亥十月二十六日 辛亥十月二十六日 1851 全州崔氏門中 處菴公派稧員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처암공파 종중에서 종원들에게 보낸 1851년(철종 2) 회문 1851년(철종 2) 1월 26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처암공파(處菴公派) 종중에서 종원(宗員)들에게 보낸 회문이다. 계회(稧會) 일자를 통보하고, 전유사(錢有司)들의 회계를 부탁하기 위해서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回文右文爲回諭事惟我奉事公派稧日字今月初十日自前完▣(定)則用錢之人員與族員倂本利持是遣一齊來叅于席洞修稧所無至未知之蔽幸甚丙午十一月初一日發文 崔后錄茅山里 崔相先 錢十兩 △五兩 五兩入〃 朴元永 十兩 △五兩 五兩入〃 趙應七 十兩 △五兩 五兩入〃 朴朱洪 十兩 △五兩 五兩入石堤 黃汝明 △十兩 △五兩 十兩入 五兩減〃 崔聖昭 △十兩 △五兩杏中里 金寬述 △二十兩 △十兩入〃 朴景西 △六十七兩五戔 △三十三兩七戔五卜〃 李光必 △二十兩 △十兩 十兩入〃 張明仲 △四十兩 △二十兩 二十兩入〃 金昌文 △五兩 △二兩五戔 二兩五戔▣(入)〃 崔德賢 △十兩 △五兩 五兩入〃 崔君明 △二十兩 △十兩蓮谷里 沈化西 △十兩 △五兩 五兩入木下里 李道春 △十兩 △五兩 五兩入山亭里 崔仁燮 △㱏兩 △五戔 五戔入新興里 徐尙龍 △二十兩 △十兩瓮新里 朴成贊 △三十兩 △十五兩 十五兩入〃 金致賢 △二十兩 △十兩 十兩入山直里 田在豊 △二十兩 △十兩〃 裵一奉 △十一兩 △五兩入道洞 裵學千 △十兩 △五兩 五兩入星岩里 崔應贊 △十五兩二戔 △七兩六戔 七兩入泰仁尺川 崔孔彬 △三兩 △一兩五戔 一兩五戔入〃 崔仁淑 △十五兩四戔四卜 △七兩七戔二卜〃 崔德天 △七兩六戔一分 △三兩八戔一卜長橋里 崔學石 △㱏兩 △五戔 一兩入五戔減蓮谷里 崔明淑 △二十兩 △十兩 十兩入席東 羅夢九 △二十兩 △十兩入泰仁尺川 崔聖佐 △七十兩 △三十五兩 三十兩入山亭里 崔仁燮 △十兩 △五兩 五兩入龍洞里 崔聖儒 △㱏兩六戔 △八戔四月 尺川 崔聖佐 △㱏百二十五兩 △三十一兩二戔 三十六兩二戔五卜入內 五兩 枝本 五卜外葛 崔德賢 △㱏百兩 △二十五兩色租記堂直 正租 十二斗 △六斗 以代錢拾貳兩捧 利六斗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回文右回諭事惟吾私派之稧日字來月十五日自前元定也各處用錢人員與族人幷本利持是遣一齊來會于墨橋修稧所無至未知之弊幸甚丙午九月晦日發文 崔後錄乾先里 崔殷叔 錢六兩七戔 △三兩三戔五卜內三兩入 餘??所山里 崔自化 △㱏百二兩四戔八分 △利五十一兩二戔四卜墨橋里 崔云京 △二十三兩 △十一兩五戔茅山里 崔相譱 △四十兩 △二十兩新基里 許寬一 △二十兩 △十兩〃 許文在 △二十兩 △十兩內二十兩入墨橋里 文正瑞 △二十兩 △十兩內貳拾兩入崔應壽 △十五兩 △七兩五戔金斗天 △十兩 △五兩豊洞 尹聖甫 △㱏百兩 △十五兩私稧中 △四十兩 △六兩杏山 崔仁輔 △二十兩 △三兩墨橋 崔基五 △六兩㱏戔一分當日下記酒米 一斗五升 〃 三兩二戔曲子 一同 二兩五戔生狗 㱏首 〃 七兩豆浮 三十五方 △七戔南草 二把 㱏兩一戔生鷄 㱏首 二兩又 食床 三十五床代所 四兩又 空下 二兩 又 二兩右合条 二十四兩六戔 出給 又 三兩又食床 二十床代錢三兩八分入次五?日 所捧記許良仲 七十三兩文正淑 貳拾兩入崔云京 十一兩五戔入許寬一 十兩入金斗天 五兩入崔應守 七兩五戔崔殷淑 三兩崔尙譱 貳拾兩入合入七十七兩許文在 十一兩 又入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59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별청계(門中別廳稧) 회문(回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己未至月二日 己未至月二日 1859 全州崔氏門中 門中別廳稧員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859년(철종 10) 12월 20일에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별청계에서 계원들에게 보낸 회문 1859년(철종 10) 12월 20일에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의 문중별청계(門中別廳稧)에서 종원(宗員)들에게 보낸 회문(回文)이다. 별청계 일자(日字)에 관한 내용을 통보하고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0년 김낙규(金洛奎)・김낙기(金洛琪)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庚申復月十一日 金洛奎 金洛琪 庚申復月十一日 1920 金洛奎 金洛琪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0년 김낙규와 김낙기가 보낸 서간 1920년 10월 11일에 김낙규(金洛奎)・김낙기(金洛琪)가 보낸 서간(書簡)이다. 장충정(張忠定)이 공적인 일은 문자로 기록하기 전에는 양에 속하고 문자로 기록하고 나면 음에 속한다고 말 한 적이 있다. 우암(尤庵) 송시열 선생도 이 설(說)을 자세히 풀었으며, 『주자대전』 『송자대전』도 읽어보라고 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자년 전주최씨(全州崔氏) 남원종중(南原宗中) 단자(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庚子十月二十五日 南原宗中 建立期成會 庚子十月二十五日 南原宗中 建立期成會 전라북도 남원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경자년 남원종중에서 건립기성회에 보낸 단자 경자년(庚子年) 10월 25일에 남원종중(南原宗中)에서 건립기성회(建立期成會)에 보낸 단자(單子)이다. 돈 10,000환을 기성회 건립 축하금으로 보낸다는 내용이다. 이때의 건립기성회는 전주최씨문중에서 결성하였던 송애공신도비건립기성회(松崖公神道碑建立期成會)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송애공은 월당(月塘) 최담(崔霮, 1346~1434)의 아들 최광지(崔匡之)를 가리킨다. 그가 1368년(창왕 1)의 문과에 급제하였을 때 받은 합격증서 홍패(紅牌)는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는 얼마 안되는 고려시대 홍패 가운데 하나로 현재 보물 제2062호로 지정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